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농업인의 거주지역 선택 결정요인
Factors Influencing Young Farmers' Residential Location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6 no.4, 2019년, pp.181 - 191  

황정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윤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정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정용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farmers' residential loc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residential loc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on the stated preferen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farmers, this study develops a spatial econometrics model using...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정섭, 신소희, & 구본경(2018)의 연구에서는 청년들이 지역을 탐색할 때 정착 기반, 지원 정책의 유무 등 구체적 조건보다 준거집단으로 삼을 만한 이주 선배 청년이나 관심사가 유사한 커뮤니티가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고 보고한 바 있다. 농림어업총조사 자료를 통해 이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는 불가하기 때문에, 생산자조직 참여농가의 비율을 통해 간접적으로 생산자 커뮤니티의 활성화 정도 등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행정구역 더미 변인을 활용하여, 청년농업인이 선호하는 지역을 읍면동 수준에서 확인한다.
  •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거주지 선택과 관련한 대표적인 이론인 주거입지이론(residential location theory)에 대해 고찰한다. 아울러 귀농⋅귀촌인 혹은 청년농업인들이 선호하는 거주지역과 관련된 선행 연구사례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 본 연구는 청년농업인의 급격한 감소를 배경으로, 청년농업인 비율이 높은 지역의 특성을 읍면동 단위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농업인은 인구밀도가 높고, 주택 가격이 높은 지역, 도심지와의 거리가 가까운 지역, 면 지역보다 읍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청년농업인들이 선호하는 거주지역의 특성을 분석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관점과 접근방법은 뚜렷한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청년농업인의 농업경영 지원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정책에 더해 주거환경적 측면의 지원방향을 모색하는데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민간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한국체인스토어협회에서 구축해서 판매하고 있는 유통업체연감이 유일하다. 이 자료는 대형판매시설인 백화점 및 대형마트와 주거지 간의 평균적인 거리를 통제하기 위해서 활용하였다. 읍면동 단위에서 분석되는 만큼, 변인들은 읍면동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가설 설정

  • SEM은 종속변인의 공간적 의존도는 오차항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수식 (2)와 같다. 여기서 λ는 수량적(scalar) 공간 오차 계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입지란? 주거입지란 주거지로서의 유용성을 분석하는 것 또는 주거장소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이론으로 생태학적접근과 경제학적 접근이 있다. 도시생태학자들은 자연 생태계에서와 같이 생물들 간의 침입, 계승, 분화 등의 과정으로 주거입지의 공간적 패턴이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 반면, 도시경제학자들은 의사결정주체의 합리성 가정에 근거하여 개별 가구가 효용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주거입지가 결정되는 것으로 간주한다(이창효, 2012; 이호병, 2004).
주거입지를 분석하기 위한 대표적인 이론은? 주거입지란 주거지로서의 유용성을 분석하는 것 또는 주거장소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이론으로 생태학적접근과 경제학적 접근이 있다. 도시생태학자들은 자연 생태계에서와 같이 생물들 간의 침입, 계승, 분화 등의 과정으로 주거입지의 공간적 패턴이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 반면, 도시경제학자들은 의사결정주체의 합리성 가정에 근거하여 개별 가구가 효용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주거입지가 결정되는 것으로 간주한다(이창효, 2012; 이호병, 2004).
청년농업인의 정착 과정에서 주로 느끼는 어려움은? 청년농업인의 정착 과정에서 승계농과 귀농⋅귀촌한 경우의 경험은 사뭇 다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마상진, 정은미, & 김경인,2017). 창농 초기 시점에서 승계농은 ‘가족의 이해’를 어려움으로 꼽은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나, 신규농은 ‘경영자금확보’나 ‘농지 확보’의 어려움을 호소한 비율이 더 높았다. 삼선복지재단(2015)의 연구에서는 귀농⋅귀촌한 청년의 경우 주거, 일자리, 자금 등 기본적인 삶의 기반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더욱어려움을 겪는다고 했다. 그런데 청년농업인이 일단 정착한 이후의 결과를 살펴보면, 설비자금, 경영자금 등 자본 측면의 어려움이나 힘든 노동으로 인한 애로사항 못지않게 ‘생활여건 불편’의비율도 상당히 높은 수준(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권오상, & 강혜정. (2013). 지역특성을 반영한 농가소득 결정요인 분석. 농업경제연구, 54(2), 75-93. 

  2. 김기흥. (2018). 청년 농업인 지원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 사례. 농촌지도와 개발, 25(3), 161-173. doi:10.12653/jecd.2018.25.3.0161 

  3. 김명연, & 김은정. (2019). 근린환경 접근성은 공동주택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가?: 서울시 강남3구와 강북3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2), 229-250. doi:10.21189/JKUGS.22.1.11 

  4. 김정섭, 신소희, & 구본경. (2018). 청년의 지방 이주 지원 정책 추진 실태와 개선 방안. 서울: 청년허브. 

  5. 김현중, & 정일훈. (2017). 농촌 주거지 축소지역 예측: Dyna-CLUE 모형의 적용. 주거환경, 15(2), 51-66. doi:10.22313/reik.2017.15.2.51 

  6. 김현중, 한홍구, & 여관현. (2018). 지역적 특성이 빈집 발생에 미친 영향: 인구 구조 및 정주환경을 중심으로. IDI도시연구, 13, 43-76. doi:10.34165/urbanr.2018.13.43 

  7. 농림축산식품부. (2019).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8. 마상진, & 김경인. (2017). 청년 영농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마상진, & 김남훈. (2019). 청년 창업농의 성공적 정착에 미치는 요인 분석. 농촌경제, 42(1), 27-49. 

  10. 마상진, 박대식, 박시현, 최윤지, 최용욱, & 남기천. (2014). 귀농.귀촌인의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 1차년도(2014).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마상진, 정은미, & 김경인. (2017). 고령화시대 청년 창업 농업인 육성체계 개선방안.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박원석. (2010). 국내 대학생들의 임대 아파트에 대한 인식과 주거입지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5), 559-571. 

  13. 박원석. (2017).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173-188. doi:10.23841/egsk.2017.20.2.173 

  14. 삼선복지재단. (2015). 농촌으로 이주하는 청년층의 현실과 과제. 서울: 삼선복지재단. 

  15. 이백진, 서민호, 김혜란, & 정일호. (2012). 주거입지 선호의식 분석: 주거입지 요소별 한계수준과 가구특성별 격차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74, 17-33. doi:10.15793/kspr.2012.74..002 

  16. 이영주, & 이영호. (1998).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선택행태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4(6), 47-56. 

  17. 이창효. (2012). 토지이용-교통상호작용을 고려한 주거입지 예측모델 연구: DELTA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이호병. (2004). 주거입지모형의 비교 고찰. 부동산학보, 22, 181-187. 

  19. 정용경, 황정임, 최윤지, & 최정신. (2019). 청년농업인의 농업경영 특성과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6(3), 143-151. doi:10.12653/jecd.2019.26.3.0143 

  20. 최막중, & 임영진. (2001).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36(6), 69-81. 

  21. 한국체인스토어협회. (2016). 유통업체연감. 서울: 한국체인스토어협회. 

  22. 황인욱, 이소영, 주진수, 양주환, & 김종숙. (2017). 청년 농업인의 영농정착 성공 특성 및 영농수준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연구, 25(1), 21-45. 

  23. Aldanondo Ochoa, A. M., Casanovas Oliva, V., & Almansa Saez, C. (2007). Explaining farm succession: The impact of farm location and off-farm employment opportunities. Spanish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5(2), 214-225. doi:10.5424/sjar/2007052-241 

  24.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 286-306. doi:10.11 11/j.1538-4632.1995.tb00338.x 

  25. AERO, T. (2016). Residential choice from a lifestyle perspective. Housing, Theory and Society, 23(2), 109-130. doi:10.1080/14036090600773139 

  26. Bjarnason, T., & Thorlindsson, T. (2006). Should I stay or should I go? Migration expectations among youth in Icelandic fishing and farming communities. Journal of Rural Studies, 22, 290-300. doi:10.1016/j.jrurstud.2005.09.004 

  27. Bednarikova, Z., Bavorova, M., & Ponkina, E. V. (2016). Migration motivation of agriculturally educated rural youth: The case of Russian Siberia. Journal of Rural Studies, 45, 99-111. doi:10.1016/j.jrurstud.2016.03.006 

  28. Cavicchioli, D., Bertoni, D., & Pretolani, R. (2018). Farm succession at a crossroads: The interaction among farm characteristics, labour market conditions, and gender and birth order effects. Journal of Rural Studies, 61, 73-83. doi:10.1016/j.jrurstud.2018.06.002 

  29. Dieleman, F. M. (2001). Modelling residential mobility: A review of recent trends in research.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16, 249-265. doi:10.1023/A:1012515709292 

  30. Euractive. (2019). Young people and women in EU farming. Retrieved Oct. 21, 2019. from http://eurac.tv/9Qoq 

  31. Fujita, M. (1989). Urban economic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Garling, T., & Friman, M. (2001). A psych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residential choice and satisfaction. In Aragones, J., Francescato, G. & Garling, T. (Eds.), Residential environments: Choice, satisfaction, and behavior (pp. 55-80). London: Bergin & Garve. 

  33. LeSage, J. P. (1999). The theory and practice of spatial econometrics. Toledo, Spain: University of Toledo. 

  34. Maloir, C., Tillema, T., & Arts, J. (2009). Residential location preferences, accessibility and road proximity: Towards a better or more inclusive infrastructure planning? Bijdrage aan het Colloquium Vervoersplanologisch Speurwerk, Antwerpen. 

  35. May, D., Arancibia, S., Behrendt, K., & Adams, J. (2019). Preventing young farmers from leaving the farm: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young farmer payment using a behavioural approach. Land Use Policy, 82, 317-327. doi:10.1016/j.landusepol.2018.12.019 

  36. Nalson, J. S. (1968). Mobility of farm families: A study of occupational and residential mobility in an upland area of England. Manchester, England: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7. National Young Farmers Coalition. (2017). Building a future with farmers II: Results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national young farmer survey. Retrieved Jul. 17, 2019. from https://www.youngfarmers.org/wp-content/uploads/2019/03/NYFC-Report-2017_LoRes_Revised.pdf 

  38. Nijenhuis, K. (2013). Farmers on the move: Mobility, access to land and conflict in central and South Mali. Ph D. Dissertation. Wageningen, Netherland: Wageningen University. 

  39. Waddell, P. (1996). Accessibility and residential location: The interaction of workplace, residential mobility, tenure, ad location choices. Presented at the 1996 Lincoln Land Institute TRED Conference. 

  40. Zagata, L., & Sutherland, L. (2015). Deconstructing the 'young farmer problem in Europe' : Towards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Rural Studies, 38, 39-51. doi:10.1016/j.jrurstud.2015.01.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