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 읍면지역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 특성 연구 - 충남 금산군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Village Wetlands in Mountainous Rural Area - Case on Geumsan-gun, Chungnam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6, 2019년, pp.37 - 44  

박미옥 (나사렛대학교 스마트그린도시산업 융합전공) ,  서주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양승빈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금산군에 위치한 마을습지 분포를 파악하고, 선행 연구된 서천군 마을습지와의 지형특성에 따른 마을습지 분포현황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Arc-GIS(v10.1)를 이용하여 지형, 수문, 습지 코드를 추출하여 마을습지 가능지 607개소가 도출되었고, 위성영상, 항공사진, 지형도,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토지이용도, 토지피복도(중분류), 토지이용현황도 등을 바탕으로 실내 판별작업 결과, 192개소가 도출되었다. 192개소를 대상으로 현지답사와 실내판별 작업을 통해 123개소의 최종 마을습지가 도출되었으며, 금산군 마을습지와 생태환경이 다른 서천군의 마을습지와 분포특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내륙산지지역인 금산군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 특성은 해안평야지역인 서천군에 비해 면적은 60%이상 넓음에도 마을습지 가능지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최종 판별된 마을습지는 오히려 훨씬 적은 2/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규모 마을습지는 생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리의 사각지대로서 급격히 사라지고 있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마을습지의 기능과 보전가치 등의 평가와 더불어 마을습지 분포, 생태적 기능, 보전가치 평가 등을 종합한 마을습지 DB구축 및 관리가 중요하다. 일상생활을 통해 지역 생태계의 생태적 질을 향상하고, 지역주민과 탐방객에게 양질의 생태계 서비스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마을습지의 보전과 조성으로 양적 질적 확대를 도모하여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후속연구로서 마을습지 입지별 유형별 규모별 관리전략과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성과는 지역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는 물론 생태자연도 및 국토환경성평가도 등 토지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village wetlands in Geumsan County, an inland mountain zone, and comparing with Seocheon County, a coastal plain area with different ecolog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Using Arc-GIS (v10.1) the village wetland cod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금산군 환경특성에 따른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 특성을 밝히고, DB 구축 및 보전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로서, 수치지형도(1:5,000)와 위성영상 토지피복도 등을 바탕으로 Arc-GIS 10.1을 이용하여 금산군 마을습지 가능지를 파악하였다. 관리전략을 위해 면적기준에 따라 면적 625m 2 미만을 소규모 마을습지로 규정하고, 습지판별지표에 따라 실내작업 및 현장답사를 통해 소규모 마을습지로 최종 판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금산군을 대상으로 마을습지 분포를 파악하고자 하며, 또한 내륙 산지형 금산군 마을습지의 읍면별 환경적 특성에 따른 분포현황과 선행 연구된 연안 평지형 서천군 마을습지 분포현황을 비교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충청남도 남동부에 위치한 금산군 무엇인가? 충청남도 남동부에 위치한 금산군은 총 면적 576.66km2에 이르며, 1개 읍, 9개 면으로 구성된 내륙 산지로서, 행정구역 및 입지에 따라 1개 읍 9개 면으로 도시화 지역은 금산읍, 내륙지 역은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Figure 1 참조).
습지의 장점은 무엇인가? 습지가 지니는 생물다양성 증진, 탄소저감, 물순환 및 물질순환, 수질정화, 친수문화 등과 같은 기능을 포함한 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람사르습지나 습지보호지역 지정, 정기적인 습지조사, 인식증진, 기능평가 등 새로운 습지를 발굴하고, 생태적으로 보전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수행되고 있다.
소규모 습지가 제공하는 융복합적 기능은 무엇인가? 소규모 습지와 관련하여 일본 토요오카시에서는 황새 서식지를 복원하기 위하여 논 주변 수역 생태계 현황조사를 실시하였고, NAS(2013)연구에 의하면 둠벙과 같은 생물 특성별 서식처 조성을 통한 목적으로 하는 생물을 복원할 경우, 복원에 필요한 생물들의 기능을 파악하고, 복원시 필수적인 고려사항 등을 정립한 바 있다고 하였다. 또한 소규모 생활권 마을습지는 지역내 물순환 체계를 유지하며,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주민들에게 문화적 혜택과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고, 친수 레크레이션 기회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융복합적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Park et al., 2015)고 한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m, D. G., B. K. Yoo, J. G. Kim, H. K. Shin, H. S. Kim, K. S. Ahn, and S. W. Jang(2012)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of Yongdam dam- wetlan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Journal of Wetland Research 14(1): 147-158. 

  2. Koo, B. H. and K. G. Kim(2001) A study on the assessment for the functions of inland wetlands using RAM(Rapid Assessment Metho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4(3): 38-48. 

  3. Koo, B. H.(2003) Wetland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an abandoned rice Paddy Ja-un wetlan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6(1): 65-70. 

  4. Park, M. O.(2017) The riparian vegetation community models according to hydrologic and soil environments - Case of Daecheongho lake reservoirs -. Journal of Korean Wetlands Research 19(1): 144-154. 

  5. Park, M. O.(2018) A study on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village wetland inventory based on GIS - Focused on Seocheon gun province, Chungnam, Korea -. Journal of Korean Wetlands Research 20(1): 20-26. 

  6. Park, M. O., H. N. Kim, and B. H. Koo(2009)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in Ch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2(5): 92-100. 

  7. Park, M. O., M. L. Park, and B. H. Koo(2007) A study on function assessment of coastal wetlands for ecological network establishment - Focused on the westcoast of Chungnam provinc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0(6): 70-80. 

  8. Park, M. O., S. H. Lim, L. Li, B. H. Kim, S. B. Yang, and B. H. Koo(2014) Village wetlands inventory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Cheona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7(6): 39-50. 

  9. Park, M. O., S. B. Yang and B. H. Koo(2015) A study on development of village wetlands inventory using GIS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methods in Asan city,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8(6): 167-177. 

  10. Park, M. O., S. B. Yang, H. S. Seo, E. A. Park, S. T. Han, and B. H. Koo(2018) A study on ecological features and funtional evaluation of small size wetland gardens of go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4(2): 77-88. 

  11. Park, M. O., S. B. Yang, H. S. Seo, E. A. Park, and B. H. Koo(2019a).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mall village wetlands located in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and design of floating garde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5(1): 77-88. 

  12. Park, M. O. and B. H. Koo(2019b) A study on the garden culture of village wetlan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5(1): 35-41. 

  13. NAS(2013)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the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Paddy Ecosystem to Improve Biodiversity in Agroecosystem. 

  14. http://map.daum.net/ 

  15. http://map.naver.com/ 

  16. https://www.ngii.go.kr/(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