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 비만남성의 의복 사이즈체계 연구를 통한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 기반 구축
Building up the foundation for the elderly apparel industry through the study on a clothes-sizing system of elderly obese male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7 no.6, 2019년, pp.632 - 644  

성옥진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김숙진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an efficient clothes-sizing system for those experiencing obesity in old age with the aim of revitalizing the clothing industry for older obese people. The study targets 249 obese men aged 60 to 85 who satisfy a Rohrer index score of 1.6 or higher and a BMI (body mass index) of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60~85세의 노년 비만남성을 대상으로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Data(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2004)를 활용하여 효율성이 높은 노년 비만남성의 사이즈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노인인구 비중을 2030년에는 어떨 것이라 전망하고 있는가? 1%로 반세기 만에 4.5배 증가하였고, 2030년에는 24.3%, 2060년 40.1%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5). 따라서 국가적으로 고령사회를 준비하는 대책마련과 더불어 노인의 삶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어떤 시대보다도 노년기가 길어진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과 의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어나 어떤 시대보다도 노년기가 길어졌으며, 특히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빨라서 현재 상태로 고령화가 진행된다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데 8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의 노인인구 비중은 1960년 2.
노년 비만에 대한 체형, 패턴, 사이즈 체계등의 학문적 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인 이유는 무엇인가? 비만인구의 증가에 따라 비만 소비자를 위한 플러스사이즈 시장도 발달하였는데, 미국에서는 전문의류브랜드뿐 아니라 TV홈쇼핑에서도 플러스사이즈 의류의 판매율이 높은 반면에, 국내에서는 비만여성을 위한 의류시장이 200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국내 플러스사이즈 의류 시장은 동대문에서 제작되는 캐주얼 의류를 단순 판매하는, 비전문화된 소규모 온라인 쇼핑몰이 대부분이다(Yu1et al., 2013). 국내 플러스사이즈 의류시장의 고객연령은 대부분 중장년층과 여성에 맞추어져 있고, 남성비만 체형이나 노년 비만체형에 대한 플러스사이즈 의류시장은 아직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노년 비만체형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노년 비만에 대한 체형, 패턴, 사이즈 체계등의 학문적 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H. A. (2007). Apparel sizing system for women with obese figure - Focusing on the formal dress for 20s and 30s wome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 Kim, H. S., & Lee, M. H. (2008). A study on the body types of 40s, 50s, 60s of ob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4), 618-629. doi:10.5850/JKSCT.2008.32.4.618 

  3.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4).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보고서 [The fifth human body measurement report (Size Korea)]. Sejong-si: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비만백서 2018 [White paper on obesity 2018]. Retrieved June 5, 2019, from http://hi.nhis.or.kr/bb/ggpbb004/ggpbb004_m02.do?bm_idx&bm_type&bd_idxBD00007568&view_typeview&rnum2&search_gubun1&search_gubun2&search_gubun3&search_str&search_type&pageIndex 

  5. Seong, O. J., & Kim, S. J. (2015). Study on the body shapes of old aged obese women for the activation of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5), 755-767. doi:10.7741/rjcc.2015.23.5.755 

  6. Seong, O. J., & Kim, S. J. (2018). Building up the foundation for the elderly apparel industry through the study on the body shapes of elderly obese mal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6(5), 665-678. doi:10.29049/rjcc.2018.26.5.665 

  7. Seong, O. J., & Park, K. A. (2012). A study on the cloth sizing system for middle aged obese men - 35-55 years of ag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2), 231-243. doi:10.5850/JKSCT.2012.36.2.231 

  8. Statistics Korea. (2015). 한국의 사회동향 2015-02 고령화와 노인 삶의 변화 [Korean social trends 2015-02 aging and a change in the life of the elderly]. Retrieved June 3, 2019,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9. Suh, M. A., & Lee, S. H. (2000). A study clothing design preference & satisfaction with the fit of ready-to-wear clothing for older ma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6), 864-870. 

  10. Yi, K. H. (2003). 국내 실버의류시장의 현황과 과제 [Status and tasks of Korean silver apparel market].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Human Ecology, 2003, 27-40. 

  11. Yoon, J. W. (2007).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men in the 20s - Focusing on casual wear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Yoon, J. W., & Suh, M. A. (2011).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men in there 2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3), 449-459. 

  13. Yu1, H. K., Lee, S. M., & Ko, S. Y. (2013). Segmenting the plus-size women's apparel consumers using store patronag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35-45. doi:10.5805/SFTI.2013.15.1.0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