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아파트의 미세먼지 유입 특성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at a Korean Apartment House 원문보기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v.15 no.4, 2019년, pp.149 - 157  

주상우 ((주)에코픽쳐스) ,  지준호 ((주)에코픽쳐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had been investigated in real-life for about 90 days over 2 years in a Korean apartment building where a 3-person household had lived and the exclusive private area was 84.9 ㎡. Airtightness was measured by fan depressurization, and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STM의 기준 조건 이외에 발코니 창호와 거실 방문의 개폐에 따라 건물의 기밀성능이 얼마나 변하는지 확인해보았다. 창문과 방문의 개폐조건에 따른 ACH50은 표 1에 표시하였다.

가설 설정

  •  미세먼지 유입 특성은 측정 기간 중 실내외 미세먼지 농도와 외부 풍속이 안정한 구간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했다. 바깥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입자 크기에 따른 입경별 실내외 농도비를 분석했고, 바깥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필터가 장착되었다고 가정하여 입자 제거성능에 해당하는 필터성능등급을 추정하였다.
  • 실제 대기입자의 밀도가 대개 1 g/cm3 보다 크므로 광학 등가 공기역학경에서 크기분포는 광학 등가 입경보다 더욱 큰 입자영역에 나타나게 된다(Hinds, 1998; Ji, 2018). 본 논문에서는 대기입자의 밀도를 1.6 g/cm3으로 가정하였다(Ji and Bae, 2013). 미세먼지가 창틈과 문틈을 통과하면서 제거된 효과를 필터 등급인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SHRAE) dust spot efficiency rating과 비교해 보았다(Fisk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CH50은 무엇인가? 측정 대상 건물의 기밀성능을 구하기 위해 공기 누설율로 ACH50 을 측정하였다. ACH50 은 50 Pa의 실내외 압력차에서 측정 공간의 체적만큼의 침기 또는 누기량이 한 시간 동안 몇 번 교환되었는가를 표현한 것이다. ASTM E779-10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Air Leakage Rate by Fan Pressurization” 의 규격에 따라 감압법으로 측정한 해당 주택의 ACH50 은 2.
대기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 특성은 입자크기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대기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 특성은 입자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창과 문이 닫힌 공동주택 거실에서 미세먼지 중 상대적으로 큰 입자(PM10-2.5 ,입경이 2.5에서 10 μm 사이인 입자)는 거의 유입되지 않으나 초미세먼지는 상당량이 유입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Joo and Ji, 2019). 국내의 경우 대기 미세먼지에 대한 연구가 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주택 내와 같은 주거환경에서의 심층적인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Bae and Kim, 2017).
주택 내 미세 먼지나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인체 노출의 관점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2019년에는 상반기에만 1월 14일 129, 3월 4일 117, 3월 5일 135, 3월 6일 101 μ g/m3 로 2018년 최대 농도를 능가하였다. 사람들이 오랜 시간 주택 내에 머무르기 때문에 주택 내 미세 먼지나 초미세먼지의 농도는 인체 노출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통계청의 2014년 한국인의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은 평일에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t, E., Suh, H. H., Catalano, P., & Koutrakis, P. (2000). Relative contribution of outdoor and indoor particle sources to indoor concentration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34(17), 3579-3587. 

  2. ASHRAE (2007). Standard 52.2-2007. Method of testing general ventilation air cleaning devices for removal efficiency by particle size, in.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s, Inc. Atlanta. 

  3. ASTM (2010). E779-10.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air leakage rate by fan pressurization, Philadelphia: 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s. 

  4. Bae, G. N, & Kim, J.B. (2017). Research trend on behavior and control of indoor aerosol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2), 99-112. 

  5. Chao, C. Y., Wan, M. P., & Cheng, E. C. (2003). Penetration coefficient and deposition rate as a function of particle size in non-smoking naturally ventilated residences, Atmospheric Environment, 37(30), 4233-4241. 

  6. Fisk, W.J., Faulkner, D., Palomen, Jo, & Seppamen, O. (2002) Performance and cost of particle air filtration technologies, Indoor Air, 12(4), 223-234. 

  7. Hinds, W. C. (1998). Aerosol Technology : Properties, behavior, and measurement of airborne particles, John Wiley and Sons Inc, Second Edition. 

  8. Ji, J. H. (2018). Size distributions of suspended fine particles during cleaning in an office,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14(2), 25-33. 

  9. Ji, J. H., & Bae, G. N. (2013). Estimation of mass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s using real-time aerosol measuring instruments,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9(2), 39-50. 

  10. Jo, J. H. (2015). Airtightness data of Korean apartment buildings,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9(3), 40-48. 

  11. Joo, S. W., & Ji, J. H. (2019). Characteristics of indoor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by size at an apartment house during dusty-day,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15(1), 37-44. 

  12. KIAEBS (2013). KIAEBS C-1. Building Airtightness Criteria,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13. KME (2018).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17,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14. Long, C. M., Suh, H. H., Catalano, P. J., & Koutrakis, P. (2001). Using time-and size-resolved particulate data to quantify indoor penetration and deposition behavio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35(10), 2089-2099. 

  15. Malik, N. (1978). Field studies of dependence of air infiltration on outside temperature and wind, Energy and Buildings, 1(3), 281-292. 

  16. Nazaroff, W. W. (2004). Indoor particle dynamics, Indoor Air, 14(Suppl.7), 175-183. 

  17. Statistics Korea (2016).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2016 . 

  18. Wallace, L. (1996). Indoor particles: a review,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46(2), 98-126. 

  19. Yee, S. W., Lee, B. H., Back, J. M., Kang, D. H., Yeo, M. S., & Kim, K. W. (2017). A research on analytic method of determining penetration factor and deposition rate for predicting indoor particle concentr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3(11), 35-42. 

  20. Yoon, H, Shuai, J. F., Kim T., Seo J., Jung D., Ryu, H., & Yang W. (2017). Microenvironmental time-activity patterns of weekday and weekend on Korean adult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2), 182-186. 

  21. Yoon, J. O. (2013). Field measurement of infiltration in new apartments using de-pressurization method, KIEAE Journal, 13(3), 27-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