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 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 학습을 위한 역할놀이 활동의 학습 효과 및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Learning Effects and Difficulties of Role Play Activities to Learn Earth Rotation and Sun's Apparent Motion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1, 2020년, pp.29 - 39  

김성운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구 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학습하기 위한 역할놀이 활동의 학습 효과 및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서 역할 놀이 활동을 통한 개념 이해정도, 면담으로 수집한 활동에서 나타나는 어려움, 활동 중 시선이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2명이며, 역할 놀이 중 실험 행동과 사후 면담, 시선이동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역할 놀이 활동을 통해 지구의 자전과 자전방향은 설명할 수 있지만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하는 것은 어려워했다. 학생들은 역할 놀이 활동을 통해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지각하기 어려워하기 때문에, 자전에 의해 나타나는 태양의 겉보기 운동 개념을 학습하기 위한 역할 놀이 활동은 학습 효과가 낮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learning effects and difficulties of role play activities to learn the earth's rotation and the sun's apparent motion, the degree of concept understanding through role play activities, difficulties arising from activities collected by interview, and eye movement during...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지구 자전 역할놀이 활동을 수행한 학생들의 지구 자전 및 태양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이해 는 어떠한가?

  • 초등학교 5학 년을 대상으로 역할놀이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학생들의 실험 행동을 관찰하고 학생들이 언급한 어려움을 분석한다. 그리고 시선추적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지구 역할을 하면서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지각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 본 연구는 지구의 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학습하기 위한 역할놀이 활동의 학습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역할놀이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어려움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지구 역할을 하면서 태양의 겉 보기 운동을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시선추적방법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가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지각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해 시선추적을 하였다. 이에 연구 참여자의 안구 병력 여부와 나안시력을 사전에 확인하였다.
  • 이상의 연구 결과 1과 2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연구 참여자들이 전등의 겉보기 운동을 확인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겉보기 운동을 확인하기 어려운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선이동을 분석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구의 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 을 학습하기 위한 역할놀이 활동의 학습효과와 나타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5학 년을 대상으로 역할놀이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학생들의 실험 행동을 관찰하고 학생들이 언급한 어려움을 분석한다.
  • 분석틀의 범주는 ‘실험 행동’, ‘자전’, ‘태양의 겉보기 운동’, ‘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의 상대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실험 행동, 사후 면담결과를 종합하여 연구 참여자 개인별로 각 항목을 설명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가설 설정

  • 그리고 실험 과제를 아직 학습하지 않았으므로 연구 참여에 적절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한 기간은 2학기 후반이므로 연구 참여자들에게 있어 인지 발달상의 어려움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수정, 김형범, 한신, 정진우(2012). 초등학생의 공간능력 수준차이에 따른 지구자전에 관한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20-30. 

  2. 양일호, 정진우, 허명, 김석민(2006).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42-355. 

  3. 이경훈, 임종옥(2010).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한국지구과학회지, 31(3), 267-275. 

  4. 이용섭(2013).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영역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지식수준과 공간지각 능력과의 관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52-260. 

  5. 정진우, 정재구, 문상연, 문병찬(2004). 흥미와 학습양식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지구의 자전 관련 개념.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32-544. 

  6. 하옥선, 이용복(1997). 지구 자전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6(1), 103-122. 

  7. 한제준, 채동현(2018).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모양'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2), 107-115. 

  8. Begel, A., Garcia, D. D., & Wolfman, S. A. (2004). Kinesthetic learning in the classroom, SIGCSE '04: Proceedings of the 35th SIGCSE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Norfolk, VA, ACM Press, 183-184. 

  9. Black, A. A. (2005). Spatial ability and Earth science conceptual understand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4), 402-414. 

  10. Chinnici, J. P., Yue, J. W., & Torres, K. M. (2004). Students as human chromosomes in role-playing mitosis & meiosis.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6(1), 35-39. 

  11. Chiras, A. (2008). Day/night cycle: Mental models of primary school childre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19(1), 65-83. 

  12. Cole, M., Cohen, C., Wilhelm, J., & Lindell, R. (2018). Spatial thinking in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Physical Review Physics Education Research, 14(1), 010139. 

  13. Flavell, J. H., Miller, P. H., & Miller, S. A. (1993). Cognitive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14. Gibson, J. J. (2014).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Classic edition. Boston, MA: Houghton-Mifflin. 

  15. Goldstein, E. B., & Brockmole, J., 곽호완 등 역 (2016). Sensation and perception. New York: Brooks Cole. 감각 및 지각심리학, 서울: 박학사. 

  16. Hobson, S. M., Trundle, K. C., & Sackes, M. (2010). Using a planetarium software program to promote conceptual change with young childre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9(2), 165-176. 

  17. Jee, B. D., & Anggoro, F. K. (2019). Relational scaffolding enhances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s. Psychological Science, 30(9), 1287-1302. 

  18. Liversedge, S., Gilchrist, I., & Everling, S. (2011). The oxford handbook of eye movemen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 McSharry, G., & Jones, S. (2000). Role-play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Science Review, 82(298), 73-82. 

  20. Morrow, C. A. (2000). Kinesthetic astronomy: The sky time lesson. The Physics Teacher, 38(4), 252-253. 

  21. Padalkar, S., & Ramadas, J. (2011). Designed and spontaneous gestures in elementary astronom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2), 1703-1739. 

  22. Plummer, J. D. (2009). Early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 of astronomy concepts in the planetari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2), 192-209. 

  23.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1), 1-45. 

  24. Plummer, J. D., Kocareli, A., & Slagle, C. (2014). Learning to explain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Exploring the role of classroom and planetarium-based instructional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7), 1083-1106. 

  25. Plummer, J. D., Wasko, K. D., & Slagle, C. (2011). Children learning to explain daily celestial motion: Understanding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4), 1963-1992. 

  26. Reid, N., & Shah, I. (2007). The role of laboratory work in university chemistry.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8(2), 172-185. 

  27. Richards, T. (2012). Using kinesthetic activities to teach Ptolemaic and Copernican retrograde motion. Science & education, 21(6), 899-910. 

  28. Rodrigues, P., & Rosa, P. J. (2017). Eye-tracking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al context: A spanning framework. In Christopher, W., Frank, S., & Bradley, M., (Eds), pp. 1-26. Eye Tracking Technology Applications in Educational Research. 

  29. Ross, P. M., Tronson, D. A., & Ritchie, R. J. (2008). Increasing conceptual understanding of glycolysis & the Krebs cycle using role-play.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70(3), 163-168. 

  30. Sharp, J. G., & Grace, M. (2004). Anecdote, opinion and whim: Lessons in curriculum development from primary science education in England and Wales.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19(3), 293-321. 

  31. Slater, T. F., & Gelderman, R. (2017). Addressing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eclipses. The Physics Teacher, 55(5), 314-315. 

  32. Trout, K. P., & Gaston, C. A. (2001). Active-learning physics experiments using the Tarzan swing. The Physics Teacher, 39(3), 160-163. 

  33. Valanides, N., Gritsi, F., Kampeza, M., & Ravanis, K. (2000). Changing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day/night.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8(1), 27-39. 

  34. Vosniadou, S., & Brewer, W. F. (1994). Mental models of the day/night cycle. Cognitive Science, 18(1), 123-183. 

  35. Yu, K. C., Sahami, K., Sahami, V., & Sessions, L. C. (2015). Using a digital planetarium for teaching seasons to undergraduates. Journal of Astronomy & Earth Sciences Education, 2(1), 33-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