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과 위성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와의 비교
Comparison of Multi-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s and In-situ Temperatures from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0 no.6, 2019년, pp.613 - 623  

우혜진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최도영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변도성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정광영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이은일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수십년 동안 인공위성을 통해 광범위하고 주기적으로 관측된 해수면온도 자료를 사용하여 일별 해수면온도 합성장이 생산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감시와 해양 대기 예측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인 해역에서 최적화된 활용을 위해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의 정확도 평가와 오차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 자료를 활용하여 4종의 다중 인공위성 기반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OSTIA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ISST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CMC (Canadian Meteorological Centre) 해수면온도 및 MURSST (Multi-scale Ultra-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를 비교하여 각 해수면온도 합성장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수온 자료에 대하여 각 해수면온도 합성장은 최소 0.12℃ (OISST)와 최대 0.55℃ (MURSST)의 편차와 최소 0.77℃ (CMC 해수면온도)와 최대 0.96℃ (MURSST)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나타냈다. 해수면온도 합성장 사이의 상호 비교 결과에서는 -0.38-0.38℃의 편차와 0.55-0.82℃의 평균 제곱근 오차의 범위를 보였으며 OSTIA와 CMC 해수면온도 자료가 가장 작은 오차 특성을 보인 반면 OISST와 MURSST 자료는 가장 큰 오차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를 추출하여 시계열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 뿐만 아니라 모든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에서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으나 봄철 해수면온도 합성장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에 비해 과대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past decades, daily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omposite data have been produced using periodically and extensively observed satellite SST data, and have been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climate change monitoring and oceanic and atmospheric forecasting. In this study, we 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주변해역에서 활용가능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를 탐색하여 자료의 특성을 조사하고, 국립해양조사원의 이어도 해양 과학기지에서 관측된 실측 수온과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합성장을 비교 분석하고, 해수면온도 합성장 사이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특성 차이를 이해하며, 실측 수온에 대한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합성장의 오차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피층 또는 표층 의 수온을 관측하는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와의 비교를 위하여 수심 약 5m에서 관측된 실측 수온 자료에 집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에 대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의 정확도 평가뿐만 아니라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주변해역에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 사이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각 합성장 자료의 오차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란 무엇인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마라도로부터 남서쪽으로149 km 거리의 동중국해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해역은 서쪽으로부터 양자강 저염수의 영향과 남쪽으로부터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곳으로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수 순환에 필요한 관측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중요한 지역이다(Fig. 1).
L4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 2008). 특히 시공간해상도가 일정하면서도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 L4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는 해양 및 대기 예측 모델의 입력 자료(Donlon et al., 2012) 및 수온의 장단기 변동성 연구 자료로서(Gentemann et al., 2017; Leeand Park, 2019) 활용도가 매우 높다. 다양한 활용목적에 따라 국외 다수의 기관에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며(Reynolds et al.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가 인공위성 자료와의 비교 연구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춘 이유는 무엇인가? , 2010).특히 대부분 연안에 위치한 부이들과 달리 외해에 위치함에 따라 인공위성 자료와의 비교 연구를 위한최적의 조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Woo et al.,2017; Choi et al,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asnett, B., 2008, The impact of satellite retrievals in a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 analysis.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34(636), 1745-1760. 

  2. Castro, S.L., Wick, G.A., and Steele, M., 2016, Validation of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analyses in the Beaufort Sea using UpTempO buoy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87, 458-475. 

  3. Chin, T.M., Vazquez-Cuervo, J., and Armstrong, E.M., 2017, A multi-scale high-resolution analysis of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00, 154-169. 

  4. Choi, D.-Y., Woo, H.-J., Park, K.-A., Byun, D.-S., and Lee, E., 2018, Validation of Sea Surface Wind Speeds from Satellite Altimeters and Relation to Sea State Bias -Focus on Wind Measurements at Ieodo, Marado, Oeyeondo S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2), 139-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lancy, R.M., Kaitala, J.E., and Zambresky, L.F., 1986, The Fleet numerical oceanography center global spectral ocean wave model,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67(5), 498-512. 

  6. Dash, P., Ignatov, A., Martin, M., Donlon, C., Brasnett, B., Reynolds, R.W., Banzon, V., Beggs, H., Cayula J.-F., Chao, Y., Grumbine, R., Maturi, E., Harris, A., Mittaz, J., Sapper, J., Chin, T.M., Vazquez-Cuervo, J., Armstrong, E.M., Gentemann, C., Cummings, J., Piolle, J.-F., Autret, E., Roberts-Jones, J., Ishizaki, S., Hoyer, J.L., and Poulter, D., 2012, Group for 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GHRSST) analysis fields inter-comparisons-Part 2: Near real time web-based level 4 SST Quality Monitor (L4-SQUAM). Deep Sea Research Part II: Topical Studies in Oceanography, 77, 31-43. 

  7. Donlon, C.J., Martin, M., Stark, J., Roberts-Jones, J., Fiedler, E., and Wimmer, W., 2012, The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STIA) syste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6, 140-158. 

  8. Evans, D., Conrad, C.L., and Paul, F.M., 2003, Handbook of automated data quality control checks and procedures of the National Data Buoy Center. NOAA National Data Buoy Center Tech. Document, 03-02. 

  9. Fiedler, E.K., McLaren, A., Banzon, V., Brasnett, B., Ishizaki, S., Kennedy, J., Rayner, N., Roberts-Jones, J., Corlett, G., Merchant, C.J., and Donlon, C., 2019, Intercomparison of long-term sea surface temperature analyses using the GHRSST Multi-Product Ensemble (GMPE) syste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22, 18-33. 

  10. Gentemann, C.L., Fewings, M.R., and Garcia-Reyes, M., 2017,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s along the We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2014-2016 northeast Pacific marine heat wav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4(1), 312-319. 

  11.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1990, GTSPP real-time quality control manual. IOC Manual and Guides 22. 

  12.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1993, Manual of quality control procedures for validation of oceanographic data. IOC Manual and Guides 26. 

  13. Janssen, P.A.E.M., Komen, G.J., and Voogt, W.J.P., 1984, An operational coupled hybrid wave prediction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9, 3635-3654. 

  14. Kim, G.I., Kug, J.S., Byun, D.S., and Lee, J., 2019, Impacts of SST Pattern Represented by Ocean Temperature near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on Winter Climate Vari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1-10. 

  15. Kramar, M.; Ignatov, A., Petrenko, B., Kihai, Y., and Dash, P., 2016, Near Real Time SST Retrievals from Himawari-8 at NOAA Using ACSPO System. In Arnone, R.A., Hou, W.W., (ed), Proceedings of the Ocean Sensing and Monitoring VIII. SPIE: Baltimore, MD, USA, 98270L. 

  16. Lee, E.-Y. and Park, K.-A., 2019, Change in the Recent Warming Trend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over Decades (1982-2018). Remote Sensing, 11(22), 2613. 

  17. Merchant, C.J., Le Borgne, P., Marsouin, A., and Roquet, H., 2008, Optimal estim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split-window observa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5), 2469-2484. 

  18. Minnett, P.J., Alvera-Azcarate, A., Chin, T. M., Corlett, G.K., Gentemann, C.L., Karagali, I., Li, X., Marsouin, A., Marullo, S., Maturi, E., Santoleri, R., Saux Picart, S., Steele, M., and Vazquez-Cuervo, J., 2019, Half a century of satellite remote sensing of sea-surface temperatu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33, 111366. 

  19. Moon, I.J., Shim, J.S., Lee, D.Y., Lee, J.H., Min I.K., and Lim K.C., 2010, Typhoon researches using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Part I. importance and present status of typhoon observation. Atmos., 20(3), 247-2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Oh, K.H., Park, Y.G., Lim, D.I., Jung H.S., and Shim, J.S., 2006,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bserved at the Ioedo Ocean Research Station. J. Korea Soc. Mar. Environ. Eng., 9(4), 225-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etrenko, B., Ignatov, A., Kihai, Y., Stroup, J., and Dash, P., 2014, Evaluation and selection of SST regression algorithms for JPSS VIIR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19(8), 4580-4599. 

  22. Reynolds, R.W., Smith, T.M., Liu, C., Chelton, D.B., Casey, K.S., and Schlax, M.G., 2007, Daily highresolution-blended analyses for sea surface temperature. Journal of Climate, 20(22), 5473-5496. 

  23. Reynolds, R.W. and Chelton, D.B., 2010, Comparisons of daily sea surface temperature analyses for 2007-08. Journal of Climate, 23(13), 3545-3562. 

  24. Woo, H.-J., Park, K.-A., Byun, D.-S., Lee, J., and Lee, E., 2017,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s between Significant Wave Height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and Satellite Altimeter-measured Data over a Decade (2004-2016). The Sea, 23(1), 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