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PLC와 중수소 충돌기체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한 셀레노단백질과 한국인 직장암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for the Relation Between Selenoproteins and Korean Rectal Cancer Using Deuterium Collision Gas HPLC-ICP/MS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3 no.6, 2019년, pp.420 - 426  

이서영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박용남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수소를 충돌기체로 사용한 ICP-MS와 ammonium formate를 용리액으로 사용한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혈청에서의 셀레노단백질 GPx, SelP 및 SeAlb을 분리하고 후 칼럼 동위원소 희석법으로 정확히 정량하였다. 인증기준물질인 BCR 639 (133±12 ng g-1)에 대하여 측정한 셀레늄 총량값은 130±6 ng g-1으로 정확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인의 직장암 그룹 25명과 통제군 30명의 혈청 속 셀레노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셀레늄 총량에 대하여 직장암 그룹이 84±27 ng g-1, 통제군이 119±28 ng g-1으로 직장암 그룹이 통제군 보다 95%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더 작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즉 t 계산값은 4.93으로 95% 신뢰수준의 2.04보다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60대 이상의 고 연령층일 수록 더욱 뚜렷하였다. 각 셀레노단백질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두 그룹은 서로 비슷하였고 각 셀레노단백질과 직장암에 따른 특별한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직장암 병기가 진행됨에 따라 셀레노단백질 중 GPx의 농도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셀레늄 총량의 경우 2기에서 약간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lenoproteins,in Korean blood serum, GPx, SelP, and SeAlb were separated and determined with the use of HPLC-ICP/MS. Deuterium was used as a collision gas and affinity column with ammonium formate was used as an eluting solvent for the accurate quantitation of selenoproteins in human blood serum. C...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중간섭의 배제와 용리액에 의한 신호의 변화를 최소화시켜 정확한 분석법을 고안하고 혈청내의 셀레노단백질을 분석하여 한국인의 직장암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 에서 발표한 바 있다. 연구에서는 용리액의 변화와 실제 암환자에 대한 적용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청 속 셀레노단백질의 정확한 분석을 방해하는 요인 중 가장 큰 것은 무엇인가? 이 때 혈청 속 셀레노단백질의 정확한 분석을 방해하는 몇 요인 중 가장 큰 것은 혈청 내 Br에 의한 동중간섭이다. 셀레늄분석에는 80[Ar2+]에 의한 동중간섭이 매우 크므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고 이러한 목적으로 충돌셀이 장착된 ICP/MS를 이용하게 된다.
셀레늄의 특징은 무엇인가? 셀레늄은 21세기 비타민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또한 암 의 발병과 예방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1969 년 Shamberger2가 셀레늄의 항암효과를 처음 제시한 이후 현재까지 셀레늄과 암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 루어지고 있다.
혈청 속 셀레늄 분석에 극미량 수준에서 정확한 분석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암과 셀레늄의 상관관계 연구를 위한 혈청 속 셀레늄 분석에는 무엇보다 극미량 수준에서 정확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는 셀레늄이 인체에서 필수 미량원소로써 약 100 µg kg-1의 좁은 농도범위를 갖기 때문이다.6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Inductive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를 이용한 동위원소 측정은 약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ung, A. S.; Park, J. M.; Kim, 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2004, 9, 8. 

  2. Shamberber, R. J.; Frost, D. V. Canadian Medil Association Journal 1969, 100, 682. 

  3. Rayman, M. P.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2005, 64, 527. 

  4. Clark, L. C.; Combs, G. F.; Turnbull, B. W.; Slate, E. H.; Chalker, D. K.; Chow, J.; Krongrad, A. JAMA 1996, 276, 1957. 

  5. Blot, W. J.; Li, J. Y.; Taylor, P. R.; Guo, W.; Dawsey, S.; Wang, G. Q.; Yang, C. S.; Zheng, S. F.; Gail, M.; Li, G. Y.; Yu, Y.; Liu, B. Q.; Tangrea, J.; Sun, Y. H.; Liu, F.; Fraumeni, J. F.; Zang, Y. H.; Li, B.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993, 85, 1483. 

  6. Woo, J. H.; Lim, W. S. Ewha Med. J. 2017, 40, 17. 

  7. Niedzielski, P.; Siepak, M. Polish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2003, 12, 653. 

  8. Jenner, F. E.; Holden, P.; Mavrogenes, J. A.; O'Neill, H. S.; Allen, C. Geostandards and Geoanalytical Research 2009, 33, 309. 

  9. Schrauzer, G. N.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2000, 57, 1864. 

  10. Jitaru, P.; Cozzi, G.; Seraglia, R.; Traldi, P.; Cescon, P.; Barbante, C. Analytical Methods 2010, 2, 1382. 

  11. Cho, H. H.; Pak, Y. N.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1, 55, 472. 

  12. Garcia-Sevillano, M. A.; Garcia-Barrera, T.; Gomez-Ariza, J. L. Journal of Chromatography A 2013, 1318, 171. 

  13. Kim, S. J.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14. Jitaru, P.; Roman, M.; Cozzi, G.; Fisicaro, P.; Cescon, P.; Barbante, C. Microchimica Acta 2009, 166, 319. 

  15. Kim, L. W.; Pak, Y. N. Bull. Korean Chem. Soc. 2017, 38, 1405. 

  16. Kralj, P.; Veber, M. Acta Chimica Slovenica 2003, 50, 633. 

  17. Warburton, E.; Goenaga-Infante, H. Journal of Analytical Atomic Spectrometry 2007, 22, 370. 

  18. Kim, S. J.; Pak, Y. N. Bull. Korean Chem. Soc. 2016, 37, 1886. 

  19. Lee, S. Y.; Pak, Y. N. Bull. Korean Chem. Soc. 2018, 39, 941. 

  20. Ko, Y. S.; Park, J. W.; Lee, S. H.; Lee, Y. C.; Hong, Y. J.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3, 44, 2358. 

  21. Song, S. H.; Song, K. H.; Lee, S. B.; Kim, C. S.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2006, 47, 150. 

  22. Kim, Y. J.; Galindev, O.; Sei, J. H.; Bae, S. M.; Im, H.; Wen, L.; Ahn, W. S.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2009, 131, 103. 

  23. Park, M. S.; Pak, Y. N.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015, 28, 417. 

  24. Hughes, D. J.; Fedirko, V.; Jenab, M.; Schomburg, L.; Meplan, C.; Freisling, H.; Bueno-de-Mesquita, H. B.; Hybsier, S.; Becker, N.; Czuban, M.; Tjonneland, A.; Outzen, M.; Boutron-Ruault, M.; Racine, A.; Bastide, N.; Kuhn, T.; Kaaks, R.; Trichopoulos, D.; Trichopoulou, A.; Lagiou, R.; Panico, S.; Peeters, P. H.; Weiderpass, E.; Skeie, G.; Dagrun, E.; Chirlaque, M. D.; Sanchez, M. J.; Ardanaz, E.; Ljuslinder, I.; Wennberg, M.; Bradbury, K. E.; Vineis, P.; Naccarati, A.; Palli, D.; Boeing, H.; Overvad, K.; Dorronsoro, M.; Jakszyn, P.; Cross, A. J.; Quiros, J. R.; Stepien, M.; Kong, S. Y.; Duarte-Salles, T.; Riboli, E.; Hesketh, J. E.; Tjonneland, A.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2015, 136, 1149. 

  25. Russo, M. W.; Murray, S. C.; Wurzelmann, J. I.; Woosley, J. T.; Sandier, R. S. Nutrition and Cancer 1997, 28, 125. 

  26. Burri, J.; Haldimann, M.; Dudler, V. Journal of Trace Elements in Medicine and Biology 2008, 22, 112. 

  27. Kafai, M. R.; Ganji, V. Journal of Trace Elements in Medicine and Biology 2003, 17, 13. 

  28. Savarino, L.; Granchi, D.; Ciapetti, G.; Cenni, E.; Ravaglia, G.; Forti, P.; Maioli, F.; Mattioli, R. Experimental Gerontology 2001, 36, 327. 

  29. Fernandez-Banares, F.; Dolz, C.; Mingorance, M. D.; Cabre, E.; Lachica, M.; Abad-Lacruz, A.; Gil, A.; Esteve, M.; Gine, J. J.; Gassull, M. A.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990, 44, 225. 

  30. Swanson, C. A.; Longnecker, M. P.; Veillon, C.; Howe, M.; Levander, O. A.; Taylor, P. R.; McAdam, P. A.; Brown, C. C.; Stampfer, M, J.; Willett, W. C.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990, 52, 858. 

  31. Kim, J. H.; Hue, J. J.; Kang, B. S.; Park, H.; Nam, S. Y.; Yun, Y. W.; Kim, J. S.; Jeong, J. H.; Lee, B. J. Laboratory Animal Research 2010, 26, 293. 

  32. Reszka, E. Clinica Chimica Acta 2012, 413, 8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