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PLC에 의한 차나무 잔가지(부산물)의 추출물 내 지표 성분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in the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Sub-branches (Residual Products) by HPLC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7 no.1, 2019년, pp.24 - 29  

이민성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임현정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정회석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조해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우현심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오유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이수인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김현철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안경환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김영수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  김대욱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식물산업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Camellia sinensis L.(CS) is a perennial evergreen species of plant whose leaves are used to produce tea. In this plant species, the parts used are the leaves, sub-branch parts are thrown out. Methods and Results: Ethanol extract of sub-branch parts was used for isolation of major compou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차나무 잎과 종자에 비해 그 활용도가 낮은 차나무의 뿌리와 가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채엽시기 발생되는 부산물 잔가지를 기능성 원료 및 의약 소재개발 가능성을 분석하기위해 지표 성분을 분리하고, HPLC를 이용하여 추출 용매별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나무 품종은? 특히, 2000년대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과 웰빙 트렌드의 영향으로 국내 녹차 소비가 확대되어 우리나라 차 문화에 대한 관심과 유행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차나무 품종은 인도의 아샘종, 미얀마의 산종, 중국의 대엽종과 소엽종 등 네 종류로 분류되고 우리나라에는 잎이 작고 엽육이 두꺼운 소엽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Choi and Rhyu, 1992).
차나무 수확 방식의 예는? 차나무의 잎은 4 월 초부터 5 월 하순까지 10 일 간격으로 채엽시기에 따라 우전, 세작, 중작, 및 대작으로 구분되고 시기별로 기능성 물질의 함량, 색, 맛 등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Oh and Hong, 1995; Chung, 2004). 채집 시기가 빠른 우전의 경우 아주 어린잎을 손으로 뜯어서 수확하는 방식으로 생산량이 적으나 총 질소, 카페인 및 아미노산 등의 함량이 많아 값이 매우 비싼 것이 특징이고 반면 늦게 수확하는 대작의 경우 카테킨 함량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며 대량으로 생산 하기 위해 기계로 표면을 깎아서 잎과 잔가지를 분리하게 된다 (Park and Lim, 2002; Kim et al., 2004).
차나무란?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는 동백나무과 (Theaceae)에 속하는 아열대성 상록의 다년생 식물로 열대지방에서 아열대 지방까지 세계적으로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제주도를 비롯하여 전남 전 지역, 경남 하동, 진주, 울산지역 등의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재배하고 생산된다 (Park, 2007). 특히, 2000년대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과 웰빙 트렌드의 영향으로 국내 녹차 소비가 확대되어 우리나라 차 문화에 대한 관심과 유행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SH and Rhyu MR. (1992). Analysis of theanine contents in commercial green tea.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2. Chung DH. (2004). Components and efficacy of tea. Hongikjae. Seoul, Korea. p.43-46. 

  3. Crespy V and Williamson G. (2004). A review of the health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in vivo animal models. Journal of Nutrition. 134:3431-3440. 

  4. Goto T, Yoshida Y, Kiso M and Nagashima H. (1996). Simultaneous analysis of individual catechins and caffeine in green tea. Journal of Chromatography A. 749:295-299. 

  5. Jung E, Lee J, Baek J, Jung K, Lee J, Huh S, Kim S, Koh J and Park D. (2007). Effect of Camellia japonica oil on human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and skin barrier functio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2:127-131. 

  6. Kasaoka S, Hase K, Morita T and Kiriyama S. (2002). Green tea flavonoids inhibit the LDL oxidation in osteogenic disordered rats fed a marginal ascorbic acid in diet.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12:96-102. 

  7. Kerio LC, Wachira FN, Wanyoko JK and Rotich MK. (2013). Total polyphenols, catechin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ea products from purple leaf coloured tea cultivars. Food Chemistry. 136:1405-1413. 

  8. Khan MI, Ahhmed A, Shin JH, Baek JS, Kim MY and Kim JD. (2018). Green tea seed isolated saponins exerts antibactieral effects against various strains of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a comprehensive study in vitro and in vivo.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8:3486106. https://www.hindawi.com/journals/ecam/2018/3486106/ (cited by 2019 Jan 31). 

  9. Kim JD, Lee BI, Jeon YH, Bak JP, Jin HL and Kim BO. (2010).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reen tea mixture and dietary fiber on liver of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224-230. 

  10. Kim JT. (1996). Science and culture of tea. Borim press. Seoul, Korea. p.160. 

  11. Kim NY, Lee JH and Heo MY. (2006).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on oxidative str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4:322-328. 

  12. Kim SH, Han DS and Park JD. (2004). Changes of some chemical compounds of Korean(Posong) green t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6:542-546. 

  13. Kwon YM, Lee JH and Lee MW. (2002). Phenolic compounds from barks of Ulmus macrocarpa and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3:404-410. 

  14. Lee LS, Kim SH, Kim YB and Kim YC. (2014). Quantitative analysis of major constituents in green tea with different plucking period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Molecules. 19:9173-9186. 

  15. Mukherjee PK, Maity N, Nema NK and Sarkar BK. (2011). Bioactive compounds from natural resources against skin aging. Phytomedicine. 19:64-73. 

  16. Oda Y, Hidaka M and Suzuki A. (2017). Caffeine has a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with cisplatin via inhibiting fanconi anemia group D2 protein monoubiquitina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40:2005-2009. 

  17. Oh MJ and Hong BH. (1995). Variation of pectin, catechins and caffein contents in Korean green tea(Camellia sinensis L.) by harvesting time and processing recip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0:775-781. 

  18. Okumura T, Tsukui T, Hosokawa M and Miyashita K. (2012). Effect of caffeine and capsaicin on the blood glucose levels of obese/diabetic $KK-A^y$ mice. Journal of Oleo Science. 61:515-523. 

  19. Park JH and Lim KC. (2002). Growth and constituents of tea shoots for powder green t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0:379-383. 

  20. Park YG. (2007). Strategy of gene conservation of Camellia sinensis in Korea. Journal of Korean Tea Society. 13:125-140. 

  21. Srtkowski J, Stefaniak L, Nicol L, Martin ML, Martin GJ and Webb GA. (1995). Complete assignments of the $^{1}H$ , $^{13}C$ and $^{15}N$ NMR spectra of caffeine.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51:839-841. 

  22. Vermeer MA, Mulder TP and Molhuizen HO. (2008). Theaflavins from black tea, especially theaflavin-3-gallate, reduce the incorporation of cholesterol into mixed micell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6:12031-12036. 

  23. Watandabe M. (1998). Catechins as antioxidants from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groa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6:839-845. 

  24. Wee JH, Sung HM, Jung KO, Kim SJ, Shin YR, Park JH and Kim JD. (2015). Anti-adipogenic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cak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7:525-533. 

  25. Xu J, Wang M, Zhao J, Wang YH, Tang Q and Khan IA. (2018). Yellow tea(Camellia sinensis L.), a promising Chinese tea: Processing, chemical constituents and health benefit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107:567-577. 

  26. Yoon WH, Choi JH, Lee KH and Kim CH. (2005).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seed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7:108-112.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