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이용한 일반화학실험에서 글쓰기 대상에 따른 예비화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모델링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Modelling Ability and Perceptions in Science Writing for Audiences of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Using Argument-based Modeling Strategy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3 no.6, 2019년, pp.459 - 472  

조혜숙 (부산대학교 화학교육과) ,  김한영 (부산대학교 화학교육과) ,  강유진 (부산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 ,  남정희 (부산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수업에서 글쓰기 대상에 따른 과학 글쓰기가 예비 화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모델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예비 화학교사들의 화학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사범대학 화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화학교사 1학년 18명을 대상으로 11개 주제의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화학개념 이해는 사전과 사후의 화학개념 이해 검사 점수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모델링 능력은 예비 화학교사들이 제시하는 모델을 설명, 표상화, 의사소통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집단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모델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화학교사의 화학개념 이해와 모델링 능력은 글쓰기 대상인 독자의 수준이 낮은 경우,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글쓰기 대상에 따른 집단에서 모델링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델링 과정을 경험함에 따라 예비 화학교사들의 응답이 더 구체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for different audiences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chemistry concept understanding and modeling ability in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activities using Argument-based Modeling (AbM) strategy. And we also examined pres...

주제어

표/그림 (1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요? 1 이때 과학적 탐구는 과학적 의사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아우르는 것이라 볼 수 있다.2 과학교육의 핵심역량에서 강조하고 있는 의사소통이란 말하는 사람이 특정 상황뿐 아니라 탈 맥락화된 상황에서도 자신의 생각이나 의도를 이해하고 이를 적절한 문장의 형태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듣는 사람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뜻한다.3 이러한 의사소통이 중요한 이유는 우리가 사회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때 개개인의 능력이 문화적 도구인 언어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이다.
글쓰기 대상을 고려하는 글쓰기 전략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24 글쓰기 대상인 독자를 고려한 글쓰기는 학생들이 기존의 개념들에 대해서 새로운 방법으로 생각하게 하고 학생들 자신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더 명확히 하는 것을 요구한다.25 글쓰기 대상인 독자의 성향이나 특징에 따라 글쓰기의 양상이 많이 변화하는데, 학생들은 독자를 고려한 글쓰기를 통해 개념을 명확하게 하거나 정교화 할 수 있고, 주요 개념과 명확하지 않은 자신의 지식 사이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다.26
의사소통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2 과학교육의 핵심역량에서 강조하고 있는 의사소통이란 말하는 사람이 특정 상황뿐 아니라 탈 맥락화된 상황에서도 자신의 생각이나 의도를 이해하고 이를 적절한 문장의 형태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듣는 사람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뜻한다.3 이러한 의사소통이 중요한 이유는 우리가 사회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때 개개인의 능력이 문화적 도구인 언어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이다.4 따라서 과학에서의 의사소통은 학생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며, 자연 현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다른 학생들과 교환하는 과정에서 발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tice No. 2015-74. 

  2. Brown, J. S.; Collins, A.; Duguid, P. Educational Researcher 1989, 18, 32. 

  3. Lee, S. Y.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1994, 4, 67. 

  4. Vygotsky, L. S. Language and Though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Ontario, Canada. 1962. 

  5. Gilbert, S. W.; Ireton, S. W. Understanding Models in Earth & Space Science. NSTA press: U.S.A. 2003. 

  6. Redish, E. F. American Journal of Physics 1994, 62, 796. 

  7. Chamizo, J. A. Science & Education 2013, 22, 1613. 

  8. Boulter, C. J.; Buckley, B. C. Constructing a Typology of Models for Science Education. In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Springer, Dordrecht. 2000; pp 41-57. 

  9. Lehrer, R.; Schauble, L. Scientific Thinking and Science Literacy.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2006, 4, 153. 

  10. Halloun, I. 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6, 33, 1019. 

  11. Oh, P. S.; Oh, S. J.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1, 33, 1109. 

  12. Harrison, A. G.; Treagust, D. F.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 1011. 

  13. Justi, R. S.; Gilbert, J. 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2, 24, 1273. 

  14. Windschitl, M. Science Education 2003, 87, 112. 

  15. Windschitl, 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4, 41, 481. 

  16. Cho, H. S.; Nam, J.; Oh, P.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7, 37, 239. 

  17. Talanquer, V.; Tomanek, D.; Novodvorsky, I.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3, 50, 189. 

  18.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 Acher, A.; Fortus, D.; Krajcik,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9, 46, 632. 

  19. Passmore, C. M.; Svoboda, J.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2, 34, 1535. 

  20. Romberg, T. A.; Carpenter, T. P.; Kwako, J. Understanding Mathematics and Science Matters: Routledge: London, U. K., 2005; p3-26. 

  21. Bybee, R. W. Science Teacher 2011, 78, 34. 

  22. Cho, H. S.; Nam,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4, 4, 583. 

  23. Kim, M. C. Trends in Research Studies on Scientific Writing. Master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2015. 

  24. Prain, V.; Hand, B.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16, 12, 609. 

  25. Midgette, E.; Haria, P.; MacArthur, C. Reading and Writing 2008, 21, 131. 

  26. Chen, Y.; Garcia, E. K.; Gupta, M. R.; Rahimi, A.; Cazzanti, L.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2009, 10, 747. 

  27. Porter, J. E. Audience and Rhetoric: An Archaeological Composition of the Discourse Community.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1992. 

  28. McDermott, M.; Kuhn, M. Teaching Science: The Journal of th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12, 58, 53. 

  29. Gunel, M.; Hand, B.; McDermott, M. A. Learning and Instruction 2009, 19, 354. 

  30. Keys, C. W.; Hand, B.; Prain, V.; Collins,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9, 36, 1065. 

  31. Nam, J.; Kwak, K. H.; Jang K. H.; Hand, B.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8, 28, 922. 

  32. Heo, E. A. The Impact of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using Reading frame-based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on College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2011. 

  33. Lee, D. W. Investigation about the cognitive process of student's modeling at modeling emphasized argument-based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Doctor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2015. 

  34. Lesh, R. A.; Doerr, H. M. Beyond constructivism: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s o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learning, and teaching. Routledge: London, U. K., 2003; pp 159-173. 

  35. Schwarz, C. V.; White, B. Y. Cognition and Instruction 2005, 23, 165. 

  36. Sins, P. H.; Savelsbergh, E. R.; van Joolingen, W. 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5, 27, 1695. 

  37. dos Santos, A. K.; Ogborn, J.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1994, 10, 182. 

  38. White, B. Y.; Frederiksen, J. R. Cognition and Instruction 1998, 16, 3. 

  39. Ingham, A. M.; Gilbert, J. 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91, 13, 193. 

  40. Chabalengula, V. M.; Mumba, F.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2012, 2, 1. 

  41. McDermott, M.; Kuhn, M.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011, 41, 1. 

  42. Sampson, V.; Clark, D. B. Science Education 2008, 92, 447. 

  43. Duschl, R. A.; Osborne, J.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002, 28, 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