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증진을 목표로 한 중재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Intervention Study to Improve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289 - 296  

김세연 (우석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고찰을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향상을 목표로 한 중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위해 "뇌성마비, 아동, 참여, 중재"등의 검색어를 사용하여 EBSCohost를 포함한 6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총 11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근거수준 I 단계는 6편(54.5%)이었으며, 신체구조와 기능에 초점을 둔 중재방법의 연구는 7편(63.7%), 활동과 참여에 초점을 둔 중재방법의 연구는 각각 2편(18.2%)이었다. 종속변인이 참여와 신체구조와 기능, 활동 모두인 경우는 2편(18.2%), 참여와 함께 신체구조와 기능인 연구는 4편(36.4%), 참여와 활동인 연구는 3편(27.3%), 참여만 종속변인인 연구는 2편(18.2%)이었다. 측정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된 도구는 COPM으로 5편(45.5%)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과 측정도구를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rticle measuring treatment outcom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participation. The 6 database included EBSCohost was used for literature search. Key words for search strategy were "Cerebral Palsy and Children and Participation and Interventions". A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체계적 고찰을 통해 2010년 이후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향상을 목표로 한 중재연구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선정된 연구에서 뇌성마비 아동의 연령, 신체적 기능, 마비 부위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향상을 위해 사용된 중재유형, 종속변수의 ICF 영역과 종속변수의 측정방법 등을 분석함으로써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연구는 참여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체계적 고찰을 통해 2010년 이후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향상을 목표로 한 중재연구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선정된 연구에서 뇌성마비 아동의 연령, 신체적 기능, 마비 부위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근거수준 Ⅰ단계에 해당하는 무작위 대조연구가 가장 많았다. 무작위 대조연구는 중재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가장 신뢰할 만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 이러한 실험설계를 사용한 연구들은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향상을 위해 효과적이고 신뢰할 만한 중재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종속변인은 참여 이외 수행과 만족도, 삶의 질 등이 자주 사용되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측정도구는 COPM이었다. 본 연구는 2000 년대 ICF에서 참여를 강조한 이후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유형과 치료효과를 측정하는 도구를 알아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참여가 중요해짐에 따라 체계적 고찰을 통해 2010년 이후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향상을 목표로 한 중재연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둘째, 선정된 연구에서 뇌성마비 아동의 연령, 신체적 기능, 마비 부위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 향상을 위해 사용된 중재유형, 종속변수의 ICF 영역과 종속변수의 측정방법 등을 분석함으로써 뇌성마비 아동의 참여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사는 무엇을 목표로 설정해야하나? 오늘날 참여를 강화하는 것은 다양한 장애를 가진 아동을 위한 재활치료의 궁극적인 목표이다[14]. 작업치료사는 클라이언트 중심 참여를 치료 목표로 설정해야 하며, 물리적 및 사회적 환경에서 장애물을 파악하고 실제 생활에서 경험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생태학적인 중재를 사용해야 한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연구는 참여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질적 근거기반 연구의 수준 분류표로 볼 수 있는 5단계는 무엇인가? 논문 연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5 단계로 분석하는 질적 근거기반 연구의 수준(Hierarchy of levels of evidence for evidence-based practice) 분류표를 사용하였다[16]. Ⅰ단계 수준은 체계적 고찰, 메타분석, 무작위 임상실험연구가 해당되며, Ⅱ단계 수준은 두 집단 비무작위 연구, Ⅲ단계 수준은 단일그룹 비무작위 실험연구, Ⅳ단계 수준은 단일대상 연구 및 설문조사 연구, Ⅴ단계 수준은 사례연구, 서술연구, 질적연구가 해당되며, Ⅴ 단계로 갈수록 근거수준은 낮아진다.
뇌성마비는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출생 전후 미성숙한 뇌 손상으로 인해 움직임과 자세에 영구적 장애로 활동에 제한을 가져오는 비진행성 질환이다. 뇌성마비 발병률은 전체 인구의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 Y. Hong. (1999). Pediatric science, Daehangyugaseo Corp. 

  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Geneva, Swtizerland: Author. 

  3. C. Imms, S. Mathews, K. Nicola Richmond, M. Law & A. Ullenhag. (2016). Optimising leisure participation: a pilot intervention study for adolescents with physical impairment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8(10), 963-971. 

  4. J. McDougall, G. King, D. DeWit, L. Miller, S. Hong, D. Offord, J. LaPorta & K. Meyer. (2004). Chronic physical health conditions and disability among Canadian school-aged children: A national profil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6(1), 35-45. 

  5. M. Brown & W. A. Gordon. (1987). Impact of impairment on activity patterns of childre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8, 828-832. 

  6. C. J. Stevenson, P. O. D. Pharoah & R. Stevenson. (1997). Cerebral palsy-the transition from youth to adulthood.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39, 336-342. 

  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Children and Youth Version. Geneva, Swtizerland: Author. 

  8. 1A. D. Henry. (2000). Pediatric interest profiles: Surveys of pla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an Antonia, TX: Therapy Skill Builders. 

  9. G. King et al. (2004). Children's Assessment of Participation and Enjoyment (CAPE) and Preferences for Activities of Children (PAC). San Antonio, TX: Harcourt Assessment. 

  10. S. Rosenblum, D. Sachs & N. Schreuer. (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hildren's leisure assessment scal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633-641. 

  11. K. Bowman. (1999). Development of Activity Card Sort for children: Does parental report on the Activity Card Sort reflect similar results of their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degre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12. D. Anaby, C. Hand, L. Bradley, B. DiRezze, M. Forhan, A. DiGiacomo & M. Law. (2013).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 on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disabilities: A scoping review.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5, 1589-98. 

  13. G. Bedell. (2004). Developing a follow-up survey focused on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acquired brain injuries after inpatient 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19, 191-205. 

  14. L. Rosenberg, T. Jarus & O. Bart. (2010).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naire (CPQ).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2(20), 1633-1644. 

  15. G. A. King, P. J. Baldwin, M.Currie & J. Evans. (2005). Planning successful transitions from school to adult roles foryouth with disabilities. Children's Health Care, 34, 93-216. 

  16. M. Arbesman, J. Scheer & D. Lieberman.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se. OT Practise, 13(5), 18-22. 

  17. A. F. Bailes, C. Cadwell, M. Clay, M. Tremper, K. Dunning & J. Long. (2017). Participation and community-based walking activity after neuroprosthesis use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Journal of Pediatric Rehabilitation Medicin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10, 71-79. 

  18. Y. L. Kerkum, J. Harlaar, A. l. Buizer, J. C. van den Noort, J. G. Becher & M. A. Brehm. (2013). Optimising ankle foot orthose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alking with excessive knee flexion to improve their mobility and participation; protocol of the AFO-CP study. BMC Pediatircs, 13(17), 13-21. 

  19. P. E. Gates, D. Banks, T. E. Johnson, S. R. Campbell, J. P. Gaughan, S. A. Ross, J. R. Engsberg & C. Tucker. (2012).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sessing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a supported speed treadmill training exercise program vs. a strengthen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Pediatric Rehabilitation Medicin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5, 75-88. 

  20. C. Schranz, A. Kruse, T. Nelohlavek, G. Steinwender, M. G., Tilp, T. Pieber & M. Svehlik. (2018). Does home-based progressive resistance or high-intensity circuit training improve strength, function, activity or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9, 2457-64. 

  21. L. F. van Vulpen, S. de Groot, E. A. Rameckers, J. G. Becher & A. J. Dallmeijer. (2018). Improved parent-reported mobility and achievement of individual goals 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level after functional power-training in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double-baseline controlled trial.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4(5), 730-7. 

  22. N. Gibson, A. Chappell, A. M. Blackmore, S. Morris, G. Williams, N. Bear & G. Allison. (2018). The effect of a running intervention on running ability and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40(25), 3041-3049. 

  23. Y. L. Hsieh, C. C. Yang, S. H. Sun, S. Y, Chan, T. H. Wang & H. J. Luo. (2017). Effects of hippotherapy on body functions,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ased on ICF-CY assesment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9(17), 1703-1713. 

  24. K. Lauruschkus, I. Hallstrom, L. Westbom, A. Tornberg & E. Nordmark. (2017).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on prescription. Archives of Physiotherapy, 7-13. 

  25. L. van Wely, A. C. J., Balemans, J. G. Becher & A. J. Dallmeijer. (2014). The effectiveness of a physical activity stimul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social participation, self-perception and quality of lif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8(10), 972-982. 

  26. S. E. Reedman, R. N. Boyd, C. Elliott & L. Sakzewski. (2017). ParticiPAte CP: a protocol of randomized waitlist controlled trial of a motivational and behavior change therapy intervention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through meaningful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MJ open, 7(7), e015918. 

  27. S. E. Reedman, R. N. Boyd, S. G. Trost, C. Elliott & L. Sakzewski. (2019). Efficacy of Participation-focused therapy on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goals and habitual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00, 676-686. 

  28. M. Law et al. (2006).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recreational and leisure activities among children with complex physic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8, 337-342. 

  29. J. L. Mahoney, H. Lord & E. Carry. (2005). An Ecological analysis of after-school program particip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cademic performance and motivational attributes for disadvantag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76(4), 811-825. 

  30. A. D. Henry. (1998). Pediatric interest profiles: Surveys of pla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an Antonia, TX: Therapy Skill Builders. 

  31. R. J. Palisano, L. J. Kang, L. A. chiarello, M. Orlin, D. Oeffinger & J. Maggs. (2009). Social and community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cerebral palsy is associated with age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Physical Therapy, 89(12), 1304-1314. 

  32. V. Manus, P. Corcoran & I. J. Perry. (2008).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pre-teenage children living with cerebral palsy in South West Ireland. BMC Pediatrics, 8, 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