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종 위성 자료를 활용한 해수면온도(SST) 합성기법 개발 연구
Study on Merging Method of SSTs Using Multi-satellite Dat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7 no.3 = no.46, 2011년, pp.197 - 202  

오은경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  양찬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종 위성 자료를 활용한 해수면온도 합성 기법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NGSST 알고리듬은 위성에 따른 정확도를 고려하지 않고 시 공간 상관도만을 계산하여 해당 픽셀의 값을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센서별로 가지고 있는 정확도를 추가로 고려한 해수면온도 합성기법을 제안하고 기존 알고리듬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합성장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센서는 적외 센서인 MODIS, AVHRR 그리고 마이크로파 센서인 AMSR-E를 사용하였고, 2011년 4월 4일을 기준으로 5 k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일일 해수면 온도 합성장을 비교하였다. 부이와의 비교 결과, 기존 방법(NGSST Method)과 제안 방법(New Method)에 의한 표준편차는 각각 $0.15^{\circ}C$$0.12^{\circ}C$이었다. 또한 기존 방법보다 제안 방법에 의한 해수면온도 값은 연안을 제외한 대부분의 해역에서 다소 높게 산출이 되었다. 현 단계에서 정량적인 평가는 어렵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해수면온도 합성기법에 대한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roduces a technique to merge three different sea surface temperature(SST) data obtained from multi-satellite sensors. NGSST algorithm, the most popular method of related society, estimates a center pixel of target SST using temporal and spatial correlations, excluding SST accuracies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합성 알고리듬 개발과정에 대한 논리적인 접근을 하고, NGSST 생산 알고리듬과의 비교를 통해 알고리듬 개발 연구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해양 현상들의 연구 분야로의 정확도 높은 위성 해수면온도 활용 극대화를 위하여 센서 특성이 다른 위성 해수면 온도 자료로 합성을 시도하였다.
  • 제안 방법을 통해 획기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지만, 해수면온도 합성장을 생성하는데 있어 위성별 특성을 반영 하기 위한 방향이 제시되었다. 부이와의 절대비교를 위해서는 추후 정밀 검토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MSR-E 해수면온도 자료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MODIS와 AVHRR 해수면온도 자료는 공간 해상도가 1km 로 공간해상도가 25 km인 AMSR-E에 비해 해상도가 좋지만, 적외 센서로 산출한 자료이기 때문에 구름으로 인해 해수면온도 값이 낮게 산출되는 해수면온도 값은 제거된다. 반면에 AMSR-E 해수면온도 자료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름역에서도 해수면온도 값이 산출되지만, 해안선 주변으로 해수면온도 값을 산출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진다.
해수면온도 자료의 리샘플링 작업 수행 시 쓰인 보간법은 무엇인가? 전처리는 세 위성의 해수면온도 모두 음수 값을 제거하는 필터링 작업을 한 후, 일일합성 자료를 만들기 위해 평균치를낸 다음 공간해상도 5 km로 리샘플링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때쓰인 보간법은 보간 할 점의 주위 16개 관측점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3차회선함수에 적용시켜 보간하는 3차회선 보간법을 사용하였다. 3차회선 보간에서 사용되는 식은 식(2)와 같다.
본 합성 연구에 이용된 위성 해수면 온도 자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합성 연구에 이용된 위성 해수면 온도 자료는 극궤도 위성인 NOAA/AVHRR(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의 MCSST(Multi Channel Sea Surface Temperature)기반 해수면온도, Terra&Aqua/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해수면온도와 Aqua/AMSR-E(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 Earth Observing System) 해수면온도 자료이다. AVHRR과 MODIS는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처리한 자료이고, AMSR-E는 NSIDC(http:// nsid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국립기상연구소(2009), 고해상도 위성산출물 생산 및 대기 환경정보 산출 기반기술 연구,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1), p. 26. 

  2. Emery, W. J., S. Castro, G. A. Wich, P. Sschluessel and C. Donion(2001),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infrared satellite and in situ temperature data, Bull. Amer. Meteo. Soc., 82, pp. 2773-2785. 

  3. Guan, L. and H. Kawamura(2004), Merging satellite infrared and microwave SSTs-Methodology and evaluation of the new SST. J. Oceanogr., 60, pp.905-912. 

  4. Kelly, K. A. and M. J. Caruso(1990), A modified objective mapping technique for scatterometer wind data. J. Geophys. Res., 95, pp. 13483-13496. 

  5. Le Traon, P. Y., F. Nadal and N. Ducet(1998), An improved mapping method of multisatellite altimeter data. J. Atmos. Oceanic. Technol., 15, pp. 522-534. 

  6. Lee, Y. H. and M. H. Ahn(2001), The impact of high resolution SST on the performance of temperature prediction in a shortage prediction, J. Kor. Meteo. Soc., 37, pp. 607-619. 

  7. Sakaida, F., H. Kawamura, S. Takahashi, T. Shimada, Y. Kawai, K. Hosoda, and L. Guan(2009),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NewGener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for Open Ocean(NGSST-O) product and its demonstration operation. J. Oceanogr., 65, pp. 859?8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