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일부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위험요인 : 식품 섭취와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Risk factors for food allergy among children in Seoul: focusing on dietary habits and environmental factor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6, 2019년, pp.559 - 568  

장미정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환경건강연구실) ,  김규상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환경건강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 일부 아동 대상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과 위험 요인 및 다른 알레르기 질환과의 연관성 조사결과 식품알레르기 의사 진단 유병률은 14.2%, 알레르기 증상을 한번이라도 경험한 아동의 유병률은 20.4%, 최근 12개월 내 증상 경험 유병률은 17.4%이었다. 식품알레르기를 한번이라도 경험한 아동 612명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경험 특성을 도출한 결과 대부분 식품 경구 섭취를 통해 발생하였고 증상 유발식품은 난류, 복숭아, 우유, 땅콩, 새우 등이 있었다. 식품알레르기 증상 경험 유병과 12개월 내 주요 알레르기 유발 의심식품 섭취의 위험요인으로는 곡류, 감자류, 패스트푸드, 견과류, 우유 등이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식품 섭취의 경우 식품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아동일 경우 견과류, 우유 및 유제품, 난류의 섭취 빈도가 낮을수록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경적 위험요인으로 연령,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 항생제 복용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기타 알레르기 질환과도 관련이 있었다. 최근 식품 알레르기의 또 다른 환경적 위험요인으로 다른 연구들에서도 언급되는 요인이기에 이와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식품알레르기의 경험이 있는 아동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에 따라 규칙적인 식품 섭취와 조기진단을 통하여 유발식품을 명확히 알고 제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서울에 거주하는 아동의 유병률과 증상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도출할 기초자료로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and allergenic factors in a selected sample of children living in Seoul, Korea, along with their dietary habits, environmental factors, and diseases as risk factors for food allerg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일부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과 그 중 식품알레르기 증상을 한번이라도 겪은 아동의 알레르기 특성 및 그에 대한 위험요인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식품알레르기의 증상을 경험한 아동의 발병요인으로 식품 섭취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도출하여 궁극적으로 서울시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증상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서울시에 거주하는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증상 개선과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또한 식품알레르기 질환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환경적 특성, 식품알레르기 유병의 노출 형태, 발생 경로, 증상경험, 최근 12개월 내 알레르기 유발 의심식품의 평균 섭취 횟수에 대해 기재하도록 하였다.
  • 식품알레르기 유병의 노출 형태, 발생 경로, 증상경험에 관한 질문은 발생 시기, 식품알레르기 검사 여부, 식품알레르기의 증상, 유발 의심식품 등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유발 의심식품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등의 표시 기준」 내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대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일부 아동을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현황을 알아보고, 설문을 통해 알레르기 발생과 관련 있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 주로 내원한 환자에 대한 조사이거나, 안심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로 지역에 따른 영유아의 알레르기에 대한 자료 및 발생특성 등 구체적이고 광범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6,19].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일부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과 그 중 식품알레르기 증상을 한번이라도 겪은 아동의 알레르기 특성 및 그에 대한 위험요인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식품알레르기의 증상을 경험한 아동의 발병요인으로 식품 섭취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도출하여 궁극적으로 서울시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증상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서울시에 거주하는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증상 개선과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식품 섭취의 위험요인은 최근 12개월 내 식품알레르기 유발 의심식품의 평균 섭취 횟수로 ISAAC Phase Ⅲ 지침에서 ‘귀하의 자녀는 지난 12개월 내 매주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다음과 같은 음식을 섭취했습니까?’에 대한 문항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 문항은 식품 섭취와 알레르기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품섭취빈도 조사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를 기본으로 ISAAC 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개발한 것으로 장기간의 서구적 식습관이 알레르기와 관련이 있다는 가정을 기본으로 한다. 문항을 통해 식품 섭취와 식품알레르기 및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비염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증상을 갖고 있는 아동이 지난 12개월 내 어떤 음식을 섭취하고 제한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그 위험요인을 도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무엇인가? 직접적 요인으로는 식품 섭취로 이 요인을 철저히 제한하는 것도 중요하나, 과도하게 제한할 경우 아동의 영양 장애를 초래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환으로 보호자의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11,12]. 식품알레르기는 다른 알레르기 질환과 같이 정확한 기전을 밝히기 어렵고 진단 방법에 따라 유병률에 차이가 있으며 국내에 위험성이 대두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10]. 또한 서울시의 경우 매년 안심학교를 대상으로 아토피, 천식, 알레르기 비염의 유병률을 도출하는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13]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과 특성, 위험요인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식품알레르기의 환경적 요인으로 무엇이 있다고 추정하고 있는가? 식품알레르기의 환경적 요인으로는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경험, 가족력, 위생가설, 영유아기의 항생제 복용, 모유수유 여부, 낮은 비타민 D의 농도 등으로 추정하고 있다 [7-10]. 직접적 요인으로는 식품 섭취로 이 요인을 철저히 제한하는 것도 중요하나, 과도하게 제한할 경우 아동의 영양 장애를 초래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환으로 보호자의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11,12].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은 무엇인가? 이중에서도 식품알레르기는 특정 식품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낮은 연령대에서 발생률이 높고, 연령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1] 아토피피부염과 마찬가지로 알레르기 비염, 천식과 같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진행으로 이어질 수 있어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4]. 증상으로는 피부점막, 소화기, 호흡기 등의 부위에 다양하게 증상이 나타나 심할 경우 아나필락시스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환이다 [5]. 동일 지역의 동일한 연령대 아동을 대상으로 단면 역학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지역 초등학생의 식품알레르기 평생 증상 유병률 추이를 조사한결과 2000년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Sicherer SH, Sampson HA. Food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10; 125(2 Suppl 2): S116-S125. 

  2. Illi S, von Mutius E, Lau S, Nickel R, Gruber C, Niggemann B, et al. The natural course of atopic dermatitis from birth to age 7 years and the association with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4; 113(5): 925-931. 

  3. Spergel JM. From atopic dermatitis to asthma: the atopic march.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10; 105(2): 99-106. 

  4. Bantz SK, Zhu Z, Zheng T. The atopic march: progression from atopic dermatitis to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J Clin Cell Immunol 2014; 5(2): 202. 

  5. Grundy J, Matthews S, Bateman B, Dean T, Arshad SH. Rising prevalence of allergy to peanut in children: data from 2 sequential cohorts. J Allergy Clin Immunol 2002; 110(5): 784-789. 

  6. Kim YH, Lee SY, Lee E, Cho HJ, Kim HB, Kwon JW, et al. The change in food allergy preval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since the last 20 years and the risk factor analysi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6; 4(4): 276-283. 

  7. Lack G. Epidemiologic risks for food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08; 121(6): 1331-1336. 

  8. Love BL, Mann JR, Hardin JW, Lu ZK, Cox C, Amrol DJ. Antibiotic prescription and food allergy in young children. Allergy Asthma Clin Immunol 2016; 12(1): 41. 

  9. Sicherer SH. Epidemiology of food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11; 127(3): 594-602. 

  10. Min TK, Pyun BY, Kim HH, Park YM, Jang GC, Kim HY, et al. Epidemiology of food allergy in Korean childre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8; 6(1): 4-13. 

  11. Seo AD, Lee JY, Yang SI, Lee HR, Lee SY. Food allergic reactions in the community: a questionnaire survey of caregiver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 5(1): 27-33. 

  12. Hwang JY, Kim MJ, Lee JY, Yang HK, Lee KJ, Jeon HY, et al. Perception of food allergy among parents and school health instructors: a nationwide survey in 2015.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8; 6(2): 97-102. 

  13. Son DK, Hong SY, Kim HJ, Yum HY, Lee SH, Cho MR, et al. Effectiveness of the atopy camp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Seoul.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12; 22(2): 154-162. 

  14. Kwon JW, Seo JH, Yu J, Kim BJ, Kim HB, Lee SY,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and allergen sensitization in children of Songpa area, Seoul.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11; 21(1): 47-55. 

  15. Hong SJ, Ahn KM, Lee SY, Kim KE. The prevalences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in Korea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8; 51(4): 343-350. 

  16. Williams H, Robertson C, Stewart A, Ait-Khaled N, Anabwani G, Anderson R, et al. Worldwide variations in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atopic eczema in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J Allergy Clin Immunol 1999; 103(1 Pt 1): 125-138. 

  17. Ahn K.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research on food allergy in Korean childre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8; 6(Suppl 1): S44-S51. 

  18. Ellwood P, Asher MI, Bjorksten B, Burr M, Pearce N, Robertson CF, et al. Diet and asthma,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 atopic eczema symptom prevalence: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data. ISAAC Phase One Study Group. Eur Respir J 2001; 17(3): 436-443. 

  19. Seo WH, Jang EY, Han YS, Ahn KM, Jung JT.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young children at a child care center and hospital in Korean.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11; 21(1): 32-38. 

  20. Dharmage SC, Lowe AJ, Matheson MC, Burgess JA, Allen KJ, Abramson MJ. Atopic dermatitis and the atopic march revisited. Allergy 2014; 69(1): 17-27. 

  21. Keet CA, Savage JH, Seopaul S, Peng RD, Wood RA, Matsui EC. Temporal trends and racial/ethnic disparity in self-reported pediatric food allergy in the United States.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14; 112(3): 222-229.e3. 

  22. Gupta RS, Springston EE, Warrier MR, Smith B, Kumar R, Pongracic J, et al. The prevalence, severity, and distribution of childhood food allergy in the United States. Pediatrics 2011; 128(1): e9-e17. 

  23. Smith PK, Masilamani M, Li XM, Sampson HA. The false alarm hypothesis: Food allergy is associated with high dietary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nd proglycating dietary sugars that mimic alarmins. J Allergy Clin Immunol 2017; 139(2): 429-437. 

  24. Seoul Medical Center.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atopic diseases and living environment. Seoul: Seoul Medical Center; 2016. 

  25. Jung YH, Ko H, Kim HY, Seo JH, Kwon JW, Kim BJ,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food allergy in pre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1; 31(3): 177-183. 

  26. Kim YG, Yu KH, Ly SY.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Gyeongbuk area on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and children's food allergy status. Korean J Hum Ecol 2013; 22(5): 491-506. 

  27. Cho W, Kim J. The current state of food allergy of preschool child care facilities in Hanam.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4): 251-258. 

  28. Kim SB, Kim JH. Food allergy awareness and nutritional management by preschooler's faculty members of child c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4): 298-306. 

  29. Park JY, Park GY, Han YS, Shin MY. Survey of food allerg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cheon-city and relationship between food allergy and other allergic disease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3; 1(3): 266-273. 

  30. Lee AH, Kim KE, Lee KE, Kim SH, Wang TW, Kim KW, et al. Prevalence of food allergy and perceptions on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foodservice among Korean student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3; 1(3): 227-234. 

  31. Kim M, Lee JY, Jeon HY, Yang HK, Lee KJ, Han Y, et al. Prevalence of immediate-type food allergy in Korean schoolchildren in 2015: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7; 9(5): 410-416. 

  32. Jeong K, Kim J, Ahn K, Lee SY, Min TK, Pyun BY, et al. Age-based caus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mmediate-type food allergy in Korean children.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7; 9(5): 423-430. 

  33. McGowan EC, Keet CA. Prevalence of self-reported food allergy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2007-2010. J Allergy Clin Immunol 2013; 132(5): 1216-1219.e5. 

  34. Kotz D, Simpson CR, Sheikh A. Incidence, prevalence, and trends of general practitioner-recorded diagnosis of peanut allergy in England, 2001 to 2005. J Allergy Clin Immunol 2011; 127(3): 623-630.e1. 

  35. Wu TC, Tsai TC, Huang CF, Chang FY, Lin CC, Huang IF, et al. Prevalence of food allergy in Taiwan: a questionnairebased survey. Intern Med J 2012; 42(12): 1310-1315. 

  36. Jeon YH, Kim H, Park YM, Jang GC, Kim HY, Yum HY, et al. The current status and issue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Korea.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9; 7(2): 67-72. 

  37. Liu X, Wong CC, Yu IT, Zhang Z, Tan L, Lau AP, et al.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rhinitis in primary school children: a prospective cohort study. Sci Rep 2017; 7: 44610. 

  38. Yoon SH, Kim HM, Ye YM, Kang YM, Suh CH, Nahm DH, et al. IgE sensitization to the potato allergen in adult allergy patients and identification of IgE binding components: comparison between the wild and genetically modified potato. Korean J Med 2005; 69(6): 651-659. 

  39. Park HJ, Sung JM, Kim MJ, Choi GS, Shin YS, Ye YM, et al. Allergic contact urticaria caused by raw potato: report of a case.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8; 28(2): 148-151. 

  40. Lee S, Lee H, Han Y, Ahn K, Lee S, Chung SJ. Excessive food restriction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627-635. 

  41. Sampson HA. Food allergy. Part 1: immunopathogenesis and clinical disorders. J Allergy Clin Immunol 1999; 103(5 Pt 1): 717-728. 

  42. Savage JH, Matsui EC, Skripak JM, Wood RA. The natural history of egg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07; 120(6): 1413-1417. 

  43. Lee SY. Factors related with the natural course of food allergy.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 5(5): 237-238. 

  44. Mitre E, Susi A, Kropp LE, Schwartz DJ, Gorman GH, Nylund CM. Association between use of acid-suppressive medications and antibiotics during infancy and allergic diseases in early childhood. JAMA Pediatr 2018; 172(6): e180315. 

  45. Kim MH, Suh DI, Lee SY, Kim YK, Cho YJ, Cho SH. Microbiome research in food allergy and atopic dermatiti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6; 4(6): 389-398. 

  46. Kinross JM, Darzi AW, Nicholson JK. Gut microbiome-host interactions in health and disease. Genome Med 2011; 3(3): 14. 

  47. Wang J, Visness CM, Sampson HA. Food allergen sensitization in inner-city children with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5; 115(5): 1076-1080. 

  48. Zheng T, Yu J, Oh MH, Zhu Z. The atopic march: progression from atopic dermatitis to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1; 3(2): 67-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