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우울, 자아존중감, 충동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Impulsivit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 2019년, pp.269 - 280  

장선희 (경상대학교 대학원)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우울, 자아존중감, 충동성, 스마트폰 과의존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이들 요인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2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beta}=.411$, p<.001), 충동성(${\beta}=.204$, p=.007)과 우울(${\beta}=.200$, p=.040)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스마트폰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beta}=.630$, p<.001)과 충동성(${\beta}=.185$, p=.010) 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남녀 대학생의 충동성 조절 및 스마트폰에 대한 왜곡된 인식 변화를 통해서 남녀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self-determina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impulsivity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 우울, 자아존중감, 충동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를 살펴보고, 남녀별로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남녀 대학생을 위한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예방 전략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과의존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 이에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 우울, 자아존중감, 충동성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과의존이란? 이러한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은 스마트폰 중독 혹은 과의존 현상을 야기하는데, 아직까지 전세계적으로 어느 정도의 과도한 행동이 진정한 중독행위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정확한 용어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3].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는‘스마트폰 중독’이라는 용어 대신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개념을 규정하고 정의를 내렸는데, 스마트폰 과의존이란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현저 성(개인의 삶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활동)이 증가하고 이용조절력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에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로서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4]. ‘2017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1년 8.
2011년과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조사에서 모두 여성이 스마트폰 과의존 현상이 높다고 나타난 이유는? 0%)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스마트폰 과의존현상이 지속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 인터넷 혹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있어 성별의 차이는 남성은 인터넷 게임을 선호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정보획득이나 동영상 시청을 하는 반면에 여성은 남성에 비해 스마트폰의 다양한 컨텐츠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의사소통을 선호함으로 인해 스마트폰 활용 비율이 높아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7-9]. 그러나 지금까지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지난 5년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왜 스마트폰 과의존에 더 취약한 지에 대한 탐색 및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과의존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남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우울, 충동성이었고, 여학생의 경우 스마트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충동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H. Choi, H. Lee & J. Ha. (2012).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5), 1005-1015. 

  2. J. Yun et al. (2011). Smart phone addiction and health problem in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 Emergency, 3(2), 92-104. 

  3. K. P. Rosenberg & I. C. Feder. (2014). Behavioral addictions. London: Academic Press. 

  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7). 2017 Smartphone overdependence survey. Retrieved from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914&bcIdx19592&parentSeq19592 

  5. E. Koh & E. Kim. (2017). The impa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419-429. DOI: 10.14400/JDC.2017.15.5.419 

  6. E. Choi, J. Shin, J. Bae & M. Kim.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anxiety, impulsivity and agg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4(8), 329-341. DOI: 10.5392/JKCA.2014.14.08.329 

  7. J. Y. Lee, J. S. Yoo & G. Heo. (2014). The effects of gender, self-esteem, and self-control on the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3), 1557-1566. 

  8. H. S. Jeon & S. O. Jang. (201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8), 103-129. 

  9. M. Griffths & R. T. A. Wood. (2000). Risk factors in adolescence: the case of gambling, videogame playing, and the internet.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6(2-3), 199-225. DOI: 10.1023/A:1009433014881 

  10. E. L. Deci & R. M. Ryan.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Plenum Press. 

  11. M. Lee & A. Kim. (2008).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4), 157-174. DOI: 10.21193/kjspp.2008.22.4.010 

  12. M. S. Jung, H. M. Kim & H. Y. Kwon.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management on the association of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 159-174. 

  13. K. S. Young & R. C. Rogers.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1(1), 25-28. DOI: 10.1089/cpb.1998.1.25 

  14. S. Jun. (2012). Testing the buffering effects of social network service's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 study in gender difference. Studies on Korean Youth, 23(4), 5-25. 

  15. B. Kim, E. Ko & H. Choi. (201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Journal Studies on Korean Youth, 24(3), 67-98. 

  16. E. Kim, J. Kim, S. Choi & T. Nam.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6), 97-118. DOI: 10.21509/KJYS.2016.06.23.6.97 

  17. M. Bian & L. Leung. (2015). Linking loneliness, shyness, smartphone addiction symtpoms, and patterns of smartphone use to social capital.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33(1), 61-79. 

  18. J. M. Boumosleh & D. Jaalouk. (2018). Depression, anxiety,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A cross sectional study. PLoS ONE, 12(8), e0182239. DOI: 10.1371/journal.pone.0182239 

  19. K. Demirci, M. Akgonul & A. Akpinar. (2015).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severity with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 4(2), 85-92. DOI: 10.1556/2006.4.2015.010 

  20.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G. J. Madden & P. S. Johnson. (2010). A delay-discounting primer. In G. J. Madden & W. K. Bickel (Eds.), Impulsivity: the behavioral and neurological science of discounting (pp. 11-3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2. H. R. Choi & H. J. Lee. (2012).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conceptual issues, relationship, and clinical implicatio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1), 169-196. 

  23. J. Ahn. (2016). A study on the smart phone use behavior and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effect of depression, impulsiv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campus life.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6(4), 128-162. DOI: 10.14696/jcs.2016.12.16.4.128 

  24. H. S. Hwang, S. Sohn & Y. J. Choi. (2011).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characteristics of users and functional attribut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5(2), 277-313. 

  2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for youth and adults. Daegu: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6. L. S. Radol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27. K. K. Chon, S. C. Choi & B. C. Yang.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28.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Revised (CESD-R-10). Retrieved from https://www.brandeis.edu/roybal/docs/CESD-10_website_PDF.pdf 

  29. B. Jon.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11(1), 107-129. 

  30. J. H. Patton, M. S. Stanford & E. S. Barratt. (1995). Factor structure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 768-774. 

  31. Y. H. Sim, J. Y. Oh & J. H. Kim. (2012).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11th version: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3), 769-782. 

  32. S. Ju. (2015).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control. Forum for Youth Culture, 42, 97-127. 

  33. K. Hwang, Y. Yoo & O. Cho. (2012).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2(10), 365-375. 

  3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4). 2014 Internet addiction survey. Retrieved from http://www.nia.or.kr/bbs/board_view.asp?boardid201408061323065914&Order020403&id15626 

  35. H. Kwon, S. Park & D. Park.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in college lif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and smartphone overus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ublic health.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7(3), 87-100. 

  36. S. Kim & K. Kim. (2013). Cognitive approach to internet addiction improvement: focused on solution of craving and loss of contro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3), 421-443. 

  37. G. Cho & Y. Kim. (2014).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632-1640. DOI: 10.5762/KAIS.2014.15.3.1632 

  38. J. Lim, J. Lee, H. Kwak, M. Chang & B. Koo. (2017). The patterns of rapid response and choice impulsivity in young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2(3), 779-798. DOI: 10.17315/kjhp.2017.22.3.016 

  39. S. G. Park & J. Son. (2017).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anger on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Correction Welfare, 50, 33-56. 

  40. J. M. Ryoung & S. Shin. (2016). The effects of attachment trauma, self-esteem, depression, self-regul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focusing on 'Escape Theory Model'. Korean Journal of Addiction Psychology, 1(1), 31-53. 

  41. S. Cho & G. Jeon. (2016). Correlates of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4(1), 13-22. DOI: 10.17547/kjsr.2016.24.1.13 

  42. B. Chen, F. Liu, S. Ding, X. Ying, L. Wang & Y. Wen. (2017).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medical college students. BMC Psychiatry, 17, 341. DOI: 10.1186/s12888-017-1503-z 

  43. S. Kim. (2017).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adaptati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on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103-111. DOI: 10.2256/CS4SMB.2017.7.6.103 

  44. J. M. Sung. (2014). The effects of the stresse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 esteem. Mental Health & Social Work, 42(3), 5-32. 

  45. E. Kim. (2012). The effect of three needs in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ory on internet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9(2), 311-330. 

  46. H. Kim & H. Ahn. (2015). A study on the effect on flow and smartphone addiction by smartphone user's self-determin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2), 35-45. 

  47. H. Jung & H. Kim.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istic motiv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5(10), 123-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