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염총량관리제도의 TOC 목표수질 설정 방안
Establishment of Target Water Quality for TOC of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5 no.6, 2019년, pp.520 - 538  

김용삼 (KE컨설팅) ,  이은정 (청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t was proposed that a method of setting the target water quality for TOC using the watershed model and the load duration curves to manage non-biodegradable organics in the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To simulate runoff and water quality of the watershed, the HSPF model is us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오염총량관리제도의 난제 중에 하나인 난분해성 유기물질 관리를 위하여 유역모형과 부하 지속곡선(Load Duration Curves)을 활용하여 TOC의 목표수질을 설정하고자 한다. 먼저 2015년 오염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배출부하량을 입력하여 모형을 구축⋅구동하고, 보정 및 검증과정을 거친 후, 현행 관리대상 유기물질인 BOD의 기준유량시기별 분포를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물질을 대표하는 항목에는 무엇이 있는가? 유기물질은 수중오염물질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수질 악화의 원인으로 수질관리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Seo et al, 2010). 유기물질을 대표하는 항목에는 BOD, COD, TOC가 있으며, 현행 총량제 대상 유기물질인 BOD는 상당부분 개선되었고, 전체 유기물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계속해서 감소되고 있다. 반면, 대부분의 환경기초시설들이 생물학적 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처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미생물이 분해하기 어려운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NIER, 2011).
오염총량관리제도는 무엇인가? 오염총량관리제도는 개발과 보전이라는 가치의 실현을 위해 2000년대부터 도입된 대표적인 유역관리정책으로서 수계 구간별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목표수질을 달성⋅유지하기 위한 허용부하량을 산정한 후, 해당 총량관리단위유역 내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총량이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는 허용부하량 이내로 관리하는 제도이다. 현재 1단계(2004 ~2010), 2단계(2011 ~ 2015)가 완료되었고, 3단계(2016 ~ 2020)가 시행 중에 있으며, 단계별 최종년도를 대상으로 시행성과를 평가하여 할당량을 초과한 지자체는 초과량을 해소할 수 있는 삭감방안을 마련할 때까지 각종 개발계획에 대해 전면 규제조치를 취할 수 있는 강제성이 부여된 제도이다.
기존의 BOD 중심 유기물질 관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유기물질을 대표하는 항목에는 BOD, COD, TOC가 있으며, 현행 총량제 대상 유기물질인 BOD는 상당부분 개선되었고, 전체 유기물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계속해서 감소되고 있다. 반면, 대부분의 환경기초시설들이 생물학적 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처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미생물이 분해하기 어려운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NIER, 2011). 이러한 기존의 BOD 중심 유기물질 관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오염총량관리제도의 관리대상물질을 3단계부터 TOC로 전환 또는 BOD와 병행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으며 (NIER, 2010), TOC 배출부하량 및 할당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한 생활계 오염원의 TOC 원단위 조사 연구(NIER, 2013), TOC 배출경로 및 원단위의 총량계획 적용성 평가 연구(NIER, 2016) 등 관련 조사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정책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laudia, J. K., Ward, A., Christy, A. D., and Bair, E. S. (2002). Application of the BASINS database and NPSM Model on a small Ohio watershed,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1), 289-300. 

  2. Cleland, B. R. (2003). TMDL development from the "Bottom up"- Part III : duration curve and wet weather assessment, National TMDL Science and Policy 2003-WEF Specialty Conference, Chicago, IL. 

  3. Development Nevada Divis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NDEP). (2003). Load duration curve methodlogy for assessment and TMDL, Development Nevada Divis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4. Donigian, A. S. (2000).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s, EPA Headquarters, Washington Information Center, Presented and prepared for U.S. EPA, Office of Water,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19-22. 

  5. Jang, J. H. (2010). Evaluation of watershed management measures on receiving water quality using HSPF and SWAT: Kyeongan stream watershed, Doctor'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Korean Literature] 

  6. Jeon, N. J. (2011). Water quality simulation using HSPF-EFDC in saemangeum water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Korean Literature] 

  7. Jeong, D. H., Chung, H. M., Cho, Y. S., Kim, E. S., Kim, C. S., Park, J. W., and Lee, W. S. (2018). A study on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TOC removal of public sewage treatment 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32(6), 535-550. [Korean Literature] 

  8. Lee, E. J. (2013) Application of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using watershed model and load duration curves, Docto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oengju, Korea. [Korean Literature] 

  9. Lee, E. J., Kim, T. G., and Keum, H. J. (2018). Application of FDC and LDC using HSPF model to support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1), 33-45. [Korean Literature] 

  10. Mays, L. W. (2003). Hydraulic Design Handbook, McGraw-Hill, New York. 

  1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3). Approval of the basic plan for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in Gyeonggi provinc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2.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5). The master plan of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0). Setting on target material of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in third step in Keum river basi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1). The study on management standards and management method of organic matter in public water qualit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3). The research of TOC basic unit in domestic for application of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6).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on TOC emission route and basic uni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7. Park, J. D. and Oh, S. Y. (2012). Methodology for the identification of impaired waters using LDC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5), 693-703. [Korean Literature] 

  18. Ribarova, I., Ninov P., and Cooper. D. (2008). Modeling nutrient pollution during a first flood event using HSPF software : Iskar River case study, Bulgaria, Ecological Modelling, 211(1-2), 241-246. 

  19. Seo, H. J., Kang, Y. J., Min, K. W., Lee, K. S., Seo, G. Y., Kim, S. H., Paik, K. J., and Kim, S. J. (2010).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and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s in stream water and sewage effluent, Journal of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3(1), 36-44. [Korean Literature] 

  20. Shin, A. H. (2008). A study on BASINS/WinHSPF for dam simulation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n Chungju dam water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Korean Literature] 

  21. Singh, J., Knapp, H. V., Arnold, J. G., and Demissie. M. (2005). Hydrological modeling of the Iroquois river watershed using HSPF and SWAT, Journal of the Americam Water Resourcees Association, 41(2). 343-360. 

  22.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 S. EPA). (2007). An approach for using load duration curves in the development of TMDL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3. Yu, S. J. (2018). Observation of water quality in Paldang reservior, Digest of Water Industry & Business,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2-25. [Korean Literature]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