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선피(白鮮皮) 물 추출물의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Dictamni Radicis Cortex water extract on acute pancreatiti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4 no.1, 2019년, pp.75 - 80  

김동욱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배기상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최지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김동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김명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송호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박성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Dictamni Radicis Cortex (DRC)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traditional medicine for inflammation and fungal diseases. However, the protective effect of DRC water extract on acute pancreatitis (AP) has not been deeply reported.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白鮮皮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헌과 연구들이 보고되어있으나 白鮮皮의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를 검증할 연구 및 보고가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白鮮皮 물 추출물을 cerulein으로 유도된 급성 췌장염 모델에 적용하여 췌장염의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 본 연구에서 白鮮皮 물 추출물이 급성 췌장염 유발 시 췌장 조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Cerulein으로 인한 급성 췌장염 유도로 인해 췌장의 손상이 발생하였으나 白鮮皮 물 추출물을 투여하자 췌장 조직의 부종 및 염증 등의 손상이 억제됨을 발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白鮮皮를 실험 약재로 사용하여 Cerulein으로 유도한 생쥐의 급성 췌장염 모델에서 白鮮皮 물 추출물 전처리를 통한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급성 췌장염 유발에 따른 생쥐 몸무게에 대한 췌장무게의 비율, 췌장의 조직학적 변화, 호중구 침윤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관찰하였고 白鮮皮 물 추출물을 전 처리함으로써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白鮮皮를 실험 약재로 사용하여 Cerulein으로 유도한 생쥐의 급성 췌장염 모델에서 白鮮皮 물 추출물 전처리를 통한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급성 췌장염 유발에 따른 생쥐 몸무게에 대한 췌장무게의 비율, 췌장의 조직학적 변화, 호중구 침윤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관찰하였고 白鮮皮 물 추출물을 전 처리함으로써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 췌장염의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AP)은 췌장에서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발병률은 100만 명 중 약 300명 정도이다1). 급성 췌장염은 췌장에 국한된 가벼운 염증반응에서 부터 다발성 장기부전에 의한 합병증에 이르는 중증 염증반응까지 증상이 다양하며2), 주로 복부 상부의 극심한 통증 및 발열,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3,4). 가벼운 양상의 급성췌장염 사망률은 약 10% 정도로 대부분 합병증 없이 자가 치유되며, 중증 급성 췌장염의 사망률은 20~30% 정도로 이는 순환장애, 간 기능 실조, 폐 기능 실조 등의 다발성 장기부전의 합병증으로 인한 것이다5,6).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AP)은 무엇인가?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AP)은 췌장에서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발병률은 100만 명 중 약 300명 정도이다1). 급성 췌장염은 췌장에 국한된 가벼운 염증반응에서 부터 다발성 장기부전에 의한 합병증에 이르는 중증 염증반응까지 증상이 다양하며2), 주로 복부 상부의 극심한 통증 및 발열,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3,4).
백산피의 물 추출물이 급성 췌장염 초기에 염증성 사이토카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급성 췌장염을 유발 시 췌장의 mRNA 수준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白鮮皮 물 추출물이 IL-1\(\beta\), IL-6의 발현증가는 감소시켰지만 TNF-\(\alpha\)는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이는 白鮮皮 물 추출물이 급성 췌장염에서 증가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beta\), IL-6를 감소시켜 췌장 염증을 억제하였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son R, Andersson B, Haraldsen P, Drewsen G, Eckerwall G. Incidence, management and recurrence rate of acute pancreatitis. Scand J Gastroenterol. 2004 ; 39(9) : 891-4. 

  2. Pandol SJ, Saluja AK, Imrie CW, Banks PA. Acute pancreatitis: bench to the bedside. Gastroenterology. 2007 ; 132(3) : 1127-51. 

  3. Steinberg W, Tenner S. Acute pancreatitis. N Engl J Med. 1994 ; 330 : 1198-210. 

  4. Kingsnorth A, O'Reilly D. Acute pancreatitis. Br Med J. 2006 ; 332 : 1072-6. 

  5. Jo IJ, Bae GS, Park KC, Choi SB, Jung WS, Jung SY, Cho JH, Choi MO, Song HJ, Park SJ.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protected the cerulein-induced acute pancreatitis by inhibiting high-mobility group box protein-1. World J Gastroenterol. 2013 ; 19(10) : 1551-62. 

  6. Bhatia M, Neoptolemos JP, Slavin J. Inflammatory mediators as therapeutic targets in acute pancreatitis. Curr Opin Investig Drugs. 2001 ; 2(4) : 496-501. 

  7. Kimura W, Mossner J. Role of hypertriglyceridemia in the pathogenesis of experimental acute pancreatitis in rats. Int J Pancreatol. 1996 ; 20(3) : 177-84. 

  8. Jenkins DJ, Kendall CW, Augustin LS, Franceschi S, Hamidi M, Marchie A, Jenkins AL, Axelsen M. Glycemic index : Overview of implications in health and disease. Am J clin Nutr. 2002 ; 76(1) : 266S-73S. 

  9. Seo BI, Lee JH, Choi HY, Kwon DR, Boo YM. Herbal Medicine. Seoul : Youngrimsa. 2008 ; 582-3. 

  10. Han MH, Lee MH, Hong SH, Choi YH, Moon JS, Song MK, Kim MJ, Shin SJ, Hwang HJ.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mong ethanol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Glycyrrhiza uralensis and Dictamnus dasycarpus, and their mixtures in RAW 246.7 murine macrophages. Journal of Life Science. 2014 ; 24(3) : 329-335. 

  11. Guo LN, Pei YH, Xie FX, Liu L, Cong H, Cui HX, Wang XL, Li WJ, Jian BY, Liu JC.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two new aromatic ring butyrolactone derivatives from Dictamnus dasycarpus Turcz. Chin J Nat Med. 2016 ; 14(11) : 876-880. 

  12. Yang B, Lee HB, Kim S, Park YC, Kim K, Kim H. Decoction of Dictamnus Dasycarpus Turcz. Root Bark Ameliorates Skin Lesions and Inhibits Inflammatory Reactions in Mice with Contact Dermatitis. Pharmacogn Mag. 2017 ; 13(51) : 483-487. 

  13. Choi SB, Bae GS, Jo IJ, Wang S, Song HJ, Park SJ. Berberine inhibits inflammatory mediators and attenuates acute pancreatitis through deactivation of JNK signaling pathways. Mol Immunol. 2016 ; 74 : 27-38. 

  14. Kota SK, Krishna SV, Lakhtakia S, Modi KD. Metabolic pancreatitis: Etiopathogenesis and management. Indian J Endocrinol Metab. 2013 ; 17(5) : 799-805. 

  15. Nissen SE, Wolski K, Topol EJ. Effect of muraglitazar on death and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AMA. 2005 ; 294 : 2581-6. 

  16. Regner S, Manjer J, Appelros S, Hjalmarsson C, Sadic J, Borgstrom A. Protease activation, pancreatic leakage, and inflammation in acute pancreatitis : differences between mild and severe cases and changes over the first three days. Pancreatology. 2008 ; 8(6) : 600-7. 

  17. Buchler MW, Gloor B, Muller CA, Friess H, Seiler CA, Uhl W. Acute necrotizing pancreatitis: treatm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status of infection. Ann Surg. 2000 ; 232(5) : 619-26. 

  18. Bhatia M, Wong FL, Cao Y, Lau HY, Huang J, Puneet P, Chevali L. Pathophysiology of acute pancreatitis. Pancreatology. 2005 ; 5(2-3) : 132-44. 

  19. Oruc N, Ozutemiz AO, Yukselen V, Nart D, Celik HA, Yuce G, Batur Y. Infliximab: a new therapeutic agent in acute pancreatitis? Pancreas. 2004 : 28(1) : e1-8. 

  20. Kim SC, Yang HR. Clinical efficacy of gabexatemesilate for acute pancreatitis in children. Eur J Pediatr. 2013 ; 172(11) : 1483-90. 

  21. Hong S, Lee HA, Lee YS, Chung YH, Kim O. Antitoxoplasmosis effect of Dictamnus dasycarpus extract against Toxoplasma gondii. Journal of Biomedical Research. 2014 ; 15(3) : 7-11. 

  22. Choi HG, Lee DS, Li B, Jun KY, Jeong GS, Kim YC.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water-insoluble fraction of root barks of Dictamnus Dasycarpus 70% ethanolic extract on glutamate-induced oxidative damage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011 ; 42(2) : 175-181. 

  23. Cope O, Culver PJ, Mixter CG Jr, Nardi GL. Pancreatitis, a diagnostic clue to hyperparathyroidism. Ann Surg. 1957 ; 145 : 857-63. 

  24. Bae GS, Kim MS, Park KC, Koo BS, Jo IJ, Choi SB, Lee DS, Kim YC, Kim TH, Seo SW, Shin YK, Song HJ, Park SJ. Effect of biologically active fraction of Nardostachys jatamansi on ceruleininduced acute pancreatitis. World J Gastroenterol. 2012 ; 18(25) : 3223-34. 

  25. Panteghini M, Pagani F, bonora R. Clinical and analytical evaluation of a continuous enzymatic methods for measuring pancreatic lipase activity. Clin chem. 1993 ; 39(2) : 304-8. 

  26. Granger J, Remick D. Acute pancreatitis : models, markers, and mediators. Shock. 2005 ; 24(1) : 45-51. 

  27. Colgan SP, Ehrentraut SF, Glover LE, Kominsky DJ, Campbell EL. Contributions of neutrophils to resolution of mucosal inflammation. Immunol Res. 2013 ; 55(1-3) : 75-82. 

  28. Kusske AM, Rongione AJ, Reber HA.Cytokines and acute pancreatitis. Gastroenterology. 1996 ; 110(2) : 639-4201. 

  29. Perides G, Weiss ER, Michael ES, Laukkarinen JM, Duffield JS, Steer ML. TNF-alpha-dependent regulation of acute pancreatitis severity by Ly-6C(hi) monocytes in mice. J Biol Chem. 2011 ; 286(15) : 13327-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