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춘천 서상리 계곡부 샌드댐 설치를 위한 수문학적 예비 설계
Preliminary Hydrological Design for Sand Dam Installation at the Valley of Seosang-ri, Chuncheon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9 no.6, 2019년, pp.725 - 733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이정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샌드댐(Sand dam)은 계곡하천을 가로지르는 보에 의해 모래가 쌓이고 그 공극속으로 계곡수가 저장되어 수위가 높아지면서 가뭄때 보조 수자원으로 활용토록 하는 구조물이다. 주로 아프리카 지역 등 건조지역에서 활용되는 이 구조물은 우리나라에는 설치된 사례가 없으며 계곡토석류를 방지하는 일부 사방댐에서 취수를 하는 경우는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춘천 서상리 계곡부를 대상으로 기존 취수보 하류부에 샌드댐을 설치하였을 때 물공급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역수문모형과 저수지 추적 모형을 연계한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샌드댐의 규모와 취수량 등에 따른 댐체 내의 수위, 저류량, 방류량의 변화를 케이스별로 제시하였다. 적용 결과 샌드댐 설치로 인한 물공급 능력이 95% 신뢰도에서 제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하루 50톤의 물공급을 목표로 하였을 경우 L × B × Ho = 25 m × 15 m × 1 m 규모로 설치하고, 상류 취수보와 하류 샌드댐 취수량을 (Q1, Q2) = (30, 20), (35, 15) ㎥/day로 운영할 때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nd dams are structures that can be used as auxiliary water resources in case of drought as sand accumulates due to barriers crossing valley rivers and valley water is stored in the voids, increasing the water level. This structure, which is mainly used in arid regions such as Africa, has not been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춘천 서상리 지역을 대상으로 샌드댐의 저류용량을 설계하고 수자원 확보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유역수문모형 SWAT-K로 모의한 장기유출량과 방류구, 위어 등을 고려한 저수지 유출추적을 수행하였다. 취수보-샌드댐의 적정 규모를 선정하기 위해서 폭, 높이, 길이 등의 구조물의 제원을 변경해가면서 물공급 신뢰도를 95 % 이상 만족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춘천 서상리지역을 대상으로 샌드댐의 저류용량을 설계하고 수자원 확보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유역수문모형 SWAT-K (Kim et al., 2009)로 모의한 장기유출량과 방류구, 위어 등을 고려한 저수지 유출추적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때 샌드댐의 형태, 규모, 취수량 조건 등에 따른 댐내 수위, 저류량, 방류량 등의 변화를 분석하여 설치 부지에 대한 적정 설계 인자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 2009)로 모의한 장기유출량과 방류구, 위어 등을 고려한 저수지 유출추적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때 샌드댐의 형태, 규모, 취수량 조건 등에 따른 댐내 수위, 저류량, 방류량 등의 변화를 분석하여 설치 부지에 대한 적정 설계 인자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샌드댐(Sand dam)이란? 샌드댐(Sand dam)은 계곡하천을 가로지르는 보에 의해 모래가 쌓이고 그 공극속으로 계곡수가 저장되어 수위가 높아지면서 가뭄때 보조 수자원으로 활용토록 하는 구조물이다. 주로 아프리카 지역 등 건조지역에서 활용되는 이 구조물은 우리나라에는 설치된 사례가 없으며 계곡토석류를 방지하는 일부 사방댐에서 취수를 하는 경우는 찾아볼 수 있다.
샌드댐(Sand dam)의 활용 사례는? 샌드댐(Sand dam)은 계곡하천을 가로지르는 보에 의해 모래가 쌓이고 그 공극속으로 계곡수가 저장되어 수위가 높아지면서 가뭄때 보조 수자원으로 활용토록 하는 구조물이다. 주로 아프리카 지역 등 건조지역에서 활용되는 이 구조물은 우리나라에는 설치된 사례가 없으며 계곡토석류를 방지하는 일부 사방댐에서 취수를 하는 경우는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춘천 서상리 계곡부를 대상으로 기존 취수보 하류부에 샌드댐을 설치하였을 때 물공급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샌드댐의 효과는? 샌드댐(Sand dam)은 중소규모의 모래하천에 설치된 횡단구조물로 유송토사를 축적하고 그 공극속에 물이 저장되어 가뭄시 이를 사용하기 위해 건설된다(Sivils and Brock, 1981). 샌드댐을 설치하게 되면 흐름에 저항이 일어나 유속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조립질 하상토사가 제체상류부에 퇴적되고 이로써 하상이 증고되어 댐높이에 이르게 된다. 이처럼 증고된 하상의 공극속으로 지하수가 저장되도록 인위적 함양을 유도하는 것이 이 구조물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Hoogmoed,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rnold, J. G. and Fohrer, N. (2005). "SWAT2000: Current capabiliti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in applied watershed modeling." Hydrological Processes, Vol. 19, No. 3, pp. 563-572. 

  2. Chung, I. M., Lee, J., Lee, J. E. and Choi, J. R. (2018). "The estimation of sand dam storage using a watershed hydrologic model and reservoir routing method." The J. Eng. Geol., Vol. 28, No. 4, , pp. 541-552 (in Korean). 

  3. Ertsen, M. and Hut, R. (2009). "Two waterfalls do not hear each other. Sand-storage dams, scie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Kenya." Phys. Chem. Earth, Vol. 34, No. 1-2, pp. 14-22. 

  4. Hanson, G. and Nilsson, A. (1986). "Ground-water dams for rural-water supplies in developing countries." Ground Water, Vol. 24, No. 4, pp. 497-506. 

  5. Hatem, A. (2016). "Experimental investigation about the effect of sand storage dams on water quality." J. Pure Appl. Sci., Vol. 28, No. 2, pp. 485-491. 

  6. Hoogmoed, M. (2007). Analyses of impacts of a sand storage dam on groundwater flow and storage: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Kitui District, Kenya, Msc., Thesis, VU University, Amsterdam. 

  7. Kim, N. W., Chung, I. M., Kim, C., Lee, J. and Lee., J. E.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SWAT-K (Korea). In: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Global Applications, J. Arnold et al. Eds., Special Publication No. 4, World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Bangkok, Thailand. 

  8. Kim, N. W., Chung, I. M., Won, Y. S. and Arnold, J. G.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356, No. 1-2, pp. 1-16. 

  9. Ryan, C. and Elsner, P. (2016). "The potential for sand dams to increase the adaptive capacity of East African drylands to climate change." Reg. Environ. Chang., Vol. 16, No. 7, pp. 2087-2096. 

  10. Sivils, B. E. and Brock, J. H. (1981). "Sand dams as a feasible water development for arid regions." J. Range Manag., Vol. 34, No. 3, pp. 238-2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