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통한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함양
Impact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Strategy on the Practical Character Competen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Middle School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5, 2018년, pp.681 - 691  

조혜숙 (부산대학교) ,  권동욱 (부산대학교) ,  강유진 (부산대학교) ,  박종석 (경북대학교) ,  손정우 (경상대학교) ,  남정희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에 협력적 문제해결(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전략이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전략을 적용한 학생들의 반성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여학생반을 대상으로 하여 2개 학급 49명은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한 집단(CoProC 집단)으로, 2개 학급 46명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및 실험 수업을 적용한 집단(비교 집단)으로 나누었다. 두 집단에는 한학기 동안 5개 주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CoProC 집단은 비교 집단 보다 실천적 인성 역량의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하위 항목에서는 협력, 소통, 책임, 긍정적 자기이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실천적 인성 역량의 하위항목별 효과 크기(effect size)를 분석해보면, CoProC 집단은 비교 집단 보다 배려, 협력, 소통, 정직, 책임, 긍정적 자기이해, 자기조절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적용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이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oProC 집단의 학생들이 수행한 5개 주제의 활동 중 초기와 후기의 수업에서 작성된 반성 글쓰기를 분석하여 협력적 문제 해결력의 사회적 역량에 한정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총점에서 큰 수준의 효과 크기를 보였다. 하위 항목인 구성원의 탐색과 이해는 작은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으며, 조직 구성 및 유지는 중간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의사소통과 자기 행동 반성은 큰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과학교과 중심의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은 과학적 탐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적 의사소통을 통한 문제해결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strategy on the practical character competen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middle school. For this study, 49 seventh grade students (two classes) were select...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 에서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사회적 역량에 한정하여 정의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했던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사회적 역량에 한정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구성원의 장점과 단점을 인식하며 이해하는 ‘구성원의 탐색과 이해’,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과 구성원의 역할을 이해하고 모둠 조직을 구체화하는 ‘조직 구성 및 유지’, 학급의 전 구성원의 반응에 대해 응답하며 상호 작용하는 ‘의사소통’, 자신의 행동과 수행에 대해 점검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자기 행동 반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현재 강조하고 있는 인성교육은 실천적 인성교육으로, 이는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기 위한 사회에서 요구되는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에 적용한 협력적 문제해결(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전략이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전략을 적용한 학생들의 반성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이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한 CoProC 집단과 전통적 강의식 및 실험 수업을한 비교 집단의 실천적 인성 역량을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전략이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및 협력적 문제해결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다음 에서는 연구대상, 협력적 문제해결 전략, 실천적 인성 역량, 협력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및 분석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에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 이끌어낸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한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동 후 학생들이 작성한 반성 글쓰기를 분석하였다. 반성 글쓰기(reflective writings)는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한 수업 과정 중 자신의 인지 변화와 행동 변화에 대해 기록하는 것이다(Nam, Kwak, Jang, & Hand, 2008).
  • , 1989)이기 때문에 단순히 문제해결 전략이라는 인지적 역량보다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이라는 사회적 역량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사회적 역량으로 한정하여 정의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이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에게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협력과 배려 증진을 위한 인성교육이 필수가 된 배경은 무엇인가? 공동체 구성원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하는 것은 오늘날 한국의 사회적 분위기에서 특히 필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한국은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물질적인 풍요를 이루었으나 사회적으로 올바른 도덕성과 가치관의 상실로 인해 물질 만능주의와 이기주의가 팽배해졌다 (Song, & Lee, 2017). 경쟁적인 사회 분위기와 각 개인의 성과를 중심 으로 이루어지는 평가로 인해 지나친 학업성적의 강조와 지식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졌고, 사회의 규칙이나 절차에 따르는 것보다 편법을 사용하는 것이 용인되는 분위기를 가져왔으며, 이로 인해 우울, 불안, 자살, 폭력, 각종 범죄 등이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15).
21세기의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상은 무엇인가? 21세기의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상은 지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협력, 공감, 소통, 배려, 사회성 등의 정의적 능력을 갖추어는 것으로 이러한 올바른 인성에 기초하여 공동체 의식을 지닌 시민으로써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Kim et al., 2016).
성공적인 삶을 위한 핵심역량으로 OECD에서 어떤 능력을 제시하였는가? 이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사회문제인 경쟁의 심화, 경제 양극화, 환경 등의 문제들이 미래사회 구성원들의 배려와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합의를 통해 해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에 대해 OECD는 「역량의 정의 및 선정(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DeSeCo)」에서 성공적인 삶을 위한 핵심역량을 정의하면서 지적인 도구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이질적인 혼성집단에서 소통할 수 있는 능력,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핵심능력으로 제시한 바 있다(Rychen & Salganik, 2001, 2003). 우리나라에서도 미래사회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될 청소년들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점차 확대되면서, 이를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는 것에 교육의 중점을 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Sung, Bae, & Jin,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1), 32-42. 

  2. Chi, E. L., & Seong, Y. M., & Lee, S. K. (2015). Effects of collaborative performance assessment on group efficacy and creative leader competency for the secondary school language clas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8(2), 131-152. 

  3. Cooper, K. (2000). Effective competency modeling & reporting: a stepby-step guide for improving individual & organizational performance. Amacom Books. 

  4. Do, S. L. (2013). The Character Education as a Future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9(2), 143-159. 

  5. Fiore, S. M., Graesser, A., Greiff, S., Griffin, P., Gong, B., Kyllonen, P., Massey, C., O'Neil, H., Pellegrino, J., Rothman, R., Soule, H., & von Davier, A. (2017).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nsiderations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6. Gim, C. C., Kang, C. Y., So, K. H., Son, M. H., Jin, D. S., & Jeong, S. R. (2012).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reflecting practical character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 2012.9. 

  7. Huh, S. H. (1998).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2(1), 67-86. 

  8. Hyun, J., Lee, H. Y., Han, M. Y., Seo, D. H., Ryu, D. Y., & Han, H. S. (2013). A study of plan on activating character education for elementary/secondary students (1): Exploring character education diagnosis and development task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9. Kang, S. B., Park, E. S., Kim, G. S., Song, S. J., Chung, Y. K., Kim, Y. R., & Ko, M. S. (2008).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vision of education for the human nature for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0, 1-38. 

  10. Kim, D. I., Koh, H. J., Kim, E. H., Lee, H. E., Kim, H. S., Seo, M., Lee, Y. B., Lee, Y. S., Hong, S, D. (2015). Study on five-year comprehensiv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Polic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1. Kim, D. L., Choi, S. J., Shim, S. Y., Lee, J. J. Ra, Y. A. (2016).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of Future Education Design based on Character Educ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7(1), 25-45. 

  12. Kwon, J. I., & Nam. J. H. (2017). Impact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on Character Compe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5), 847-857. 

  13. Lee, S. H., Kim, J. G., Yoon, C, H., & Hong, J. G. (2017). The effects of subject-kinked character education on character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 Association of Yeolin Education, 25(4), 1-21. 

  14. Nam. J. H., Kwak, K. H., Jang, K. H., & Hand, B. (2008). The implementation of argumentation using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8), 922-936. 

  1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Subject research group workshop resources(elementary school). 

  16.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17. Ministry of Education (2016). Five year comprehensive plan of character education(2016-2020). 

  18. OECD (2013) PISA 2015: Draf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ramework. http://www.oecd.org/pisa/pisaproducts/Draft%20PISA%202015%20Collaborative%20Problem%20Solving%20Framework%20.pdf 

  19. Rychen, D. S. E., & Salganik, L. H. E. (2001).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 huber publishers. 

  20. Rychen, D. S., & Salganik, L. H. (Eds.). (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well-functioning society. Hogrefe Publishing. 

  21. Song, J. J., & Lee, S. W. (2017).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life science area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8(2), 31-47. 

  22. Spencer, L. & Spencer, S. (1993)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23. Sung, E. M., Bae, H. J., & Jin, S. H. (2014). Measurement of youth competency index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I: IEA ICCS 2016-General report.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1-325. 

  24. Tuxworth, E.(1989). Competence-based education and training: Background and origins. In J. W. Bruke (Ed.),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raining. London: The Falmer Press. 

  25. Yang, J. S., Cho, N, S., Park, S. Y., Jang, G. J., & Eun, J. Y.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ubject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RC, 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