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자전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in Experiments of Earth's Rotation' by School Level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2 no.3, 2019년, pp.252 - 260  

한제준 (남원대산초등학교) ,  채동현 (전주교육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자전실험을 조사하여 학교 과학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지구의 자전을 학습하기 위한 실험 9가지를 조사 또는 개발하였으며, 초등 예비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이 실험을 실시하고 토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자전 실험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는 실험 준비가 간단하고 실험 과정이 쉬우며, 학생들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어 흥미를 느낄만한 실험을 선택하였고, 중·고등학교는 좀 더 난이도가 높고 다른 개념과 연계될 수 있는 실험을 선택하였다. 대학교는 지식을 응용, 능동적인 탐구, 컴퓨터 활용 능력, 어려운 난이도 등의 이유로 그에 맞는 효과적인 실험을 선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ist school science class by investigating effective Earth's rotation experiments of districts by school leve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or developed nine experiments for learning Earth's rotation, and conducted and discussed these experiments with 26 elementary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참여자들이 모든 실험을 수행하고, 연구자는 Table 2와 같은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제시하였다. 이 설문지는 설문 대상자들이 실험 후 나눈 의견을 바탕으로, 학교 급별 학생의 수준에 따라 적합한 실험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급별 즉,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 학생들이 지구의 자전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실험이 각각 무엇인지 한 가지씩 선택하고, 그 이유를 작성하였다.
  • 지구의 자전 개념은 낮과 밤과 같은 일상적인 천문 현상을 설명하는데 필요하며, 천체의 운동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바탕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지구의 자전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실험을 정리하고, 학교 급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실험에 대해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지구의 자전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기 위해 고안된 9가지의 실험을 조사 및 정리하고 초등학교에서 대학교까지 학교 급별로 적합한 지구의 자전 실험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낮과 밤과 같은 일상적인 천문현상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개념은? 지구의 자전 개념은 낮과 밤과 같은 일상적인 천문현상을 설명하는데 필요하며, 천체의 운동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바탕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지구의 자전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실험을 정리하고, 학교 급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실험에 대해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교 급별 효과적인 지구의 자전 실험은 분명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향성의 특징은? 하지만 초등학교와 대학교에 효과적인 실험에 대한 의견이 대부분 모아지는데 반해 중·고등학교에 효과적인 실험은 다양한 의견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 참여자인 예비교사들이 아직 현장 수업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이기 때문에 실제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알기 위한 후속 연구 또한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2. 김수정, 김형범, 한신, 정진우(2012). 초등학생의 공간능력 수준차이에 따른 지구자전에 관한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20-30. 

  3. 이용복, 하옥선(1997). 지구 자전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6(1), 103-122. 

  4. 장서연(2015). 초등학생의 지구자전에 대한 개념과 이해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정진우, 정재구, 문병찬, 문상연(2004). 흥미와 학습양식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지구의 자전 관련 개념.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32-544. 

  6. Anderas, C. (2008). Day/night cycle: Mental models of primary school childre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19(1), 65-83. 

  7. Brewer, W. F., Chinn, C. A., & Samarapungavan, A. (2000). Explanation in scientists and children. In F. C. Keil & R. A. Wilson (Eds.). Explanation and cognition (pp. 279-323). Cambridge, MA: MIT Press. 

  8. Chen, C. H., Yang, J. C., Shen, S., & Jeng, M. C. (2007). A desktop virtual reality earth motion system in astronomy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0(3), 289-304. 

  9. Hannust, T., & Kikas, E. (2007). Children's knowledge of astronomy and its change in the course of learn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1), 89-104. 

  10. Lelliott, A., & Rollnick, M. (2010). Big Ideas: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1974-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3), 1771-1799. 

  11. Pena, B. M., & Quilez, M. J. (2001). The importance of images in astronom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1), 1125-1135. 

  12. Plummer, J. D., Waskoa, K. D., & Slagleb, C. (2011). Children learning to explain daily celestial motion: Understanding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4), 1963-1992. 

  13. Trumper, R. (2000). University students' conceptions of basic astronomy concepts. Physical Education, 35(1), 9-16. 

  14. Valanides, N., Gritsi, F., Kampeza, M., & Ravanis, K. (2000). Changing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day/night cycl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8(1), 27-39. 

  15. Vosniadou, S., & Brewer, W. F. (1992). Mental models of the Earth: A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Cognitive Psychology, 24(4), 535-585. 

  16. Vosniadou, S., Skopeliti, I., & Ikospentaki, K. (2005). Reconsidering the role of artifacts in reasoni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globe as a model of the Earth. Learning and Instruction, 15(4), 333-3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