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레이저 유도 그래핀 기반의 고성능 웨어러블 포도당 패치센서
Laser-induced Graphene Based Wearable Glucose Patch Sensor with Ultra-low Detection Limit 원문보기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센서학회지, v.28 no.1, 2019년, pp.47 - 51  

나중산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  윤효상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  선성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지영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  박재영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weat-based glucose sensors are being widely investigated and researched as they facilitate painless and continuous measurement. However,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sweat glucose is almost a hundred times lower than that of blood glucose, it is important to develop electrochemical sensing electro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포도당의 농도가 낮은 땀에서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유도 그래핀 상에 백금 나노입자를 전기증착하고 EDC/NHS커플링을 통하여 포도당 산화효소를 고정화함으로써 매우 낮은 검출한계를 갖는 웨어러블 포도당 패치센서를 개발하였다. 제작된 센서는 매우 간편하고 쉬운 방법으로 공정이 가능하며, 우수한 전기적 특성 갖는 그래핀과 뛰어난 촉매 효과를 갖는 백금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1 µM 수준의 낮은 포도당 검출한계를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2.
  • 본 연구에서는 땀에 있는 낮은 농도의 포도당을 검출 및 측정하기 위하여 그래핀 기반 전극 및 포도당 패치센서를 개발하였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조사하여 전극을 만들고 낮은 검출 한계를 얻기 위해 전기증착을 통하여 백금 나노입자(Pt nanoparticles, PtNP)를 증착했으며, 작업전극에 포도당산화효소를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이란? 당뇨병은 인슐린의 작용과 분비가 원활하지 못하여 혈당이 정상적인 수치를 벗어나는 질병으로, 당뇨병으로 인한 혈당 수치의 이상은 신경계와 혈관계에 손상을 주어 많은 합병증을 유발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엄격한 혈당 조절이 필요하다[1].
소재 기반의 전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로는 rGO(reduced graphene oxide), CNT(carbonnanotube), 그래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소재 기반의 전극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까다로운 과정을 거처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12].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기존에 연구된 탄소 계열 소재들의 대안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에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조사하여 간단히 만들 수 있는 레이저 유도그래핀이 소개되었다. 레이저 유도 그래핀은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특성도 뛰어나 여러 분야에서 레이저 유도 그래핀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3,14].
채혈 기반 혈당 측정 방법의 단점은? 가장 일반적인 혈당 측정기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끝이 뾰족한 바늘을 침습시킨 뒤 채혈하여 센서 위에 피를 직접 접촉시켜 혈당을 확인하는 측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2]. 이러한 채혈 기반 혈당 측정 방법은 사용자에게 고통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 뿐만 아니라 채혈 부위가 감염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있다. 뿐만 아니라, 측정 빈도가 낮기 때문에, 혈당 관리를 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최근 수 분 간격의 지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는 연속 혈당 모니터링(continuousglucose monitoring, CGM)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 M. Nathan, B. Zinman, P. A. Cleary, J.-Y. C. Backlund, S. Genuth, R. Miller, and T. J. Orchard, "Modern-Day Clinical Course of Type 1 Diabetes Mellitus After 30 Years' Duration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Epidemiology of Diabetes Interventions and Complications and Pittsburgh Epidemiology of Diabetes Complications Experience", Arch Intern Med, Vol. 169, No. 14, pp. 1307-1316, 2009. 

  2. M. Shichiri, Y. Yamasaki, R. Kawamori, N. Hakui, and H. Abe, "Wearable Artificial Endocrine Pancreas with Needle-type Glucose Sensor", Lancet, Vol. 320, No. 8303, pp. 1129-1131, 1982. 

  3. M. A. Arnold, and G. W. Small, "Noninvasive Glucose Sensing", Anal. Chem., Vol. 77, No. 17, pp. 5429-5439, 2005. 

  4. V. L. Alexeev, S. Das, D. N. Finegold, and S. A. Asher, "Photonic Crystal Glucose-Sensing Material for Noninvasive Monitoring of Glucose in Tear Fluid", Clinical Chemistry, Vol. 50, No. 12, pp. 2353-2360, 2014. 

  5. B. D. Cameron, and G. L. Cote, "Noninvasive Glucose Sensing Utilizing a Digital Closed-Loop Polarimetric Approach", IEEE Trans Biomed. Eng, Vol. 44, No. 12, pp. 1221-1227, 1997. 

  6. T. Arakawa, Y. Kuroki, H. Nitta, P. Chouhan, K. Toma, S. Sawada, S. Takeuchi, T. Sekita, K. Akiyoshi, S. Minakuchi, and K. Mitsubayashi, "Mouthguard biosensor with telemetry system for monitoring of saliva glucose: A novel cavitas sensor", Biosens. Bioelectron., Vol. 84, pp. 106-111, 2016. 

  7. Y. T. Liao, H. Yao, A. Lingley, B. Parviz, and B. P. Otis, "A 3- $\mu$ WCMOS Glucose Sensor for Wireless Contact-Lens Tear Glucose Monitoring", IEEE J. Solid-State Circuits, Vol. 47, No. 1, pp. 335-344, 2012. 

  8. H. Lee, C. Song, Y. S. Hong, M. S. Kim, H. R. Cho, Ta. Kang, K. Shin, S. H. Choi, T. Hyeon, and D. H. Kim, "Wearable/disposable sweat-based glucose monitoring device with multistage transdermal drug delivery module", Sci. Adv., Vol. 3, No. 3, pp. e1601314(1)-e1601314(9), 2017. 

  9. J. Moyer, D. Wilson, I. Finkelshtein, B. Wong, and R. Potts, "Correlation Between Sweat Glucose and Blood Glucose in Subjects with Diabetes", Diabetes Technol. Ther., Vol. 14, No. 5, pp. 398-402, 2012. 

  10. C. J. Harvey, R. F. L. Bouf, and A. B. Stefaniak, "Formulation and stability of a novel artificial human sweat under conditions of storage and use", Toxicolo. In Vitro, Vol. 24, No. 6, pp. 1790-1796, 2010. 

  11. S. K. Vashist,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s: A Review", Diagnostics, Vol. 3, No. 4, pp. 385-412, 2013. 

  12. L. L. Zhang and X. S. Zhao, "Carbon-based materials as supercapacitor electrodes", Chem. Soc. Rev., Vol. 38, pp. 2520-2531, 2009 

  13. L Li, J. Zhang, Z. Peng, Y. Li, C. Gao, Y. Ji, R. Ye , N. D. Kim, Q. Zhong, Y. Yang, Hu. Fei, G. Ruan, and J. M. Tour, "High?Performance Pseudocapacitive Microsupercap acitors from Laser?Induced Graphene", Adv. Mater., Vol. 28, No. 5, pp. 838-845, 2016. 

  14. L. Q. Tao, H. Tian, Y. Liu, Z. Y. Ju, Y. Pang, Y. Q. Chen, D. Y. Wang, X. G. Tian, J. C. Yan, N. Q. Deng, Y. Yang, and T. L. Ren, "An intelligent artificial throat with sound-sensing ability based on laser induced graphene", Nature Commun., Vol. 8, pp. 1-8, 2017. 

  15. J. Lin, Z. Peng, Y. Liu, F. R. Zepeda, R. Ye, E. L. G. Samuel, M. J. Yacaman, B. I. Yakobson, and J. M. Tour, "Laser-induced porous graphene films from commercial polymers", Nature Commun., Vol. 5, No. 18, pp. 1-8, 2017. 

  16. D. Zhai, B. Liu, Y. Shi, L. Pan, Y. Wang, W. Li, R. Zhang, and G. Yu, "Highly Sensitive Glucose Sensor Based on Pt Nanoparticle /Polyaniline Hydrogel Heterostructures", ACS Nano, Vol. 7, No. 4, pp. 3540-3546, 2013. 

  17. H. Lee, T. K. Choi, Y. B. Lee, H. R. Cho, R. Ghaffari, L. Wang, H. J. Choi, T. D. Chung, N. Lu, T. Hyeon, S. H. Choi, and D. H. Kim, "A graphene-based electrochemical device with thermoresponsive microneedles for diabetes monitoring and therapy", Nature Nanotechnol., Vol. 11, pp. 566-572, 2016. 

  18. W. Gao, S. Emaminejad, H. Y. Y. Nyein, S. Challa, K. Chen, A. Peck, H. M. Fahad, H. Ota, H. Shiraki, D. Kiriya, D. H. Lien, G. A. Brooks, R. W. Davis, and A. Javey, "Fully integrated wearable sensor arrays for multiplexed in situ perspiration analysis", Nature., Vol. 592, pp. 509-514, 2016. 

  19. S. Emaminejad, W. Gao, E. Wu, Z. A. Davies, H. Y. Y. Nyein , S. Challa, S. P. Ryan, H. M. Fahad, K. Chen, Z. Shahpar, S. Talebi, C. Milla, A. Javey, and R. W. Davis, "Autonomous sweat extraction and analysis applied to cystic fibrosis and glucose monitoring using a fully integrated wearable platform", Proc Natl Acad Sci U S A., Vol. 114, No. 18, pp. 4625-4630, 2017. 

  20. A. J. Bandodkar, W. Jia, C. Yardimci, X. Wang, J. Ramirez, and J. Wang, "Tattoo-Based 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A Proof-of-Concept Study", Anal. Chem., Vol. 87, No. 1, pp. 394-398, 2014.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