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과 조직 내 안전 분위기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afety Leadership of Manager and Safety Climate in the Organization on the Workers' Safety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8 no.2, 2013년, pp.66 - 72  

문광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이재희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오세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afety leadership of manager and safety climate of the organization on the workers' safety behavior.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a medi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s. 219 workers were ask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리더십과 근로자의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안전 분위기가 매개 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안전행동을 직접적인 안전행동인 순응행동과 간접적인 안전지원행동인 참여행동을 구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 각 관리자들의 안전 리더십이 조직의 안전 분위기나 근로자들의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역시 다를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상사들의 안전 리더십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가가 되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관리자의 수준에 따라 안전 분위기와 근로자의 안전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은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조직 내 안전 분위기는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작업 현장에는 실질적인 직무 수행의 진행, 안전 등을 담당하는 일선 관리자들이 있고 이를 총괄하는 상위 관리자들이 있다. 각 관리자들의 안전 리더십이 조직의 안전 분위기나 근로자들의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역시 다를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상사들의 안전 리더십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가가 되었다.
  • 첫째,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둘째, 매개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셋째,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4일 이상 요양이 필요한 산업재해를 당한 근로자 수는 몇 명인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재해현황 분석1)에 따르면 2010년 4일 이상 요양이 필요한 산업재해를 당한 근로자 수는 98,645명이었다. 이는 2009년의 97,821명과 비교해 0.
2010년 산업재해로 인한 직․간접 손실을 포함한 경제적 손실 추정 액은 얼마인가? 이러한 산업재해의 발생은 국가 전반적인 직․간접적 경제 손실을 유발한다. 2010년 산업재해로 인한 직․간접 손실을 포함한 경제적 손실 추정 액은 17조 6천 2백 억 원으로 전년대비 1.7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1) , 재해자 1명 당 약 1억 8천 만 원의 경제적 손실을 국가와 기업에 부담시키는 결과이다.
미국의 산업재해 원인 분석 결과에서 산업 재해 발생 원인은 어떻게 밝혀졌는가? 또한 불안전 행동이 산업 재해 발생 원인의 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미국의 산업재해 원인 분석 결과에서도, 전체 사고의 76%가 불안전행동에 의한 것이었고, 환경 및 행동에 의한 간접적인 부분까지 포함하면 안전사고의 96%가 행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 in 2010", 2011. 

  2. K. S. Moon, K. H., Lee, J. H. Lee and S. Oah, "The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BBS) Program o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A Field Stud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5, No. 2, pp. 349-372, 2012. 

  3. H. W. Heinrich, D. Peterson, and N. Roos,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New York: McGraw-Hill, 1980. 

  4. T. E. McSween, "The Values-based Safety Process: Improving Your Safety Culture with a Behavioral Approach.(2nd)",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2003. 

  5. T. C. Wu, S. H. Chang, C. M. Shu, C. T. Chen and C. P Wang,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Performance in Petrochemical Industries: The Mediating Role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Vol. 24, No. 6, pp 716-721, 2011. 

  6. A. O'Dea and R., Flin, "The Role of Managerial Leadership in Determining Work-place Safety Outcome", Suffolk: HSE Books, 2003. 

  7. S. G. Clarke, "Safety Culture: Underspecified and Overrated",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 Vol. 2, No. 1, pp. 65- 90, 2000. 

  8. D. Zohar, "A Group-level Model of Safety Climate: Testing the Effects of Group Climate on Micro Accidents in Manufacturing Job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5, pp. 587- 596, 2000. 

  9. J. Eid, K. Mearns, G. Larsson, J. C. Laberg and B. H. Johnsen,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and Safety Research: Conceptual Issues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Safety Science, Vol. 50, No. 1, pp. 55-61, 2012. 

  10. D. Petersen, "Leadership & Safety Excellence: A Positive Culture Drives Performance", Professional Safety, Vol. 49, No. 10, pp. 728-732, 2004. 

  11. T. C. Wu,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afety Leadership Scale in Universities of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Engineering Education, Vol 2, No 1, pp. 27-42, 2005. 

  12. D. Zohar, "Modifying Supervisory Practices to Improve Subunit Safety: A Leadership-based Intervention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7, No. 1, pp. 156-163, 2002. 

  13. B. Sulzer-Azaroff, C. Fox, S. M. Moss and J. M. Davis, "Feedback and Safety: Involving Worker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1987. 

  14. B. Sulzer-Azaroff and D. Fellner, "Searching for Performance Targets in the Behavioral Analysi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n Assessment Strateg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Vol. 6, No. 2, pp. 53-65, 1984. 

  15. H. O. Jeong,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Types in Construction Sites and Industrial Disasters", Master's Thesis, Kyeong-Hee University, 2001. 

  16. S. H. Hong and S. H. Lee, "Strategies to Promote Supervisor's Leadership for Preventing Accidents in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1, No. 2, pp. 63-69, 2006. 

  17. E. Blair, "Culture & Leadership: Seven Key Points for Improved Safety Performance" Professional Safety, Vol. 48 No. 6, pp. 18-22, 2003. 

  18. R. A. Carrillo. "Safety Leadership Formula: Trust Credibility Competence Results", Professional Safety, Vol. 47 No. 3, pp. 741- 747, 2002. 

  19. D. Cooper, "Improving Safety Culture: A Practical Guide", England: John Wiley & Sons, 1998. 

  20. S. Clarke and K. Ward, "The Role of Leader Influence Tactics and Safety Climate in Engaging Employees' Safety Participation", Risk Analysis, Vol. 26, No. 5, pp. 1175-1185, 2006. 

  21. T. C. Wu, C. H. Chen and C. C. Li, "A Correlation among Safety Leadership,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Vol. 21, No. 3, pp. 307-318, 2008. 

  22. D. M. DeJoy, B. S Schaffer, M. G. Wilson, R. J. Vandenberg and M. M. Butts, "Creating Safer Work-places: Assessing the Role and Determinants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5, pp. 81-90, 2004. 

  23. S. A. Felknor, L. A. Aday, K. D. Burau, G. L. Delclos and A. S. Kanpadia, "Safety Climate and its Association with Injuries and Safety Practices in Public Hospitals in Costa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onmental Health, Vol. 6, pp. 18-25, 2000. 

  24. O. Siu., D. R. Phillips and T. Leung,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among Construction Workers in Hong Kong: The Role of Psychological Strains as Mediator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pp. 359-366, 2004. 

  25. K. S. Kim and Y. S. Park, "The Effects of Safety Climate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5. No. 1, pp. 19-39, 2002. 

  26. K. S. Moon, J. H. Lee and S. Oah,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afety Behaviors: Moderating Effects of Safety Climat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4, No. 1, 2011. 

  27. K. Y. Ahn and R. G.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Safety Particip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 8, No. 6, pp. 41-53, 2006. 

  28. J. H. Lee, K. S. Moon and S. Oah, "The Effects of Stress Response on Safety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th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 12, No. 4, pp. 31-39. 

  29. D. A. Wiegmann, H. Zhang, T. Von Thaden, G. Sharma and A. M. Gibbos, "Safety Culture: An Integ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viation Psychology, Vol. 14, No. 2, pp. 117- 134, 2004. 

  30. D. Zohar and G. Luria, "Climate as a Social-cognitive construction of Supervisory Safety Practices: Scripts as Proxy of Behavior Patter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9, No. 2, pp. 322-333. 

  31. J. L. Komaki, "Emergence of the Operant Model of Effective Supervision. or How an Operant Vonditioner got Hooked on Leadership",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Vol. 15, No. 5, pp. 27-32, 1994. 

  32. J. L. Komaki, "Leadership from an Operant Perspective", London: Routledge. 1998. 

  3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pp. 1173-1182, 1986. 

  34. M. A. Griffin and A. Neal,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 5, No. 3, pp. 347-358, 2000. 

  35. C. Lu and C. Yang,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in Container Terminal Operations." Safety Science, Vol. 48, No. 2, pp. 123-134,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