$\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판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의 타당도와 검사자간 신뢰도 연구
Study of Valid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7 no.3, 2019년, pp.14 - 25  

이지호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김경미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  장문영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  홍은경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PDMS-2)의 국내사용을 위하여 번역연구와 검사자간 신뢰도 및 동시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PDMS-2의 번역연구는 2명의 작업치료사가 각각 번역하여, 3명의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통해 번역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후 임상 작업치료사 5명을 대상으로 내용이해도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 후 한글판 PDMS-2를 제시 하였다. 일반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검사자간 신뢰도는 두 작업치료사가 한글판 PDMS-2를 각각 평가하여 검사자간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동시타당도는 한글판 PDMS-2와 한국판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번역에 대한 내용일치도는 평균3.45점으로 일치하였고, 내용이해도는 평균 3.69점으로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의 범위가 .941에서 .994로 나타났다. 동시타당도는 상관계수 r값이 항목에 따라 .951-.651으로 통계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한글판 PDMS-2는 아동의 운동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판 PDMS-2는 아동의 운동기능 평가와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가능하며, 치료의 중재나 목표 설정과 교육 및 연구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 (PDMS-2) and to identify the concurrent validity by comparing it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DMS-2는 다른 평가도구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척도로 많이 사용되어진다(Barbara, Nancy, & Roberta, 2012; Margo, Edith, & Rob, 2005; Maring & Elbaum, 2007). 본 연구에서는 한글판 PDMS-2와 국내에서 타당도 연구가 이루어진 한국판 BOT-2와의 상관분석으로 한글판 PDMS-2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글판 PDMS-2의 번역 내용타당도, 검사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고 한국판 BOT-2와 비교하여 동시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아동의 운동평가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특정 국가에서 개발된 평가도구를 타 문화권에서 적용하려고 할 때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Su & Parham, 2002).
  • 내용일치도와 내용이해도 검증을 위한 전문가 집단을 선정할 때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 수준이상의 경력과 평가도구 사용의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검증위원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한글판 PDMS-2의 번역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고 각 항목별 4점 척도를 사용하여 내용일치도와 내용이해도를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가설 설정

  • 일반아동에 대한 기준은 첫째, 신경학적 증상에 대한 과거력(진단, 약물복용 등)이 없는 아동. 둘째, 근 골격계의 손상이 없는 아동. 셋째, 부모님의 동의를 얻은 아동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DMS-2란? PDMS-2는 아동의 전반적인 운동발달에 대해 대 운동과 소 운동을 나누어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PDMS-2는 미국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가 이루어진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결과 해석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동시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은? 그 후 임상 작업치료사 5명을 대상으로 내용이해도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 후 한글판 PDMS-2를 제시 하였다. 일반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검사자간 신뢰도는 두 작업치료사가 한글판 PDMS-2를 각각 평가하여 검사자간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동시타당도는 한글판 PDMS-2와 한국판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번역에 대한 내용일치도는 평균3.
한글판 PDMS-2의 내용일치도 평가 결과는? 한글판 PDMS-2의 내용일치도의 분석은 Lynn 타당도 지수를 번안 하여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 총점 평균은 3.34로 전체적으로 일치하는 수준이었다. 하위 항목 중 1점, 2점 항목의 경우에는 전부 수정을 하였고, 3점과 4점 항목에 있어서도 전문가집단의 이견이 있거나 기타 의견이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검토를 거쳐 수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 S. Y. (2012).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ment of validities and reliabilities.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2. Barbara, H. C., Nancy, O., & Roberta, G. (2012). Concurrent validity of the Bayley-III and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2. Pediatric Physical therapy, 24(4), 345-352. 

  3. Brislin, R. W. (1970). Back translation for cross-cultural research. Journal of Cross Cultural Research, 1(3), 185-216. 

  4. Choi, J. H. (2009). Study of validity of Korean version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si. 

  5. Folio, M. R., & Fewell, P. R. (2000).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2nd. ed.), Examiner's manual. Austin, TX: PRO-ED, Inc. 

  6. Lee, S. H., Hong, C. R., & Park, H. Y. (2018). Current trend in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6(3), 23-33. http://dx.doi.org/10.18064/JKASI.2018.16.3.023 

  7. Lim, Y. J., Park, K. Y., & Yoo, E. Y. (2007). Pilot study to establish content validity of a Korean-translated version of a sensory profi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2), 25-42. 

  8.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9. Margo, J. H., Edith, H. C., & Rob, A. O. (200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e motor scale of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2.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2(1), 1-13. 

  10. Maring, J. R., & Elbaum, L. (2007). Concurrent validity of the early intervention developmental profile and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2. Pediatric Physical Therapy, 19(2), 116-120. 

  11. Montgomery, P. C., & Connolly, B. H. (1987). Norm-referenced and criterion-referenced tests: Use in pediatrics and application to task analysis of motor skill. Physical Therapy, 67(12), 1873-1876. 

  12. Palisano, R. J., Kolobe, T. H., Haley, S. M., Pax Lowes, L., & Jones, S. L. (1995). Validity of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as an evaluative measure of infants receiving physical therapy. Physical Therapy, 75(11), 939-948. 

  13. Provost, B., Crowe, T. K., & McClain, C. (2000). Concurrent validity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motor scale and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 in two-year-old children.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20(1), 5-18. 

  14. Robert, J. P., Thubi, H. K., Stephen, M. H. Linda, P. L., & Sandra, L. J. (1995). Validity of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as an evaluative measure of infants receiving physical therapy.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75(11), 939-948. 

  15. Ronald, V. C., Micheal, H., & Erick, M. (2001).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3(1), 275-280. 

  16. Schmidt, L. S., Westcott, S. L., & Crown, T. K. (1993).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scale of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 with 4-and 5-year-old children. Pediatric Physical Therapy, 5(1), 169-175. 

  17. Su, C. T., & Parham, L. D. (2002). Generating a valid questionnaire translation for cross-cultural us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5), 581-585. 

  18. Tecklin, J. S. (2010). Pediatric physic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