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전소재 성능 증대를 위한 점결함 제어 전략
Point Defect Engineering Approache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rmoelectric Materials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6 no.4, 2019년, pp.157 - 161  

김현식 (홍익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정형모 (강원대학교 재료공학전공) ,  최순목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  이규형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재의 전기전도 거동과 열전도 거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은 열전소재의 성능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다결정 소재가 근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결함구조와 열전소재의 물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0 차원의 점결함 형성에 의해 전기전도 특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열전도 특성을 저감하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점결함 형성에 의한 소재의 전기전도 거동 및 열전도 거동 변화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벌크 열전소재에서 실험적으로 구현된 결과와 연계하여 고성능 열전소재 개발에 필수적인 소재설계 지침에 대한 실효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ependent control of electronic and thermal transport behaviors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approache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rmoelectric materials. To address this, many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ct structures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have been carried out since d...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에 나타낸 두 가지 상충관계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0차원 점결함(point defect)과 열전물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조성 제어 기반의 점결함 형성에 의한 zT 증대 전략 및 실험 사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0차원 점결함 형성 기술은 근본적으로 소재의 조성제어를 바탕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최근 진행되고 있는 1차원, 2차원, 3차원 결함 형성 기술과 비교하여 소재 제조 공정 및 성능 재현성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결함과 소재의 전기전도 및 열전도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열전소재의 성능을 증대할 수 있는 점 결함 형성 기반의 소재개발 전략과 실험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소재에 따라 결정구조, 밴드구조, 전자전도 및 열전도 거동 등에 큰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열전소재의 성능증대를 위한 일반화된 점결함 형성 전략을 도출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관련된 이론이 잘 정립되어 있으며 관련된 실험적 근거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소재 설계 및 합성으로 고성능 열전소 재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전현상이란 무엇인가? 반도체 특성의 소재에 열에너지를 인가하면 가전도대 (valence band)의 전자가 전도대(conduction band)로 여기 되어 소재의 고온부에서 저온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소 재 양단의 온도차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생성되며 이러한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의 가역적이고 직접적인 변환을 열전현상(thermoelectric effect) 이라 한다. 열전현상은 열 전대(thermocouple)을 이용한 온도측정의 원리를 제공하며, p형 열전소재와 n형 열전소재를 연결하여 열전모듈 (thermoelectric module)을 제작할 경우 열전냉각(TEC, thermoelectric cooling) 및 열전발전(TEG,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에 응용할 수 있다.
전기전도 거동과 열전도 거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진행되는 연구는 무엇인가? 소재의 전기전도 거동과 열전도 거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은 열전소재의 성능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다결정 소재가 근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결함구조와 열전소재의 물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0 차원의 점결함 형성에 의해 전기전도 특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열전도 특성을 저감하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점결함 형성에 의한 소재의 전기전도 거동 및 열전도 거동 변화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벌크 열전소재에서 실험적으로 구현된 결과와 연계하여 고성능 열전소재 개발에 필수적인 소재설계 지침에 대한 실효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열전냉각의 장점은 무엇인가? 열전냉각은 냉매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적이며 압축기가 필요 없는 소형화-무진동-저소음 냉각 시스템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반도체 소재를 이용한 능동형 냉각방식으로 고밀도 냉각 및 정밀온도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B. Riffat, and X. Ma, "Improving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of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s: a review", Int. J. Energy Res., 28(9), 753 (2004). 

  2. P. Anandan, M. Omprakash, M. Azhagurajan, M. Arivanandhan, D. Rajan Babu, T. Koyama, and Y. Hayakawa, "Tailoring bismuth telluride nanostructures using a scalable sintering process and their thermoelectric properties", CrystEngComm, 16(34), 7956 (2014). 

  3. M. J. Costello, S. Johnson, K. O. Gilliland, C. D. Freel, and W. C. Fowler, "Predicted light scattering from particles observed in human age related nuclear cataracts using mie scattering theory", Invest. Ophthalmol. Vis. Sci., 48, 303 (2007). 

  4. J. Callaway, and H. C. von Baeyer, "Effect of Point Imperfections on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Phys. Rev., 120(4), 1149 (1960). 

  5. B. Abeles,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of Disordered Semiconductor Alloys at High Temperatures", Phys. Rev., 131(5), 1906 (1963). 

  6. K. H. Lee, S.-M. Choi, J. W. Roh, S. Hwang, S.-I. Kim, W. H. Shin, H. J. Park, J. H. Lee, S. W. Kim, and D. J. Yang, "Enhanc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P-Type Bi-Sb-Te Alloys by Codoping with Ga and Ag", J. Electron. Mater., 44(6), 1531 (2015). 

  7. G. Meisner, D. Morelli, S. Hu, J. Yang, and C. Uher, "Structure and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of Fractionally Filled Skutterudites: Solid Solutions of Fully Filled and Unfilled End Members", Phys. Rev. Lett., 80(16), 3551 (1998). 

  8. B. Yu, M. Zebarjadi, H. Wang, K. Lukas, H. Wang, D. Wang, C. Opeil, M. Dresselhaus, G. Chen, and Z. Ren, "Enhancement of Thermoelectric Properties by Modulation-Doping in Silicon Germanium Alloy Nanocomposites", Nano Lett., 12(4), 2077 (2012). 

  9. D. Wu, Y. Pei, Z. Wang, H. Wu, L. Huang, L.-D. Zhao, and J. He, "Significantly Enhanc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 n-type Heterogeneous BiAgSeS Composites", Adv. Funct. Mater., 24(48), 7763 (2014). 

  10. Y.-L. Pei, H. Wu, D. Wu, F. Zheng, and J. He,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Realized in a BiCuSeO System by Improving Carrier Mobility through 3D Modulation Doping",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36(39), 13902 (2014). 

  11. G. J. Snyder, and E. S. Toberer, "Complex Thermoelectric Materials", Nat. Mater., 7(2), 105 (2008). 

  12. H.-S. Kim, N. A. Heinz, Z. M. Gibbs, Y. Tang, S. D. Kang, and G. J. Snyder,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 $(Bi_{0.25}Sb_{0.75})_2Te_3$ due to band convergence and improved by carrier concentration control", Mater. Today, 20(8), 452 (2017). 

  13. H. Wang, Y. Pei, A. D. LaLonde, and G. J. Snyder, "Weak electron-phonon coupling contributing to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 n-type PbSe", Proc. Natl. Acad. Sci., 109(25), 9705 (2012). 

  14. Y. Tang, Z. M. Gibbs, L. A. Agapito, G. Li, H.-S. Kim, M. B. Nardelli, S. Curtarolo, and G. J. Snyder, "Convergence of multi-valley bands as the electronic origin of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 $CoSb_3$ skutterudites", Nat. Mater., 14, 1223 (2015). 

  15. Y. Pei, H. Wang, and G. J. Snyder, "Band Engineering of Thermoelectric Materials", Adv. Mater., 24(46), 6125 (2012). 

  16. J. P. Heremans, V. Jovovic, E. S. Toberer, A. Saramat, K. Kurosaki, A. Charoenphakdee, S. Yamanaka, and G. J. Snyder, "Enhancement of thermoelectric efficiency in PbTe by distortion of the electronic density of states", Science, 321, 554 (2008). 

  17. Q. Zhang, H. Wang, W. Liu, H. Wang, B. Yu, Q. Zhang, Z. Tian, G. Ni, S. Lee, K. Esfarjani, G. Chen, and Z. Ren, "Enhancement of thermoelectric figure-of-merit by resonant states of aluminium doping in lead selenide", Energy Environ. Sci., 5, 5246 (2012). 

  18. C. M. Jaworski, V. Kulbachinskii, and J. P. Heremans, "Resonant level formed by tin in $Bi_2Te_3$ and the enhancement of room-temperature thermoelectric power", Phys. Rev. B., 80, 233201 (2009). 

  19. J. Y. Choi, and T. S. Oh,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p-type $(Bi_{0.2}Sb_{0.8})_2Te_3$ with Variation of the Hot-Pressing Temperature", J. Microelectron. Packag. Soc., 18(4), 33 (2001). 

  20. D. H. Park, M. R. Roh, M. Y. Kim, and T. S. Oh,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n-type $Bi_2(Te,Se)_3$ Processed by Hot Pressing", J. Microelectron. Packag. Soc., 17(2), 49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