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장애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7 no.3, 2019년, pp.46 - 60  

홍은경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아동·청소년 작업치료를 적용한 국내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참여자의 진단명, 사용한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엔진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학술정보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검색어는 '아동작업치료 & 일상생활', '아동작업치료 & 자조', '아동작업치료 & 자기관리', '아동작업치료 & 작업', '작업치료 & 식사하기', '작업치료 & AMPS(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작업치료 &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이었다. 결과 : 총 14편을 분석하였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IV, V가 각각 36%로 총 연구의 72%를 차지하였다. 참여자의 진단명은 지적장애가 50%를 차지하였고 뇌성마비를 포함한 뇌병변이 20%이었다.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36%를 보였고, WeeFIM이 22%, 관찰이 13%이었다. 중재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감각통합치료로 36%이었고, 인지프로그램이 22%이었다. 지적장애 아동에게 자조활동 그룹치료를 적용한 한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중재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체계적 고찰방법을 통해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작업치료 적용을 알아본 국내의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작업치료 적용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for a systematic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for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2010 to September 2019. The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재방법에서 개별실험 연구일 경우, 기초선 기간을 제외한 중재 기간만을 제시하였고, 실험군에 대한 중재방법만 분류에 포함시켰다. 결과에서 일상생활활동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함께 측정한 경우, 일상생활활동만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장애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활동을 향상시키기 최근 10년 동안 국내에서 시행한 평가 및 중재방법을 알아보고, 그 효과를 제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적용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작업치료의 참여자, 평가방법, 중재방법 및 효과를 알아보고 임상에서 근거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아동· 청소년 작업치료를 적용한 국내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참여자의 진단, 사용한 평가도구, 중재법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란? 작업치료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기능적 향상을 돕는 재활분야이다. 작업치료사는 일상생활활동에서 요구하는 것을 수정하여 아동·청소년이 배울 수 있도록 하고 매일의 일상 속에서 일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미국 작업치료사협회에서 정의한 일상생활활동의 예시는? 일상생활활동은 아동·청소년이 성장함에 따라 배워야 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이다. 미국 작업치료사협회에 의하면(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2014) 간단하게는 개인의 신체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화장실 위생, 대소변관리, 목욕하기, 꾸미기, 먹기, 옷입기, 기능적 이동과 같은 자기관리(self-care)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개인적 도구를 사용·관리하는 것과 성적욕구를 표현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 포함 된다. 아동·청소년은 성장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배우게 되고, 가족단위나 지역사회 단위에서 작업에 참여한다(Case-Smith & O'Brien, 2015).
일반 아동·청소년과 비교한 발달성협응 장애 아동·청소년의 어려움은? 뇌성마비에 비해 경미한 발달성협응장애는 자발적인 움직임의 협응, 타이밍, 힘을 조절, 운동학습에 손상이 있는 것으로(Ferguson, Jelsma, Versfeld, & SmitsEnglesman, 2014) 운동에 기반을 둔 일상생활 (예, 이동, 개인위생, 먹기, 옷입기)을 하는데 어려 움을 보인다(Cermak, Gubbay, & Larkin, 2002; Geuze, 2007; May-Benson, Ingolia, & Koomar, 2002; Zwicker, Missiuna, Harris, & Boyd, 2012). 일반 아동·청소년과 비교하였을 때, 발달성협응 장애 아동·청소년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어려움과 일상생활활동의 학습에 지연됨을 보여 일상 생활활동의 참여빈도가 낮았다(Cermak, Gubbay, & Larkin, 2002; Geuze, 2007; May-Benson, Ingolia, & Koomar, 2002; Zwicker, Missiuna, Harris, & Boyd,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pramework: Domain and process, third edi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8, 3-48. 

  2.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3. Case-Smith, J., & O'Brien, J. C. (2015).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eventh edition. St. Louis: Mosby. 

  4. Cermak, S. A., Gubbay, S. S., & Larkin, D. (2002). What i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S. A. Cermak, & D. Larkin(Ed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pp. 2-22). Albany, NY: Delmar. 

  5. Cho, H. J., Bong, Y. S., & Lee, J. Y. (2013). The effects of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cused on combined both individual therapy and group therapy for sensory integration abilit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ies in children with somatodyspraxia: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2), 13-26. 

  6. Choi, Y. J., Kim, K. M., Shin, Y. B., & Chang, M. Y. (2011). The effect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based on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principles for the occupation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1), 55-67. 

  7. Cusick, A., McIntyre, S., Novak, I., Lannin, N., & Lowe, K. (2006). A comparison of goal attainment scaling and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for paediatric rehabilitation research. Pediatric Rehabilitation, 9, 149-157. 

  8. Dunford, C., Missiuna, C., Street, E., & Sibert, J. (200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 207-214. 

  9. Ferguson, G. D., Jelsma, J., Versfeld, P., & Smits-Englesman, B. C. M. (2014). Using the ICF framework to explore the multiple intera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Current Developmental Disorders Reports, 1, 86-101. http://dx.doi.org/10.1007/s40474-014-0013-7 

  10. Geuze, R. H. (2007). Characteristics of DCD: On problems and prognosis. In R. H. Geuze(E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review of current approaches. (p. 140-156). Marseille, France: Solal. 

  11. Gevier, D., Goldstand, S., Weintraub, N., & Parush, S. (2006). A comparison of time use between mother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26, 117-127. 

  12. Hong, S. Y., & Kim, K. M. (2012). A systematic review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0(2), 11-22. 

  13. James, S., Zivani, J., & Boyd, R. (2014). A systematic review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asu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56, 233-244. 

  14. Jo, E. M., Jeong, Y. J., Choi, Y. M., & Yoo, E. Y. (2015).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6, 53-64. 

  15. Jung, B. L. (2019). The effects of improving social skills with structured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7(1), 79-99. http://doi.org/10.14729/converging.k.2019.7.1.79 

  16. Jung, H. S. (2011). Sensory integration therap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clients with Goldenhar syndrome: A case repor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1), 286-295.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1..286 

  17. Jung, H. S., & Sim, H. J. (2011). The effects of the literary activity-based training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and activity daily living skil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in Occupational Therapy, 1(1), 9-16 

  18. Kim, K. S. (2017).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ocial behaviors and feed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634-641.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634 

  19. Kim, S. Y., & Rhee, K. M. (2015). The effect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and ADL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Korea, 9(2), 105-113. 

  20. Kim, S. Y., & Min, Y. S. (2016). Literature review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for children and youth regard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Focusing on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4), 161-174. 

  21. Lee, J. H., & Jang, Y. S. (2013).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ual training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 29(3), 337-353. 

  22. Lee, J. Y., Lee, Y. H., Choe, J. H., Hwang, J. H., Lee, I. A., Lim, J. S., et al. (2015). The effect of group programs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for the disabled teenag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6, 65-74. 

  23. Lee, M. S., & Suh, Y. K. (2015). A case report on aural rehabilitation after cochlear implantation in a child with Goldenhar syndrom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7(4), 77-93. 

  24. Lee, S. S. (2013). Studies on the adaptation of function through therapy sensory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7(4), 202-219. 

  25. Lee, S. H., Hong, C. R., & Park, H. Y. (2018). Current trend in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6(3), 23-33. http://dx.doi.org/10.18064/JKASI/2018.16.3.023 

  26. Mandich, A. D., Polatajko, H. J., & Roger, S. (2003). Rites of passage: Understanding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22, 583-595. 

  27. May-Benson, T., Ingolia, P., & Koomar, J. (2002). Daily living skills an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S. A. Cermak, & D. Larkin(Ed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p 140-156). Albany, NY: Delmar. 

  28. Mulrow, C. D., Cook, D. J., & Davidoff, F. (1997). Systematic reviews: Critical links in the great chain of evidenc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26(5), 389-391. 

  29. Park, K. Y., Kim, J. S., & Lee, M. H. (2012).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Rehacom) for students with cognitive disabilities: Case repor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3, 31-39. 

  30. Pashmadarfard, M., Amini, M., & Hassani Mehraban, A. (2017). Participation of Iranian cerebral palsy children in life areas: A systematic review article. Iran Journal of Child Neurology, 11(1), 1-12. 

  31. Shin, M. K., & Jo, E. M. (2015). Effect of the CO-OP approach on occupational performance in ADHD: A pilot study.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4(2), 51-62. 

  32. Shin, M. K., Yoo, E. Y., Lee, J. Y., & Jung, M. Y. (2017). The effects of an oral sensory stimulation home program o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oral defensiveness: A single subject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2), 1-13. https://doi.org/10.14519/jksot.2017.25.2.01 

  33. Song, W. J., Park, J. H., Jung, M. Y., & Yoo, E. Y. (2013). Effect of oral sensory treatment on oral function in dyspha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4), 47-58. http://dx.doi.org/10.14519/jksot.2013.21.4.05 

  34. Sperle, P., Ottenbacher, K., Braun, S., Lane, S., & Nochajski, S. (1997). Equivalence reliability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 administration method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1), 35-41. 

  35. Yi, S. Y., & Kim, K. H. (2010). Perceptions of parent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45(3), 155-187. 

  36. Zwicker, J. G., Missiuna, G., Harris S. R., & Boyd, L. A. (2012).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review and update.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 Neurology, 16, 573-5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