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4'-O-methylalpinumisoflavone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Anti-oxidative and Whitening Efects of 4'-O-methylalpinumisoflavone Isolated from Fruit of Maclura Tricuspidata Carrièr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3 no.6, 2019년, pp.349 - 355  

류지효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약물의학부) ,  노준용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약물의학부) ,  김수라 ((주)세원생명공학 바이오연구개발센터) ,  이금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이동호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  김관회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김형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약물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4'-O-methylalpinumisoflavone (OMAI) has been reported in recent years. To develop effective and safe skin whitening agents,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melanogenic effects of OMAI isolated from fruit of Maclura tricuspidata Carrière (Cudrania tricu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피부 미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 과다 색소침착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피부 미백 성분이 개발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미백 성분을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다양한 후보 물질들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관찰한다. 멜라닌 합성은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TRP) 1, TRP2와 같은 enzymes에 의해 조절되는데, 특히 tyrosinase는 rate-limiting enzyme으로 알려져 있다.
  •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피부 미백 효과가 탁월한 성분을 발굴하고자 육상 식물, 해양 자원, 한약재 등의 천연물에서 유래된 물질을 활용하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의 과실에서 추출된 OMAI의 활성산소 소거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 또한, mouse 유래 melanoma cell뿐만 아니라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cell의 생존율에 OMAI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MTT assay를 실시했다. 그 결과, B16F10 cells에서의 결과와 같이 5 μg/ml 농도에서는 세포 생존율에 거의 영향이 없었으나, 10 μg/ml를 처리한 군에서는 약 4.
  • OMAI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OMAI의 superoxide radical 소거 효과를 확인했다. 그 결과 OMAI 1, 5, 10 μg/ml에서의 superoxide radical 소거 능력은 각각 34.
  •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진 OMAI가 tyrosinase 활성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B16F10 cell 내에서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의 tyrosinase 활성을 100%로 했을 때, α-MSH만 처리한 군에서는 124.
  •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OMAI을 이용하여 murine melanoma cell line인 B16F10 cells에서 α-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여 기존의 피부 미백 성분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 효능을 가지는 미백제로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 열매로부터 추출한 OMAI의 피부 미백 성분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시료는 기능성 화장품 시장에서 피부 진정, 항염증, 미백 기능성 후보 물질로서 각광을 받는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OMAI의 피부 미백 효과를 좀 더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B16F10 cells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 정도에 OMAI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최저 투여 농도인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해 자외선은 무엇인가? 피부 과다색소침착을 유발하는 원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유해 자외선이다. 자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 내에서는 활성산소를 생성되고,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해 DNA가 손상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다.
피부는 왜 멜라닌을 생산하는 가? 인간의 신체를 덮고 있는 피부는 유해한 자외선 및 물리화학적 외부 독성물질로부터 개체를 보호하기 위해 피부 표피층에 있는 melanocyte의 melanosome에서 멜라닌을 생산한다. 이러한 과정은 정상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나, 과생성된 멜라닌이 축적되어 피부에 착색되면 피부 과다색소침착(hyperpigmentation)을 유발한다 21).
항산화 물질이 피부 미백 물질로 인식되고 있는 이유는? 피부 과다색소침착을 유발하는 원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유해 자외선이다. 자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 내에서는 활성산소를 생성되고,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해 DNA가 손상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다. 또한 활성산소는 tyrosinase와 같이 tyrosine의 산화 과정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세포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 또는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은 피부 미백 성분의 중요한 기능으로 볼 수 있다34-38). 이러한 이유로 항산화 물질은 일련의 산화 과정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활성산소 를 제거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피부 미백 물질로 인식되고 있다3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Guo jia zhong yi yao guan li ju "Zhonghua ben cao" bian wei hui. Zhong hua ben cao, v2.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 Technical Publishers. 1998;520. 

  2. Seo WG, Pae HO, Oh GS; Chai. KY, Yun. YG, Chung. HT, Jang. KK, Kwon TO.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stem bark of Cudrania tricuspidata induces apoptosis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Am. J. Chin. Med. 2001;29:313-20. 

  3. Kwon SB, Kim MJ, Yang JM, Lee HP, Hong JT, Jeong HS, Kim ES, Yoon DY. Cudrania tricuspidata stem extract induces apoptosis via the extrinsic pathway in SiHa cervical cancer cells. PLOS ONE. 2016;11:e0150235. 

  4. Chang SH, Jung EJ, Lim DG Oyungerel B, Lim KI, Her E, Choi WS, Jun MH, Choi KD, Han DJ, Kim SC. Anti-inflammatory action of Cudrania tricuspidata on spleen cell and T lymphocyte proliferation. J. Pharm. Pharmacol. 2008;60:1221-6. 

  5.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28:1310-5. 

  6. Kang DH, Kim JW, Youn KS.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 and inhibitory actions on elastase and tyrosinase. Korean J. Food Preserv. 2011;18:236-43. 

  7. Jeong CH, Choi GN, Kim JH, Kwak JH, Jeong HR, Kim DO, Heo JH. Protective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Cudrania tricuspidata o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toxicity. Food Sci. Biotechnol. 2010;19:1113-7. 

  8. Xin LT, Yue SJ, Fan YC, Wu JS, Yan D, Guan HS, Wang CY. Cudrania tricuspidata: an updated review on ethnomedicine,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RSC Adv. 2017;7:31807-32. 

  9. Lee BW, Lee JH, Lee ST, Lee. HS, Lee WS, Jeong TS, Park KH.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xanthone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ioorg. Med. Chem. Lett. 2005;5:5548-52. 

  10. Lee YJ, Kim S, Lee SJ, Ham I, Whang WK. Antioxidant activities of new flavonoids from Cudrania tricuspidata root bark. Arch. Pharm. Res. 2009;32:195-200. 

  11. Kim DW, Lee WJ, Asmelash Gebru Y, Choi HS, Yeo SH, Jeong YJ, Kim S, Kim YH, Kim MK.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clura tricuspidata Fruit Extracts at Different Maturity Stages. Molecules. 2019;24:pii:E567. 

  12. Chen X, Mukwaya E, Wong MS, Zhang YA. systematic review on biological activities of prenylated flavonoids. Pharm. Biol. 2014;52:655-60. 

  13. Hiep NT, Kwon J, Kim DW, Hong S, Guo Y, Hwang BY, Kim N, Mar W, Lee D. Neuroprotective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Maclura tricuspidata. Tetrahedron. 2017;73:2747-59. 

  14. Tian YH, Kim HC, Cui JM, Kim YC. Hepatoprotective constituents of Cudrania tricuspidata. Arch. Pharm. Res. 2005;28:44-8. 

  15. Kim OK, Nam DE, Jun W, Lee J. Anti-inflammatory and gastroprotective activitie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extract against acute HCl/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in Sprague-Dawley rats. J. Food Biochem. 2015;39:508-16. 

  16. Seo EJ, Curtis-Long MJ. Lee BW, Kim HY, Ryu YB, Jeong TS, Lee WS, Park KH. Xanthones from Cudrania tricuspidata displaying potent ${\alpha}$ -glucosidase inhibition. Bioorg. Med. Chem. Lett. 2007;17:6421-4. 

  17. Han XH, Hong SS, Hwang JS, Jeong SH, Hwang JH, Lee MH, Lee MK, Lee D, Ro JS, Hwang BY. Monoamine oxidase inhibitory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Cudrania tricuspidata. Arch Pharm Res. 2005;28:1324-7. 

  18. Lim JY, Hwang BY, Hwang KW, Park SY. Methylalpinumisoflavone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in microglial cells by the NF-kappaB and MAPK signaling pathway. Phytother Res. 2012;26:1948-56. 

  19. Lee J, Kim BY, Son Y, Giang DH, Lee D, Eo SK, Kim K. 4'-O-Methylalpinumisoflavone inhibits the activation of monocytes/macrophages to an immunostimulatory phenotype induced by 27-hydroxycholesterol. Int J Mol Med. 2019;43:2177-86. 

  20. Liu Y, Veena CK, Morgan JB, Mohammed KA, Jekabsons MB, Nagle DG, Zhou YD. Methylalpinumisoflavone inhibits hypoxia-inducible factor-1 (HIF-1) activation by simultaneously targeting multiple pathways. J Biol Chem. 2009;284(9):5859-8. 

  21. Sapkota K, Park SE, Kim JE, Kim S, Choi HS, Chun HS, Kim SJ.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Properties of Chestnut Flower Extract.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10;74:1527-33. 

  22. Jung YJ, Ko WS, Yoon HJ. A study on correlation of melanin & pigmanetation disorder and viscera and bowel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6;29:27-41. 

  23. Aoki Y, Tanigawa T, Abe H, Fujiwara Y. Melanogenesis inhibition by an oolong tea extract in b16 mouse melanoma cells and UV-induced skin pigmentation in brownish guinea pigs.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7;71:1879-85. 

  24. Chakraborty AK, Funasaka Y, Komoto M, Ichihashi M. Effect of arbutin on melanogenic proteins in human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1998;11:206-12. 

  25. Halder RM, Richards GM. Topical agents used in the management of hyperpigmentation. Skin Therapy Lett. 2004;9:1-3. 

  26. Maeda K, Fukada M. In viv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s. J Soc Cosmet Chem. 1991;42:361-8. 

  27. Lee C, Jang JH, Ahn EM, Park CI. Inhibitory Effects of Marine Natural Products on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Kor. J. Herbology. 2012;27:73-80. 

  28. Skehan P. Assays of cell growth and cytotoxicity. In Studzinski, G.P. (Ed.), Cell Growth and Apoptosis. New York: 1998. Oxford University press 180. 

  29. Furuno K, Akasako T, Sugihara N. The contribution of the pyrogallol moiety to th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Biol. Pharm. Bull. 2002;25:19-23. 

  30. Sim GS, Kim JH, Lee BC, Lee DH, Lee GS, Pyo HB.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of Sedum sarmentosum. Yakhak Hoeji 2008;52:165-71. 

  31. Guidelines for the Valid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I -Data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r function of the product to help skin whitening.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5. 

  32. JI Kim, GM J. East-West Medical Review of Atopic Dermatitis. J. ped. Kor. Med. 1994;8(1):75-80. 

  33. Quevedo WC, Jr. Epidermal melanin units: melanocyte-keratinocyte interactions. AM. Zoologist. 1972;12:35-41. 

  34. Smit NP, van Nieuwpoort FA, Marrot L, Out C, Poorthuis B, van Pelt H, Meunier JR, Pavel S. Increased melanogenesis is a risk factor for oxidative DNA damage-study on cultured melanocytes and atypical nevus cells. Photochem Photobiol. 2008;84:550-5. 

  35. Napolitano A, Panzella L, Monfrecola G, d-Ischia M. Pheomelanin induced oxidative stress: Bright and dark chemistry bridging red hair phenotype and melanoma. Pigment Cell Melanoma Res. 2014;27:721-33. 

  36. Hagiwara K, Okura M, Sumikawa Y, Hida T, Kuno A, Horio Y, Yamashita T. Biochemical effects of the flavanol-rich lychee fruit extract on the melanin biosynthesi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Journal of Dermatology. 2016;43:1174-83. 

  37. Han YS, Jung ES.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sian J Beauty Cosmetol. 2003;1:11-22. 

  38. Yamaguchi Y, Hearing VJ. Physiological factors that regulate skin pigmentation. Biofactors. 2009;35:193-9. 

  39. Hearing VJ, Tsukamoto K. Biochemical control of melanogenesis and melanosomal organization. J. Invest. Dermatol. Symp. Proc. 1999;4:24-8. 

  40. Oh WK, Kim KB, Lim JY, Lee SK, Kwon YD, Yeom SR, Song YS. Effects of Dokhwalkisaeng-tang on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nd gene expression in B16F10 melanoma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9;23:63-7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