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주시 일부 농업인의 가을철 발열성 질환 실태조사 -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
A Study on the Febrile Illness in Autumn among Farmers in Gyeongju-si - Scrub typhus, Leptospirosis, HFRS -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4 no.1, 2019년, pp.1 - 10  

김동섭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딜라람 아자리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유석주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지혁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가을철 발열성 질환으로 고위험군 중 재배농업인을 대상으로 선택하여 가을철 발열성 질환에 감염실태와 위험요인, 인지도을 조사하여 질병에 대한 증거기반에 전략을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농업인 감염병 실태조사 방법은 지역사회에 일부 재배농업인 841명을 혈청학적 검사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혈청학적 기준은 수동혈구응집법과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시행되었다. 혈청감염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쯔쯔가무시증이 나이가 증가할수록 혈청반응이 증가하였고, 렙토스피라증은 과거병력과 가족병력이 혈청반응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신증후군출혈열은 종사기간이 증가할수록 혈청반응이 증가하였다. 또 다른 결과로는 혈청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는 쯔쯔가무시증은 진드기에 물린 적이 있는 경우 혈청반응이 높았고, 렙토스피라증은 과수재배 관련된 일을 하는 경우 혈청반응이 높았다. 또한 신증후군출혈열은 비닐하우스 관련된 일을 한 적이 있는 경우 혈청반응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취악한 직업인 재배농업인 감염병에 대한 인식 형성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질병에 대한 조기 발견과 치료로 합병증 없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주민들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과 홍보 그리고 질병 특성에 맞는 특정 예방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tatus of Scrub typhus, Leptospirosis and HFRS(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among farmers with febrile illness. Methods: We involved a total of 841 farmers who had febrile illness(508 and 333 village residents were, respectively, three and four di...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들 세 질환 각각의 질병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있었으나, 가을철 발열성 질환의 대표적인 3개 질병에 대한 실태 파악과 위험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야외에서 활동빈도가 높아 이환되기 쉬운 고위험군인 논농사, 밭농사, 과수재배, 비닐하우스, 산일을 하시는 재배농업인 대상으로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질환의 실태를 파악하고, 위험요인 관련성을 분석하여 향후 지역사회에 맞는 근거기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가을철 발열성 질환의 고위험군 중 일부 지역사회 재배농업인 대상으로 각각의 질병에 대한 혈청 감염실태 파악과 혈청감염에 대한 일반적 특성, 위험요인을 분석한 연구이다. 쯔쯔가무시증의 경우 위험요인 및 인지도 분석한 연구들이 있지만,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의 경우 위험요인 및 인지도 분석한 연구는 국내에 없는 실정이다.
  • 이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가을철 발열성 질환으로 고위험군 중 재배농업인을 대상으로 선택하여 가을철 발열성 질환에 감염실태와 위험요인, 인지도을 조사하여 질병에 대한 증거기반에 전략을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표적인 3대 가을철 발열성 질환은 무엇인가? 법정감염병 분류 기준 제3군 감염병에 속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은 국내 대표적인 3대 가을철 발열성 질환이다[1]. 또한 유행할가능성이 간헐적으로 있어 그 발생을 감시하고 방역대책의 수립이 계속 필요한 감염병이다[2].
제3군법정감염병의 발병 원인은? 이환되는시기는 주로 9월에서 11월이며 경미한 증상에서부터전신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망자는2011년에서 2017년까지 쯔쯔가무시증 20명 내외,렙토스피라증 0명, 신증후군출혈열 3~8명 사이로 나타났다[1, 3]. 그리고 이 질환들은 벼 베기나 밭일, 성묘, 캠핑 등 가을철 야외 활동 중에 감염된 진드기나쥐에 노출되거나 흙이나 물 등이 오염되어 몸 속으로 원인균이 들어오면서 발병한다[4]. 쯔쯔가무시증은 1994년 제3군법정감염병에 지정되고 난 후 1998년부터 환자발생이 증가하여 2013년에 만 명 이상의환자가 처음 발생하였고, 2016년 11,105명 2017년10,528명이 신고되었다[5-6].
쯔쯔가무시증(tsutsugamushi disease)의 원인과 발생 특징은 무엇인가? 쯔쯔가무시증(tsutsugamushi disease)은 Orientiatsutsugamushi균의 병원체에 감염된 유충(chigger)이 우연히 사람을 물어서 발생하고 특징적인 피부궤양 가피(eschar)가 관찰된다[7].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은 들쥐가 주된 병원소이며 나선균의일종인 Leptospira interrogans의 병원체가 사람과동물을 감염시킨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