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추김치 섭취와 대사증후군 발생률과의 관련성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10년 추적조사 결과
Association of Korean fermented cabbage kimchi consumption with an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10-year follow-up results of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6, 2019년, pp.569 - 580  

서숙현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지연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임휘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영희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서 수집한 2001 ~ 2002년 기반조사 자료로부터 건강한 한국 성인 3,560명의 배추김치 섭취빈도에 따른 일반적 특성, 식품군 섭취빈도와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고, 이들 중 2,259명을 대상으로 10년 추적조사에서 대사증후군과 그 구성 요소의 발생률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기반조사에서의 배추 김치 섭취빈도에 따라 1일 기준으로 '1회 미만 섭취군', '1 ~ 2회 섭취군', '3회 섭취군'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였으며, 세 집단 간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남녀 모두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지역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배추김치 섭취빈도에 따라 식품군 섭취빈도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지역, 음주여부와 에너지 섭취량으로 보정한 후 남녀 모두에서 3회 섭취군의 밥류와 두류의 섭취빈도가 다른 두 군의 섭취빈도보다 높았으며, 육류의 섭취빈도는 낮았다. 배추김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남녀 모두 에너지 섭취량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도 많았다. 10년의 추적기간 동안 대상자 2,259명 중 933명이 대사증후군을 나타냈으며, 배추김치 섭취빈도에 따라 남자의 경우에는 대사증후군 발생률 위험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의 경우 교란변수인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지역, 음주여부, 에너지 섭취량으로 보정한 후에도 HR이 0.63 (95% CI: 0.47 ~ 0.86)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기반 코호트의 10년 추적조사 결과 성인 여자의 경우 배추김치를 1일 3회 섭취하는 집단은 1회 미만 섭취하는 집단에 비해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of Korean fermented cabbage kimchi consumption with the incidenc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 Korean adults. Methods: We used the community-based cohort data from the 2001 ~ 2012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Gene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김치와 대사증후군 간의 상관성을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하루 동안의 식품 섭취를 조사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거나 일부 집단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실시한 횡단연구가 대부분으로, 장기간 추적조사가 가능한 대규모 코호트 종단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서 수집한 2001 ~ 2002년 기반조사 자료부터 2012년까지의 10년간의 추적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건강한 한국 성인의 김치 섭취빈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인이 섭취하는 김치의 종류는 100여 종에 이르고 있으나 [20],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배추김치로 한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이란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인 복부비만, 고혈압, 높은 공복혈당, 높은 중성지방, 낮은 고밀도지단백 (high density lipoprotein, HDL)-콜레스테롤 증상이 3가지 이상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상태를 말하며 [1], 메타분석 결과 건강한 사람에 비해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제2형 당뇨 발생 가능성이 5배 [2],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률은 2배, 사망률은 1.5배 높다고 보고되었다 [3].
여자의 경우 배추김치 섭취빈도에 따라 대사증후군 발생률 위험도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 가? 86)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기반 코호트의 10년 추적조사 결과 성인 여자의 경우 배추김치를 1일 3회 섭취하는 집단은 1회 미만 섭취하는 집단에 비해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 김치 섭취빈도에 따라 대상자를 어떻게 분류하였는 가?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서 수집한 2001 ~ 2002년 기반조사 자료로부터 건강한 한국 성인 3,560명의 배추김치 섭취빈도에 따른 일반적 특성, 식품군 섭취빈도와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고, 이들 중 2,259명을 대상으로 10년 추적조사에서 대사증후군과 그 구성 요소의 발생률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기반조사에서의 배추 김치 섭취빈도에 따라 1일 기준으로 '1회 미만 섭취군', '1 ~ 2회 섭취군', '3회 섭취군'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였으며, 세 집단 간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남녀 모두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지역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배추김치 섭취빈도에 따라 식품군 섭취빈도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지역, 음주여부와 에너지 섭취량으로 보정한 후 남녀 모두에서 3회 섭취군의 밥류와 두류의 섭취빈도가 다른 두 군의 섭취빈도보다 높았으며, 육류의 섭취빈도는 낮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Samson SL, Garber AJ. Metabolic syndrome.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014; 43(1): 1-23. 

  2. Ford ES, Li C, Sattar N. Metabolic syndrome and incident diabetes: current state of the evidence. Diabetes Care 2008; 31(9): 1898-1904. 

  3. Mottillo S, Filion KB, Genest J, Joseph L, Pilote L, Poirier P, et al.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m Coll Cardiol 2010; 56(14): 1113-1132. 

  4. Aguilar M, Bhuket T, Torres S, Liu B, Wong RJ.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United States, 2003-2012. JAMA 2015; 313(19): 1973-1974. 

  5. Tran BT, Jeong BY, Oh JK. The prevalence trend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nd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3. BMC Public Health 2017; 17(1): 71. 

  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rean social trends 2015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9 Oct 18]. Available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 

  7. Park YW, Zhu S, Palaniappan L, Heshka S, Carnethon MR, Heymsfield SB. The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 findings in the US population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Arch Intern Med 2003; 163(4): 427-436. 

  8. Hoyas I, Leon-Sanz M. Nutritional challenges in metabolic syndrome. J Clin Med 2019; 8(9): 1301. 

  9. Son SH, Lee HJ, Park K, Ha TY, Seo JS. Nutritional evalu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cooked rice and cooked rice with multi-grains in Korean adults: Based on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1): 77-87. 

  10. Song FF, Jang JA, Kim YS, Yoon HR, Cho MS. Analysis of dietary intake statu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white rice consumption in Korea: Basted on data 1st (1998), 4th (2007 - 2009), 6th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J Korean Soc Food Cult 2015; 30(5): 682-694. 

  11. Song Y, Joung H. A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 and metabolic syndrome abnormalitie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2; 22(5): 456-462. 

  12. Song SJ, Lee JE, Paik HY, Park MS, Song YJ. Dietary patterns based on carbohydrate nutrition are associated with the risk for diabetes and dyslipidemia. Nutr Res Pract 2012; 6(4): 349-356. 

  13. Kim B, Mun EG, Kim D, Kim Y, Park Y, Lee HJ, et al. A survey of reseach papers on the health benefits of kimchi and kimchi lactic acid bacteria. J Nutr Health 2018; 51(1): 1-13. 

  14. Choi SH, Kim HJ, Kwon MJ, Baek YH, Song YO. The effect of kimchi pill supplementation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in healthy peop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 30(5): 913-920. 

  15. Kim EK, An SY, Lee MS, Kim TH, Lee HK, Hwang WS, et al. Fermented kimchi reduces body weight and improves metabolic parameters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Nutr Res 2011; 31(6): 436-443. 

  16. Kwon MJ, Chun JH, Song YS, Song YO. Daily kimchi consumption and its hypolipidemic effect in middle-aged 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 28(5): 1144-1150. 

  17. Yoo JE, Kim JS, Son SM.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intakes of vegetables and kimchi in Korean adults: using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6): 507-519. 

  18. Kim JS, Ahn SH, Son SM.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intake of white rice and kimchi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Korean J Community Nutr 2018; 23(6): 525-537. 

  19. Oh IM, Joung HJ, Oh SW, Yoon YS, Yoo KH, Park JE, et al. Relationship of combined consumption of rice and kimchi, Korean traditional diet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healthy Korean volunteers. J Korean Soc Parenter Enter Nutr 2013; 5(3):110-116. 

  20. Lee CH, Ahn BS. Literature review on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s. I. History of kimchi making. Korean J Diet Cult 1995; 10(4): 311-319. 

  21. Kim Y, Han BG; KoGES group. Cohort profile: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Consortium. Int J Epidemiol 2017; 46(4): 1350. 

  22. Ahn Y, Lee JE, Paik HY, Lee HK, Jo I, Kimm K.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ased on dietary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 Sci 2003; 6(3): 173-184. 

  23. Ahn Y, Park YJ, Park SJ, Min H, Kwak HK, Oh KS, et al. Dietary patterns and prevalence odds ratio in middle-aged adults of rural and mid-size city in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Korean J Nutr 2007; 40(3): 259-269. 

  24. Kim JH, Lee E, Hyun T. Dietary folate intake and food sourc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hungcheong area - using nutrient database revised by measured folate in selected foods. J Nutr Health 2015; 48(1): 94-104. 

  25.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I, Donato KA, et al.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rculation 2009; 120(16): 1640-1645. 

  26. Lee S,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et al.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2006; 15(1): 1-9. 

  27. Park J, Lee HJ. Shifts in Kimchi consumption between 2005 and 2015 by region and income level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2015).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2): 145-158. 

  28. Kim JY, Lee YS. The effects of kimchi intake on lipid contents of body and mitogen response of spleen lymphocyte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7; 26(6): 1200-1207. 

  29. Sheo HJ, Seo YS. The effect of dietary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on the lipid metabolism and body weight gain in rats fed high-calories-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1): 91-100. 

  30. Kim HJ, Noh JS, Song YO. Beneficial effects of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 on pathophysiological factors related to atherosclerosis. J Med Food 2018; 21(2): 127-135. 

  31. De Smet E, Mensink RP, Plat J. Effects of plant sterols and stanols on intestinal cholesterol metabolism: suggested mechanisms from past to present. Mol Nutr Food Res 2012; 56(7): 1058-1072. 

  32. Afzal M, Ali M, Thomson M, Armstrong D. Garlic and its medicinal potential. Inflammopharmacology 2000; 8(2): 123-148. 

  33. Panchal SK, Bliss E, Brown L. Capsaicin in metabolic syndrome. Nutrients 2018; 10(5): 630. 

  34. Yu K, Xue Y, He T, Guan L, Zhao A, Zhang Y. Association of spicy food consumption frequency with serum lipid profiles in older people in China. J Nutr Health Aging 2018; 22(3): 311-320. 

  35.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45-558. 

  36. Dahl LK. Possible role of salt intake in the develop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1960. Int J Epidemiol 2005; 34(5): 967-972. 

  37. Lee SM, Cho Y, Chung HK, Shin DH, Ha WK, Lee SC, et al. Effects of kimchi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and cardiac hypertrophy with varying sodium content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Nutr Res Pract 2012; 6(4): 315-321. 

  38. Song HJ, Lee HJ. Consumption of kimchi, a salt fermented vegetable, is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revalence. J Ethnic Food 2014; 1(1): 8-12. 

  39. Song HJ, Park SJ, Jang DJ, Kwon DY, Lee HJ. High consumption of salt-fermented vegetables and hypertension risk in adults: a 12-year follow-up study. Asia Pac J Clin Nutr 2017; 26(4): 698-707. 

  40. Adrogue HJ, Madias NE. The impact of sodium and potassium on hypertension risk. Semin Nephrol 2014; 34(3): 257-272. 

  4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n in-depth analysis of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 [Internet].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3 [cited 2019 Oct 18].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4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cited 2019 Oct 18].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43. Ha AW, Ju SY. Nutrient intakes and frequently consumed foods among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intake frequency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Based on the 2012-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6; 49(2): 125-133. 

  44. Kim EK, Park YK, Ju SY, Cho EO. A study on the kimchi consumption of Korean adults: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J Korean Soc Food Cult 2015; 30(4): 406-4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