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rimethylsilyl Chloride를 Silylation Agent로 사용한 Ba0.6Sr0.4TiO3 나노입자의 표면개질 연구
Surface Modification of Ba0.6Sr0.4TiO3 by Trimethylsilyl Chloride as a Silylation Agent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6 no.4, 2019년, pp.127 - 132  

이찬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한우제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박형호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liquid-solid solution 합성법을 통해 고유전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barium strontium titanate(Ba0.6Sr0.4TiO3, BSTO)를 합성하여 trimethylsilyl chloride(TMCS)를 silylation agent로 이용한 표면개질을 진행하였다. Silylation 표면개질을 활용하여 기존 BSTO 나노입자 표면에 있던 -OH 리간드와 TMCS가 갖고 있는 Cl을 반응시켜 나노입자 표면의 리간드를 -Si, -CH3로 치환하였다. 다양한 TMCS 농도의 변화를 주어 silylation을 진행했고,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및 X 선 회절 분석,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silicon network결정구조, 나노입자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접촉각 변화 관찰을 통해 가장 많이 silylation된 BSTO 나노입자에서 120.9°인 소수성 특성을 확인하였다. 나노입자의 silylation을 통해 D.I water 내 BSTO 나노입자의 소수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barium strontium titanate (BSTO) with high dielectric perovskite structure was synthesized by liquid-solid solution synthesis and the surface was modified using trimethylsilyl chloride (TMCS) as a silylation agent. Silylation surface modification is a method of reacting -OH ligand on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표면 개질 농도 증가에 따라서 이차상 형성이 없고 나노입자 크기가 증가함을 관찰하였고 접촉각 분석을 통해 소수성화를 확인하였다. D.I water 내 BSTO 나노입자 분산 실험을 통해 표면개질의 정도에 따른 BSTO 나노입자의 소수성 정도를 관찰하였으며 이 연구는 나노입자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복합체 형성에 대한 연구에 표면개질을 통한 나노입자의 표면특성 개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또한 표면개질을 진행한 나노입자를 고분자내 분산시켜 고분자의 유전율을 높이는 nanocomposite 형성을 위해 fluorination, silylation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표면개질이 있지만 polymer와 nanocomposite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polymer와 비슷한 리간드를 갖고, 동일한 소수성 특성을 갖게 하는 표면개질이 nanocomposite을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을 띄고 대부분의 polymer에 상용성이 있는 Si- 기로 표면개질을 하기 위해 trimethylsilyl chloride(TMCS)를 silylation agent로 이용하여 BSTO 나노입자의 표면개질을 진행했고 이에 따른 나노입자의 표면특성 변화가 연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입자란 무엇인가? 흔히 나노입자는 100 n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로, 일차원구조의 나노튜브, 나노와이어와 함께 나노기술의 핵심에 자리하고 있는 0 차원 구조 물질이다. 물질의 크기가 벌크에서 나노사이즈로 작아지게 되면서 전체 표면적이 증가하여 일반적으로 볼 수 없던 새로운 특성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물질과 방법을 통해 나노입자의 특성을 조절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liquid-solid-solution과 같은 여러 합성 방법들은 무엇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지는가? 6) 대부분의 산화물 나노입자는 hydrothermal 합성, sol-gel 합성, oxalate 합성, liquid-solid-solution 등의 많은 방법을 통해 합성된다.7-13) 각각의 합성법은 나노입자가 형성되는 방식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Hydrothermal 합성은 특수 제작된 챔버 내에 고압과 고온을 통해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합성법이다.
나노입자로 연구되고 있는 것 중 가장 많이 연구되는 것은? 물질의 크기가 벌크에서 나노사이즈로 작아지게 되면서 전체 표면적이 증가하여 일반적으로 볼 수 없던 새로운 특성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물질과 방법을 통해 나노입자의 특성을 조절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1,2) 주로 ZrO2, ZnS, Nb2O3, PbO, BaTiO3, SrTiO3, Ba(1-x)SrxTiO3와 같은 물질들이 나노입자로 연구가 되고 있으며,3-5) 그 중에서도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나노압전소자 등의 영역에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로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Ba(1-x)SrxTiO3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다.6) 대부분의 산화물 나노입자는 hydrothermal 합성, sol-gel 합성, oxalate 합성, liquid-solid-solution 등의 많은 방법을 통해 합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W. Lee, "Nano Material Technology Trend (in Kor.)", KISTI, Daejeon, 2 (2004). 

  2. W. T. Kim, "The Present Status and Outlook of Nano Technology (in Kor.)", Proc.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KIST, Seoul, 37 (2001). 

  3. C. Liu, T. J. Hajagos, D. Chen, Y. Chen, D. Kishpaugh, and Q. Pei, "Efficient one-pot synthesis of colloidal zirconium oxide nanoparticles for high-refractive-index nanocomposites", ACS Appl. Mater. Interfaces., 8(7), 4795 (2016). 

  4. T. Higashihara and M. Ueda, "Recent progress in high refractive index polymers", Macromolecules, 48(7), 1915 (2015). 

  5. S. Maeda, M. Fujita, N. Idota, K. Matsukawa, and Y. Sugahar, "Preparation of transparent bulk $TiO_2$ /PMMA hybrids with improved refractive indices via an in situ polymerization process using $TiO_2$ nanoparticles bearing PMMA chains grown by surface-init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CS Appl. Mater. Interfaces., 8(50), 34762 (2016). 

  6. M. Vijatovic, J. D. Bobic, and B. D. Stojanovic, "History and Challenges of Barium Titanate: Part I", Sci. Sinter., 40(2), 155 (2008). 

  7. T. Y. Lee, K. H. Kim, M. S. Kim, J. H. Choi, M. S. Kim, and S. H. Yoo, "Light Efficiency of LED Package with $TiO_2$ -nanoparticle-dispersed Encapsulant", J. Microelectron. Packag. Soc., 21(3), 31 (2014). 

  8. X. Wang, B. I. Lee, M. Hu, E. A. Payzant, and D. A. Blom, "Nanocrystalline $BaTiO_3$ powder via a sol process ambient conditions", J. Eur. Ceram. Soc., 26, 2319 (2006). 

  9. J. B. Mamani, L. F. Gamarra, and G. E. de S. Brito,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e_3O_4$ nanoparticles with perspectives in biomedical applications", Mat. Res., 17, 542 (2014). 

  10. P. K. Dutta and J. R. Gregg, "Hydrothermal synthesis of tetragonal barium titanate ( $BaTiO_3$ )", Chemistry of materials, 4(4), 843 (1992). 

  11. M. Niederberger, N. Pinna, J. Polleux, and M. Antonietti, "A general soft?chemistry route to perovskites and related materials: synthesis of $BaTiO_3$ , $BaZrO_3$ , and $LiNbO_3$ nanoparticles", Angew. Chem., 43(17), 2270 (2004). 

  12. M. L. Moreira, G. P. Mambrini, D. P. Volanti, E. R. Leite, M. O. Orlandi, P. S. Pizani, V. R. Mastelaro, C. O. Paiva-Santos, E. Longo, and J. A. Varela, "Hydrothermal microwave: a new route to obtain photoluminescent crystalline $BaTiO_3$ nanoparticles", Chem. Mater., 20(16), 5381 (2008). 

  13. S. I. Ohara, A. Kondo, H. Shimoda, K. Sato, H. Abe, and M. Naito, "Rapid mechanochemical synthesis of fine barium titanate nanoparticles", Mater. Lett., 62(17-18), 2957 (2008). 

  14. W. Han, B. W. Yoo, K.-H. Kwon, H. H. Cho, and H.-H. Park, "Fluorine ligand exchange effect in poly (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with embedded fluorinated barium titanate nanoparticles", Thin Solid Films, 619, 17 (2016). 

  15. G. Dermont, M. Bergeron, G. Mercier, and M. Richer-Lafleche, "Soil washing for metal removal: a review of physical/ chemical technologies and field applications", J. Hazard. Mater., 152(1), 1 (2008). 

  16. S. J. Chang, W. S. Liao, C. J. Ciou, J. T. Lee, and C. C. Li, "An efficient approach to derive hydroxyl groups on the surface of barium titanate nanoparticles to improve its chemical modification ability", J. Colloid. Interface Sci., 329(2), 300 (2009). 

  17. Y. C. Chen, C. C. Tsai, and Y. D. Le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ilylated PTFE/ $SiO_2$ organic-inorganic hybrids via sol-gel process",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42(7), 1789 (2004). 

  18. X. Zhang, H. Chen, Y. Ma, C. Zhao, and W. Yanga, "Preparation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core-shell structural composites of poly (1H, 1H, 2H, 2H-perfluorooctyl methacrylate)@ $BaTiO_3$ nanoparticles", Applied Surface Science, 277, 121 (2013). 

  19. M. Iijima, N. Sato, I. W. Lenggoro, and H. Kamiya, "Surface modification of $BaTiO_3$ particles by silane coupling agents in different solvents and their effect on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_3$ /epoxy composites",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352(1-3), 88 (2009). 

  20. S. S. Chee and J. H. Lee, "Effects of Synthetic Temperature and Amount of Oleylamine in Synthesis of Cu-Based Nanoparticles Using Heptyl Alcohol Solvent", J. Microelectron. Packag. Soc., 21(3), 57 (2014). 

  21. G. McHale, N. J. Shirtcliffe, and M. I. Newton, "Contactangle hysteresis on super-hydrophobic surfaces", Langmuir, 20(23), 10146 (2004). 

  22. M. Luo, J.-Q. Zhao, W. Tang, and C.-S. Pu, "Hydrophilic modification of poly (ether sulfone) ultrafiltration membrane surface by self-assembly of $TiO_2$ nanoparticles", Applied Surface Science, 249(1-4), 7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