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카페인 섭취 수준이 대사증후군 및 관련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 : 2013~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affeine intake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eases in Korean adults: 2013 ~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2, 2019년, pp.227 - 241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형섭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상훈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격근타나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3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의 카페인 섭취 수준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카페인 섭취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2014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수행한 주요급원식품의 카페인 함량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1인당 카페인 섭취량과 주요급원식품을 통한 카페인 섭취량을 산출한 후 대사증후군 발생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41.97 mg 이었고, 각 군별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Q1 0 mg, Q2 1.42 mg (0 ~ 3.66 mg), Q3 6.94 mg (3.99 ~ 12.31 mg), Q4 21.65 mg (12.31 ~ 45.81 mg), Q5군 154.41 mg (${\geq}45.81mg$)으로 나타나 상위 20%에 해당하는 대상자들만이 하루 45.81 mg 이상의 카페인을 섭취하였다. 카페인 섭취의 주요 급원식품은 커피, 탄산음료 및 기타음료, 차류의 순이었으며, 이들 식품을 통한 카페인 섭취량은 97% 정도 이었다. 카페인 섭취 수준에 따라 대사적 지표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 연령 이외 이들 대사적 지표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수준, 음주, 흡연, 신체활동, 에너지 및 당 섭취량에 보정 후 카페인 섭취량은 대사증후군, 고혈압, 저 HDL-콜레스테롤혈증복부비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당뇨병과 고중성지방혈증의 경우 Q1군에 비해 Q3군에서 각각 0.76 (95% CI: 0.63 ~ 0.93), 0.87 (95% CI: 0.77 ~ 0.98)를 보였고, Q4군에서는 각각 0.66 (95% CI: 0.53 ~ 0.82), 0.83 (95% CI: 0.73 ~ 0.94)로 나타나 하루 3.66 ~ 45.81 mg 정도의 카페인 섭취는 당뇨병 및 고중성지방혈증의 낮은 유병률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 적정수준의 카페인 섭취는 당뇨병과 고중성지방혈증의 낮은 유병률과 관련이 있으므로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는 적정수준의 카페인 섭취량 선정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ffeine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using the 2013 ~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NHANES). Methods: The caffeine database (DB) developed by Food and Drug Safety Assessment Agency in 2014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3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의 카페인 섭취 수준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만 19세 이상 성인의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41.
  • 반면 한국인을 대상으로 커피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의 연구에서는, 커피 섭취는 대사증후군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15,16], 하루 1잔 이상의 커피 섭취 시 여자에서 뇌졸증 발생의 위험을 예방하였다고 보고한 반면 [17], 복부비만이나 비만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18] 카페인 섭취와 건강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연구된 적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품을 수거하여 분석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카페인 함량 분석 [3]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의 카페인 섭취량을 산출하고, 카페인 섭취 수준에 따라 만성질환 및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적정 수준의 카페인 섭취를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페인 섭취량에 따른 증상은 어떠한가? 카페인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소비되는 메틸크산틴계열의 향정신성약물로 1820년 독일의 루게 (Ruge)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냄새가 없고 쓴맛을 내는 알칼로이드계 화학물질로 섭취량에 따라 신체내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 즉, 하루 0.1 ~ 0.2 g의 카페인 섭취 시 각성 효과, 피로 감소, 1.0 g 이상 섭취 시 약간의 불안, 불면, 감정 변화, 1.5 g 이상 섭취 시 부정맥, 위장장애 초래, 마음의 동요, 전율이 10 g 이상 섭취 시 척수 자극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식품첨가물로 카페인을 관리하고 있으며, 카페인의 안전한 섭취를 위한 1일 최대 권고섭취량을 어린이 및 청소년 2.
카페인은 어떤 시판 제품에 함유 돼 있는가? 카페인이 함유된 식품은 60여 종으로 커피, 차, 코코아, 콜라, 초콜릿 등이 대표적이며, 식품 이외에도 두통약, 감기약, 이뇨제 및 식욕억제제 등 비처방의약품에도 함유되어시판되고 있다 [5]. 국내 카페인 함유 식품의 국내 유통 현황을 보면 초콜릿류가 과반수 정도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빵류, 커피, 과자류 및 코코아가공품류의 순이었고, 식품 중 카페인 함량이 가장 높은 식품은 커피류 (평균 45 mg/100 g), 가공유류 (평균 28 mg/100 g), 탄산음료 포함 가공음료류 (평균 24 mg/100 g, 코코아 (초콜릿 포함) 가공품류 (평균 23 mg/100 g) 의 순이었다 [3].
안전한 카페인 섭취를 위해 국내에서 정한 최대 섭취량 기준은 무엇인가? 5 g 이상 섭취 시 부정맥, 위장장애 초래, 마음의 동요, 전율이 10 g 이상 섭취 시 척수 자극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식품첨가물로 카페인을 관리하고 있으며, 카페인의 안전한 섭취를 위한 1일 최대 권고섭취량을 어린이 및 청소년 2.5 mg/kg bw/day, 성인 400 mg/day, 임산부 300 mg/day로 제시하고 있다 [3]. 국내뿐만 아니라 유럽연합 역시 1일 권고섭취량으로 성인 400 mg/day, 임산부 200 mg/day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외 다수의 국가에서 카페인의 안전한 섭취를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Dorfman LJ, Jarvik ME. Comparative stimulant and diuretic actions of caffeine and theobromine in man. Clin Pharmacol Ther 1970; 11(6): 869-872. 

  2. Harland BF. Caffeine and nutrition. Nutrition 2000; 16(7-8): 522-526. 

  3. Kim M. Assessment of caffeine intake from foods. Cheongju: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4. 

  4. Reyes CM, Cornelis MC. Caffeine in the diet: country-level consumption and guidelines. Nutrients 2018; 10(11): 1772-1806. 

  5. Lovallo WR, Wilson MF, Vincent AS, Sung BH, McKey BS, Whitsett TL. Blood pressure response to caffeine shows incomplete tolerance after short-term regular consumption. Hypertension 2004; 43(4): 760-765. 

  6. Yoon MH, Lee MJ, Hwang SI, Moon SK, Kim JK, Jeong IH, et al. A evaluation of the caffeine contents in commercial foods. J Food Hyg Saf 2001; 16(4): 295-299. 

  7. Lim HS, Hwang JY, Choi JC, Kim M. Assessment of caffeine intake in the Korean population. Food Addit Contam Part A Chem Anal Control Expo Risk Assess 2015; 32(11): 1786-1798. 

  8. Frary CD, Johnson RK, Wang MQ. Food sources and intakes of caffeine in the diets of persons in the United States. J Am Diet Assoc 2005; 105(1): 110-113. 

  9. Martyn D, Lau A, Richardson P, Roberts A. Temporal patterns of caffeine intake in the United States. Food Chem Toxicol 2018; 111: 71-83. 

  10. Temple JL, Bernard C, Lipshultz SE, Czachor JD, Westphal JA, Mestre MA. The safety of ingested caffeine: a comprehensive review. Front Psychiatry 2017; 8: 80-99. 

  11. Poole R, Kennedy OJ, Roderick P, Fallowfield JA, Hayes PC, Parkes J. Coffee consumption and health: umbrella review of meta-analyses of multiple health outcomes. BMJ 2017; 359:j5024. 

  12. Grosso G, Marventano S, Galvano F, Pajak A, Mistretta A.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a Mediterranean population: role of caffeinated beverages. J Epidemiol 2014; 24(4): 327-333. 

  13. Grosso G, Stepaniak U, Micek A, Topor-Madry R, Pikhart H, Szafraniec K, et al. Association of daily coffee and tea consumption and metabolic syndrome: results from the Polish arm of the HAPIEE study. Eur J Nutr 2015; 54(7): 1129-1137. 

  14. Takami H, Nakamoto M, Uemura H, Katsuura S, Yamaguchi M, Hiyoshi M, et al. Inverse correlation between coffee consumption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baseline survey of the Japan Multi-Institutional Collaborative Cohort (J-MICC) Study in Tokushima, Japan. J Epidemiol 2013; 23(1): 12-20. 

  15. Shin H, Linton JA, Kwon Y, Jung Y, Oh B, Oh S. Relationship between coffee consumption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data from the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Fam Med 2017; 38(6): 346-351. 

  16. Yeon JY, Bae YJ. 3-in-1 coffee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factors in adults: based on 2012-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7; 50(3): 257-269. 

  17. Lee J, Lee JE, Kim Y. Relationship between coffee consumption and stroke risk in Korean population: the Health Examinees (HEXA) Study. Nutr J 2017; 16(1): 7. 

  18. Lee J, Kim HY, Kim J. Coffee consumption and the risk of obesity in Korean women. Nutrients 2017; 9(12): E1340.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21.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TP III guidelines At-A-Glance quick desk reference [Internet].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1 [cited 2018 Mar 3]. Available from : https://www.nhlbi.nih.gov/files/docs/guidelines/atglance.pdf. 

  22. Kim M. Investigation of naturally occurring caffeine in plant materials. Cheongju: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4. 

  23. Kwon S, Lee JS.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ilk intake and prevalence rates of chronic diseases in adults based on 5th and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2017; 50(2): 158-170. 

  24. Rudolph E, Farbinger A, Konig J. Determination of the caffeine contents of various food items within the Austrian market and validation of a caffeine assessment tool (CAT). Food Addit Contam Part A Chem Anal Control Expo Risk Assess 2012; 29(12): 1849-1860. 

  25. Yamada M, Sasaki S, Murakami K, Takahashi Y, Okubo H, Hirota N, et al. Estimation of caffeine intake in Japanese adults using 16 d weighed diet records based on a food composition database newly developed for Japanese populations. Public Health Nutr 2010; 13(5): 663-672. 

  26. Fulgoni VL 3rd, Keast DR, Lieberman HR. Trends in intake and sources of caffeine in the diets of US adults: 2001-2010. Am J Clin Nutr 2015; 101(5): 1081-1087. 

  27. Kim S. Coffee consumption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dietary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coffee intake amount among university student. J Nutr Health 2017; 50(3): 270-283. 

  28. Lee H, Kwon S, Yon M, Kim D, Lee J, Nam J, et al.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2014; 47(4): 268-276. 

  29. Noordzij M, Uiterwaal CS, Arends LR, Kok FJ, Grobbee DE, Geleijnse JM. Blood pressure response to chronic intake of coffee and caffein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Hypertens 2005; 23(5): 921-928. 

  30. Kim N, Choi K. Lipid metabolic effects of caffeine using meta-analysis. J Korean Data Inf Sci Soc 2012; 23(4): 649-656. 

  31. Cai L, Ma D, Zhang Y, Liu Z, Wang P. The effect of coffee consumption on serum lipid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ur J Clin Nutr 2012; 66(8): 872-877. 

  32. Zheng XX, Xu YL, Li SH, Liu XX, Hui R, Huang XH. Green tea intake lowers fasting serum total and LDL cholesterol in adults: a meta-analysis of 14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Clin Nutr 2011; 94(2): 601-610. 

  33. Kim K, Kim K, Park SM. Association betwee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the level of coffee consumption among Korean women. PLoS One 2016; 11(12): e0167007. 

  34. Kim Y, Je Y. Moderate coffee consumptio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Br J Nutr 2018; 120(11): 1279-1287. 

  35. Appelhans BM, Baylin A, Huang MH, Li H, Janssen I, Kazlauskaite R, et al. Beverage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risk over 14 years: the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 J Acad Nutr Diet 2017; 117(4): 554-562. 

  36. Kim HJ, Cho S, Jacobs DR Jr, Park K. Instant coffee consumption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14; 106(1): 145-153. 

  37. Chiva-Blanch G, Badimon L. Effects of polyphenol intake on metabolic syndrome: current evidences from human trials. Oxid Med Cell Longev 2017; 2017: 58124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