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반응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전 분위기의 중재효과
The Effects of Stress Response on Safety Behavior : Moder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2 no.4, 2010년, pp.31 - 39  

이재희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문광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오세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ss response on safety behavior and to explore moder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between stress response and safety behavior. 224 worker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stress res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스트레스 반응과 안전 분위기가 근로자들의 안전행동(순응행동과 참여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 반응과 안전 행동 간의 관계를 안전 분위기가 중재할 것이라는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 반응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으로 조직의 안전 분위기를 설정하여 중재 효과에 대한 검증도 실시하였다.
  • 스트레스가 심리적, 생리적, 행동적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다뤄져 왔지만 스트레스로 인한 반응들이 안전과 관련된 영역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밝힌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 반응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반응과 안전행동 사이에서 안전 분위기의 중재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반응은 안전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스트레스 반응 중 우울반응이 안전행동에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 분위기란? 안전 분위기는 조직에서 근로자들의 안전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공유된 지각으로 정의된다[18]. 대체로 안전 분위기는 상위수준의 경영방침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고 조직 구성원의 행동뿐만 아니라 행동에 영향을 주는 태도, 책임, 의사소통, 교육 측면까지 통합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스트레스와 안전행동 간의 관계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어떤 전제를 내포하였는가? 하지만 스트레스와 안전행동 간의 관계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스트레스 원인 및 증상 파악, 스트레스 제거 및 감소 방법에 대한 내용들이었다[2][26]. 이는 스트레스원 자체를 없애거나 감소시킨다면 사고가 예방 가능하다는 전제를 내포한 것이다. 그렇지만 개인이 조직생활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근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또한 직무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가정생활 스트레스까지 스트레스 반응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인의 경우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불안전 행동 및 사고를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스트레스원 자체를 없애거나 감소시킨다면 사고가 예방 가능하다는 전제를 내포한 것이다. 그렇지만 개인이 조직생활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근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또한 직무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가정생활 스트레스까지 스트레스 반응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불안전 행동 및 사고를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기식, 박영석. "안전 분위기가 안전 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 15권, 제1호, (2002): 19-39. 

  2. 김일룡, 김재영, 박종태, 최재욱, 김해준, 염용태, "자동차 조립작업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의 연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3권, 제3호, (2001): 220-232. 

  3. 김혜숙, 정준학, 사공준, "직무스트레스가 정신지체적 긴장 및 소화기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제9권, 제3호, (1997): 530-542. 

  4. 안관영, 박노국, "Neal, Griffin, and Hart 안전분위기 모형의 실증적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7권, 제5호, (2005): 107-117. 

  5. 안관영, 박노국, "건설업 근로자들의 안전분위기와 안전참여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8권, 제6호, (2006): 41-53. 

  6. 이원영, "고용불안, 조직몰입 및 안전 분위기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영향", 2005년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5). 

  7. 이원용, "안전행동 및 사고에 대한 성실성, 인지실패 및 직무스트레스의 상호작용", 한국심리학회: 산업 및 조직, 제19권, 제3호, (2006): 475-497. 

  8. 이현수, "건강심리학", 성원사, 서울, (1994). 

  9. 정낙경, 김홍, "한국 반도체관련 산업의 사업장 안전 분위기와 근로자들의 안전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08): 57-64. 

  10. 채영란, 김근순, 최명애, 안경애, 김명애, 서순림, 홍해숙, 정재심, 박금화, 이성희, "스트레스와 면역 반응에 대한 국내 논문분석", 대한기초자연과학학회지, 제4권, 제2호, (2002): 79-82. 

  11. 최수일, 김홍, "건설현장의 안전분위기와 작업자 안전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21권, 제5호, (2006): 60-71. 

  12. Bagozzi, R. P., & Yi, 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the Academy Marketing Science, 16(1) (1988): 74-91. 

  13. Brown, R. L, & Holmes, H. "The use of a factoranalytic procedure for assessing the validity of an employee safety climate model",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18, (1986): 455-470. 

  14. Chin, W. W.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22(1), (1998): 74-94. 

  15. Choi, S., Kang, T., & Woo,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ified form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for worker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45, (2006): 541-553. 

  16. Cooper, M. D. & Phillips, R. A. "Exploratory analysis of th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relationship", Journal of Safety Research, 35, (2004): 497-512. 

  17. Coyle, I. R., & Sleeman, N., "Safety climate", Journal of Safety Research, 26(4), (1995): 247-254. 

  18. DeJoy, D. M., Schaffer, B. S., Wilson, M. G., Vandenberg, R. J. & Butts, M. M. "Creating safer work-places: Assessing the role and determinants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Safety Research, 35, (2004): 81-90. 

  19. Flin, R., Mearns, K., O'Connor, P., & Bryden, R. "Safety climate: Identifying the common features", Safety Science, 34, (2000): 177-192. 

  20. Hockey, G. R. J., Maule, A. J., Clough, P. J., & Bdzola, L. "Effects of negative mood states on risk in everyday decision making", Cognition and Emotion, 14, (2000): 823-855. 

  21. Hurrell, Jr., & McLaney, M. A. "Exposure to job stress-A new psychometric instrument",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14, (1998): 27?28. 

  22. Ivancevich, J. M., & Matterson, M. T. "Organizational leve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s: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8, (1986): 209-248. 

  23. Kahn, R. L., & Byosiere, P. B. "Stress in organizations", In M. D. Dunnette & L. M. Hough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3 (1992): 571-650. 

  24. Muchinsky, P. M. Psychology applied to work. Hypergraphic Press, Inc., (2006). 

  25. Neal, A., Griffin, M. A., & Hart, P. M.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safety climate and individual behavior", Safety Science, 34 (2000): 99-109. 

  26. Quick, J. C., & Quick, J. D. "Stress and workrelated upper extremity disorders: Implication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1, (1984): 443-455. 

  27. Steffy, B., Jones, J., Murphy, L., & Kunz, L. "A demonstration of the impact of stress abatement program on reducing employees' accidents and their cos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2), (1986): 25-32. 

  28. Sutherland, V., & Cooper, C. Stress and accidents in the offshore oil and gas industry, Houston, Texas: Gulf Publishing company, (1991). 

  29. Wiegmann, D., H., Zhang, T., Von Thaden, A., Gibbos & Sharma, G. "Safety culture: An integ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viation Psychology, 14, (2004): 117-134. 

  30. Wu, T. C., Chen, C. H., & Li, C. C. "A correlation among safety leadership,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1, (2008): 307-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