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직의 안전분위기가 항공교통관제사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at Air Traffic controller's safety behavior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27 no.1, 2019년, pp.10 - 19  

이효상 (국토교통부 항공교통본부 공역정보과 공역기획) ,  박진우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domestic aviation industry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the air traffic volume of en-route has increased rapidly to 2,300 a day. According to developing air navigation system including Performance Based Navigation(PBN), the manner of flights has diversified. Consequentially task of air traff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8)의 연구를 토대로 먼저, 관제조직 내의 그룹을 동료와 감독자로 나누어 안전분위기를 조직, 동료 및 감독자의 안전분위기로 구분 적용하고, Brian et al.(2016)의 연구를 토대로 안전분위기가 안전동기와 안전지식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여 결국은 관제사의 안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특히, 안전분위기를 동료 와 감독자로 나누어 진행한 연구는 현재까지 수행 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교통관제조직의 안전분위기가 감독관 및 동료와 안전지식, 안전동기 변수로 하여 항공교통관제사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언급하면, Mulia et al.
  • 본 연구는 관제업무와 관련하여 조직, 동료, 감독자의 안전분위기, 안전동기와 안전지식이 항공교통관제사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는 안전행동을 안전준수와 안전참여로 나누고 있는데, 항공교통관제의 안전을 위해서는 안전기준 등의 준수가 더 중요성을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안전행동을 안전준수에 한정하였다.
  • 본 연구는 항공교통관제조직의 안전분위기가 감독관과 동료의 안전분위기에 미치는 영향과 항공교통관제사의 안전행동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항공교통관제사 209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H1a. 관제 조직의 안전분위기는 관제실 동료의 안전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관제사의 안전동기는 관제사의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관제사의 안전지식은 관제사의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b. 관제실 동료의 안전분위기는 관제사의 안전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a. 관제실 동료의 안전분위기는 관제사의 안전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b. 조직 조직의 안전분위기는 관제실 감독자의 안전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공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예를 들면 1일 항공로 교통량은 약 400대(1995년)에서 1,000대(2005년)을 넘어 최대 2,300대(2018년)에 이르렀다. 이는 인공위성을 활용한 성능기반항행(Performance Based Navigation: PBN) 등 첨단항행시설의 발달로 항공기의 비행방법이 다양화됨에 따라 항공수요가 증가한 결과이며, 부가적으로 항공 업무량이 늘어나고 있음에 따라 항공 조직도 2개의 지방청(서울, 부산지방항공청)에서 제주지방항공청이 추가로 신설 (2015)되고, 항공로를 담당하는 기존의 인천항공교 통관제소에 대구항공교통관제소를 추가하고 이를 총괄하는 항공교통본부를 발족(2017)·운영 중이며, 항공교통관제를 직접 수행하는 관제사 또한 2018년 현재 약 600명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기 사고 예방을 위해 항공교통업무를 담당하는 항공 교통관제사의 안전분위기 및 안전환경 조성, 피로 관리 등 안전관리가 적극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안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8가지 요인은? ‘안전분위기(Safety Climate)’에 대한 정의 및 하위 요인들에 대한 주장은 연구자들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조직이나 작업장 내에서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공유된 지각’으로 정의된다. 세부적으로, Zohar(1980)는 ‘안전분위기’를 조 직에서 구성원이 갖는 안전에 대한 기대 및 조직의 안전에 대한 단일화되고 일관성있는 인지의 조합으로 정의하고, 안전교육, 경영자의 안전태도, 안전행동의 승진 영향, 근무지의 위험성, 작업속도와 안전영향, 안전 담당자의 위치, 안전행동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안전위원회의 위치와 같은 8가지 요인으로 나누었다.
안전분위기의 정의는 무엇인가? ‘안전분위기(Safety Climate)’에 대한 정의 및 하위 요인들에 대한 주장은 연구자들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조직이나 작업장 내에서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공유된 지각’으로 정의된다. 세부적으로, Zohar(1980)는 ‘안전분위기’를 조 직에서 구성원이 갖는 안전에 대한 기대 및 조직의 안전에 대한 단일화되고 일관성있는 인지의 조합으로 정의하고, 안전교육, 경영자의 안전태도, 안전행동의 승진 영향, 근무지의 위험성, 작업속도와 안전영향, 안전 담당자의 위치, 안전행동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안전위원회의 위치와 같은 8가지 요인으로 나누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10.1016/j.ssci.2015.11.020 Brian H.W. Guo, Tak Wing Yiu, Vicent A. Gonzales, "Predicting safety behavi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ment and test of an integrative model", Safety Science, Vol. 84. pp. 2016. pp.1-11. 10.1016/j.ssci.2015.11.020 

  2. 10.1016/j.ssci.2012.04.010 Margherita Brondino, Silvia A. Silva, Margherita pasini, “Multilevel approach to organizational and group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Co-workers as the missing link", Safety Science, Vol. 50. 2012, pp. 1847-1856. 10.1016/j.ssci.2012.04.010 

  3. 10.1037/a0016172 Christrian, M.S., Bradley, J.C., Burke, M.J., “Workplace safety: a meta-anaysis of the roles of person and situation facto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 2009, pp.1103-1127. 10.1037/a0016172 

  4. 10.1016/j.jsr.2003.09.018 D. M. DeJoy, B. S Schaffer, M. G. Wilson, R. J. Vandenberg and M. M. Butts, 'Creating Safer Work-places: Assessing the Role and Determinants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5, 2004, pp.81-90. 10.1016/j.jsr.2003.09.018 

  5. 10.1016/j.jlp.2007.11.001 T.C. Wu, C. H. Chen and C. C. Li, “A Correlation among Safety Leadership,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Vol. 21, No. 3, 2008, pp. 307-318. 10.1016/j.jlp.2007.11.001 

  6. 10.1016/j.jsr.2003.09.018 D. M. DeJoy, B. S Schaffer, M. G. Wilson, R. J. Vandenberg and M. M. Butts, ”Creating Safer Work-places: Assessing the Role and Determinants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5, 2004, pp.81-90. 10.1016/j.jsr.2003.09.018 

  7. 10.1179/oeh.2000.6.1.18 S. A. Felknor, L. A. Aday, K. D. Burau,G. L. Delclos and A. 5. Kanpadia, “Safety Climate and its Association with Injuries and Safety Practices in Public Hospitals in Costa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onmcntal Health, Vol. 6, 2000, pp. 18-25. 10.1179/oeh.2000.6.1.18 

  8. 10.1016/S0001-4575(03)00016-2 O. Siu.,D. R. Phillips and T. Leung,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among Construction Workers in Hong Kong: The Role of Psychological Strains as Mediator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004, pp. 359-366 10.1016/S0001-4575(03)00016-2 

  9. K. S. Kim and Y. S. Park. “The Effects of Safety Climate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5. No. 1, 2002, pp. 19-39. 

  10. 10.1207/s15327108ijap1402_1 D. A. Wiegmann, H. Zhang, T. Von Thaden, G. sharma and A. M. Gibbos, "Safety Culture: An Integ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viation Psychology, Vol. 14, No.2, ,2004, pp.117-134. 10.1207/s15327108ijap1402_1 

  11. 10.14346/JKOSOS.2013.28.2.066 Kwangsu Moon, Jaehee Lee, Shezeen Oah, “The Effects of Safety Leadership of Manager and Safety limate in the Organization on the Workers and, Safety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8, No. 2. 2013, pp. 66-72. 10.14346/JKOSOS.2013.28.2.066 

  12. 10.1016/j.ssci.2012.04.010 Margherita Brondino, Silvia A. Silva, Margherita pasini, “Multilevel approach to organizational and group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Co-workers as the missing link",Safety Science, Vol. 50, 2012, pp. 1847-1856. 10.1016/j.ssci.2012.04.010 

  13. Seongeun Ha, Taehee Kim, Yeongju Na, “ Study on Safety Climate Level of Construction Company depending on Business Scale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8, No. 1, 2008, pp.161-162. 

  14. 10.22143/HSS21.8.5.50 Seogwon Lee, Kwan-young Ahn, Eung-soon Choi "The Moder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on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afety Performance: In the Army Transportation Service“,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8, No. 5, 2017, pp.885-903. 10.22143/HSS21.8.5.50 

  15. Oh jun Kwon, Seongweon Choe, Youngsun Kim "Man-Machine System Safety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afety Climate in the Service Industry“, The Journal of Korean Safety, Vol. 25, No. 4, 2010, pp.76-83. 

  16. Kwan-young Ah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 The Journal of Korean Safety, Vol. 20, No. 4, 2005, pp.122-129. 

  17. 10.14346/JKOSOS.2013.28.2.066 Kwang su Moon, Jae Hee Lee, She Zeen Oah, “The Effects of Safety Leadership of Manager and Safety Climate in the Organization on the Workers’ Safety Behaviors”, The Journal of Korean Safety, Vol. 28, No. 2, 2013, pp.66-72. 10.14346/JKOSOS.2013.28.2.066 

  18. 10.6106/KJCEM.2013.14.1.101 Dong pil Shin, Dong eun Lee, “The structural analysis between safety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construction workers' behavior”,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KJCEM) vol. 14, 2013, pp.101-114. 10.6106/KJCEM.2013.14.1.1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