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달맞이순 (Oenothera laciniata) 에탄올 추출물 섭취가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마우스에서 항산화 및 비만억제효과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oral treatment with ethanol extract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6, 2019년, pp.529 - 539  

곽충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노화고령사회연구소) ,  김미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노화고령사회연구소) ,  김선기 ((주)셀투인) ,  박순영 ((주)다인내추럴) ,  김인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  강흔수 ((주)셀투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달맞이순의 항산화 및 항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달맞이순 50% 에탄올 추출물 (OLE)을 이용하여 4가지 방법으로 in vitro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고, C57BL/6 마우스에게 고지방식이 (45%Kcal fat)를 14주 동안 섭취시켜 비만을 유도하면서 OLE를 경구 투여하여 항비만효과와 in vivo 항산화효과를 알아보았다. OLE의 DPPH 라디칼 소거능SOD 유사 활성을 측정한 결과 IC50은 각각 26.2 ㎍/mL과 327.6 ㎍/mL이었으며, FRAP 측정 결과 100 ㎍/mL 농도에서 56.7 ㎍ AA eq./mL의 효능을 보였다. 또한, hUC-MSC 세포에 OLE (200 ㎍/mL)를 처리 한 결과 노화로 인하여 감소된 GSH 수준을 65.1% 증가시켰다. 한편, 마우스에게 고지방식이와 함께 OLE를 저수준 (50 mg/kg BW; OL50)과 고수준 (100 mg/kg BW; OL100)으로 경구 투여한 결과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41.5%와 42.2% 감소하였고, 내장지방량은 각각 40.5%와 45.9% 감소하였으며, 부고환지방세포의 크기는 각각 33.1%와 35.3% 감소하여 매우 우수한 비만억제효과를 보였다 (p < 0.05). OLE의 경구 투여는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렙틴 농도와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특히 OL100군에서는 동맥경화지수 및 혈중 MDA 농도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5). 마우스 지방조직에서 측정한 catalase와 SOD-1의 활성은 고지방식이섭취로 인하여 증가하였으나 OLE 경구 투여 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5). 또한, 부고환 지방에서 지방대사 관련 인자들의 mRNA 발현량을 RT-PCR로 측정한 결과 OLE의 경구 투여는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렙틴, PPARγ와 FAS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반면 고지방식이 섭취로 감소되었던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은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 < 0.05).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CPT-1의 발현량은 OLE 투여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SREBP-1c의 발현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in vitro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OLE를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하였을 때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낮추고, 지방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체중과 내장 지방량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OLE는 항산화기능식품 또는 비만 및 비만관련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기능성 천연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prouts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OL) were reported to have high contents of flavonoids an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OL sprouts to determine if they could be a natural health-beneficial resource preventin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본 연구팀은 국내산 달맞이순이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갖고 있고,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보고하였다 [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달맞이순 추출물을 섭취 시 항비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 아울러 많은 연구들은 [13,15,30] 주로 간에서 catalase, SOD, GPx 등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시료의 항산화효과를 평가한 반면 지방조직에서 이들 활성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지방조직에서의 이들 항산화효소들의 활성은 간에 비하면 더 낮지만 [6],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 분비량과 항산화 스트레스와는 밀접한 상관성이 있기 때문에 본연구에서는 지방조직에서 항산화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측정한 catalase 및 SOD-1의 활성은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유의하게 상승하였는데 이는 비만 쥐에서 내장 지방량의 증가로 인하여 활성산소의 생성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항산화효소들의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정의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발병률은 국내 뿐 아니라 많은 국가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심각한 보건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은 지방조직, 특히 내장지방세포에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하나 점차적으로 간이나 근육, 췌장 등 다른 여러 기관에도 축적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함으로써 다양한 질병을 야기한다. 지방조직은 잉여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소일 뿐 아니라 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아디포카인(adipokines)을 합성 분비함으로써 전신의 대사과정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내분비 기관으로도 인식되고 있다 [1].
달맞이꽃의 종자유의 효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봄철에 달맞이꽃 (Oenothera laciniata)에서 새로 돋아 나온 어린잎과 어린줄기를 채취해서 삶아 나물로 먹어 왔다. 달맞이꽃의 종자유는 감마 리노렌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18], 뿌리는 한방에서 월견초라 불리는데 피부염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19]. 또한, 뿌리를 제외한 부분의 50% 메탄올 추출물은 in vitro시스템에서 자극을 받은 인간 중성구에 처리했을 때 ROS생성을 억제하는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고 hyaluronidase 와 lipoxygenase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활성을 보였다고 보고 된 바 있다 [20].
내장지방조직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나타나는 문제점은? 지방조직은 잉여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소일 뿐 아니라 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아디포카인(adipokines)을 합성 분비함으로써 전신의 대사과정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내분비 기관으로도 인식되고 있다 [1]. 특히, 내장지방조직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면렙틴 (leptin), 아디포넥틴 (adiponectin), 레지스틴 (resistin), TNF-α,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등 아디포카인의 분비이상이 초래되고, NADPH oxidase 발현 증가, 대식세포의 침투 증가, 활성 산소 (ROS)의 생성 증가 등으로 인하여 만성적인 염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킴으로써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대사증후군, 심혈관질환, 알츠하이머와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 암 등의 발생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et al.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2004; 114(12): 1752-1761. 

  2. Nam YR, Won SB, Chung YS, Kwak CS, Kwon YH. Inhibitory effects of Doen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of mice fed a high-fat diet. Nutr Res Pract 2015; 9(3): 235-241. 

  3. da Costa GF, Santos IB, de Bem GF, Cordeiro VS, da Costa CA, de Carvalho LC, et al. The beneficial effect of anthocyanidin-rich Vitis vinifera L. grape skin extract on metabolic changes induced by high-fat diet in mice involve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ons. Phytother Res 2017; 31(10): 1621-1632. 

  4. Charradi K, Elkahoui S, Limam F, Aouani E. High-fat diet induced an oxidative stress in white adipose tissue and disturbed plasma transition metals in rat: prevention by grape seed and skin extract. J Physiol Sci 2013; 63(6): 445-455. 

  5. Gregor MF, Hotamisligil GS. Inflammatory mechanisms in obesity. Annu Rev Immunol 2011; 29: 415-445. 

  6. Galinier A, Carriere A, Fernandez Y, Carpene C, Andre M, Caspar-Bauguil S, et al. Adipose tissue proadipogenic redox changes in obesity. J Biol Chem 2006; 281(18): 12682-12687. 

  7. Carrasco-Pozo C, Cires MJ, Gotteland M. Quercetin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from molecular to clinical studies. J Med Food 2019; 22(8): 753-770. 

  8. Kowalska K, Olejnik A, Szwajgier D, Olkowicz M. Inhibitory activity of chokeberry, bilberry, raspberry and cranberry polyphenol-rich extract towards adipogenesis and oxidative stress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se cells. PLoS One 2017; 12(11): e0188583. 

  9. Lee OH, Seo MJ, Choi HS, Lee BY. Pycnogenol(R) inhibits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with the mod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ssociated with antioxidant enzyme responses. Phytother Res 2012; 26(3): 403-411. 

  10. Zhao Y, Chen B, Shen J, Wan L, Zhu Y, Yi T, et al. The beneficial effects of quercetin, curcumin, and resveratrol in obesity. Oxid Med Cell Longev 2017; 2017: 1459497. 

  11. Kim HJ, Kim B, Mun EG, Jeong SY, Cha Y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teamed ginger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obesity induced by high-fat diet in C57BL/6J mice. Nutr Res Pract 2018; 12(6): 503-511. 

  12. Kim JH, Kim OK, Yoon HG, Park J, You Y, Kim K, et al. Anti-obesity effect of extract from fermented Curcuma longa L. through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d lipolysis pathway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Food Nutr Res 2016; 60(1): 30428. 

  13. Tuzcu Z, Orhan C, Sahin N, Juturu V, Sahin K. Cinnamon polyphenol extract inhibits hyperlipidemia and inflammation by mod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in high-fat diet-fed rats. Oxid Med Cell Longev 2017; 2017: 1583098. 

  14. Castro-Barquero S, Lamuela-Raventos RM, Domenech M, Estruch R. Relationship between Mediterranean dietary polyphenol intake and obesity. Nutrients 2018; 10(10): 1523. 

  15. Naowaboot J, Wannasiri S, Pannangpetch P. Morin attenuates hepatic insulin resistance in high-fat-diet-induced obese mice. J Physiol Biochem 2016; 72(2): 269-280. 

  16. Fenni S, Hammou H, Astier J, Bonnet L, Karkeni E, Couturier C, et al. Lycopene and tomato powder supplementation similarly inhibit high-fat diet induced obesity, inflammatory response, and associated metabolic disorders. Mol Nutr Food Res 2017; 61(9): 1601083. 

  17. Gonzalez-Castejon M, Rodriguez-Casado A. Dietary phytochemicals and their potential effects on obesity: a review. Pharmacol Res 2011; 64(5): 438-455. 

  18. Timoszuk M, Bielawska K, Skrzydlewska E. Evening primrose (Oenothera biennis) biological activity dependent on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s 2018; 7(8): 108. 

  19. Yoon WJ, Ham YM, Yoo BS, Moon JY, Koh J, Hyun CG. Oenothera laciniata inhibits lipopolysaccharide in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prostaglandin 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RAW264.7 macrophages. J Biosci Bioeng 2009; 107(4): 429-438. 

  20. Garnica S, Czerwinska ME, Piwowarski JP, Ziaja M, Kiss AK.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prepared from aerial parts of Oenothera biennis L. anf Oenothera paradoxa Hudziok obtained after seeds cultivation. J Agric Food Chem 2013; 61(4): 801-810. 

  21. Kwak CS, Lee JH.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and gooseberry (Actinidia argu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2): 207-215. 

  22.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1974; 47(3): 469-474. 

  23. Jeong EM, Shin JW, Lim J, Kim JH, Kang H, Yin Y, et al. Monitoring glutathione dynamics and heterogeneity in living stem cells. Int J Stem Cells 2019; 12(2): 367-379. 

  24. Aebi H. Catalase in vitro. Methods Enzymol 1984; 105: 121-126. 

  25. Tappel AL. Glutathione peroxidase and hydroperoxides. Methods Enzymol 1978; 52: 506-513. 

  26. Yen GC, Chen HY.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city. J Agric Food Chem 1995; 43(1): 27-32. 

  27. Yang SL, Yu PL, Chung KR. The glutathione peroxidasemediated reactive oxygen species resistance, fungicide sensitivity and cell wall construction in the citrus fungal pathogen Alternaria alternata. Environ Microbiol 2016; 18(3): 923-935. 

  28. Lee YS, Kim AY, Choi JW, Kim M, Yasue S, Son HJ, et al. Dysregulation of adipose glutathione peroxidase 3 in obesity contributes to local and systemic oxidative stress. Mol Endocrinol 2008; 22(9): 2176-2189. 

  29. Kobayashi H, Matsuda M, Fukuhara A, Komuro R, Shimomura I. Dysregulated glutathione metabolism links to impaired insulin action in adipocytes.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9; 296(6): E1326-E1334. 

  30. Wu T, Yin J, Zhang G, Long H, Zheng X. Mulberry and cherry anthocyanin consumption prevents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diet-induced obese mice. Mol Nutr Food Res 2016; 60(3): 687-694. 

  31. Mounien L, Tourniaire F, Landrier JF. Anti-obesity effect of carotenoids: direct impact on adipose tissue and adipose tissue-driven indirect effects. Nutrients 2019; 11(7): 1562. 

  32. Rivera L, Moron R, Sanchez M, Zarzuelo A, Galisteo M. Quercetin ameliorates metabolic syndrome and improves the inflammatory status in obese Zucker rats. Obesity (Silver Spring) 2008; 16(9): 2081-2087. 

  33. Dong J, Zhang X, Zhang L, Bian HX, Xu N, Bao B, et al. Quercetin reduces obesity-associated ATM infiltration and inflammation in mice: a mechanism including $AMPK{\alpha}1/SIRT1$ . J Lipid Res 2014; 55(3): 363-374. 

  34. Cialdella-Kam L, Ghosh S, Meaney MP, Knab AM, Shanely RA, Nieman DC. Quercetin and green tea extract supplementation downregulates genes related to tissue inflammatory responses to a 12-week high fat-diet in mice. Nutrients 2017; 9(7): E773. 

  35. Lee JS, Cha YJ, Lee KH, Yim JE. Onion peel extract reduces the percentage of body fat in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a 12-week,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Nutr Res Pract 2016; 10(2): 175-181. 

  36. Gentile D, Fornai M, Pellegrini C, Colucci R, Benvenuti L, Duranti E, et al. Luteolin prevents cardiometabolic alterations and vascular dysfunction in mice with HFD-induced obesity. Front Pharmacol 2018; 9: 1094. 

  37. Liu Y, Fu X, Lan N, Li S, Zhang J, Wang S, et al. Luteolin protects against high fat diet-induced cognitive deficits in obesity mice. Behav Brain Res 2014; 267: 178-1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