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근린공원 미세먼지(PM)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 -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r Matter Reduction and Space Shielding Rate in Urban Neighborhood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6, 2019년, pp.67 - 77  

구민아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도심에서 도시근린공원의 중심이 입구에 비해 어느 정도 저감된 공간인지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공원중앙의 공간 차폐율과 미세먼지 저감율과의 상관관계를 실험을 통해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대구시 수성구 평지형 도시근린공원 7개를 대상으로 3일동안 같은 장소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근린공원 중심은 입구보다 온도는 평균 1.05℃ 낮고, 습도는 평균 2.57% 높았다. 둘째, 미세먼지 감소율은 PM1 17.09%, PM2.5 17.65%, PM10 14.99%의 저감율로 초미세먼지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원의 규모가 작을수록 저감효과가 더 높았다. 또한 기상청발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날일수록 공원중앙에서의 저감율은 낮았으며, 공원입구의 농도가 높을수록 저감율은 높았다. 셋째, 공원중심에서 공간차폐율이 높을수록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시근린공원의 미세먼지 저감정도와 공간차폐율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 확대된 실험데이터들의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ch particulate matter at the center of the urban park is reduced compared to the entrance of the park, where the particulate matter problem is serious. It also endeavor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closure rate and particulate matter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근린공원은 주변이 고층건물로 둘러싸여 있는 곳으로 그린벨트, 도시주변 숲과 다른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미세먼지는 도시민들에게 가장 민감한 것이기 때문에 도시 내 가장 근접한 도시 근린공원이 미세먼지 저감에 어느 정도 기능을 하는지, 근린공원 내부가 차폐에 의해 미세먼지 피난처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며, 그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근린공원 중심이 입구에 비해 미세먼지가 어느 정도 저감된 공간인지 분석해 내고, 저감율과 미세먼지 농도, 공원의 규모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내고, 더 나아가 공원 중앙이 주변 식재, 건물 등에 의해 얼마나 차폐가 되어 있는가에 대한 차폐율과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인 데이터로 설명하는데 있다.
  • 특히 본 연구와 관련된 차폐와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미세먼지 녹지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본 연구의 데이터가 다양한 지역과 관점에서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 내 평지형 근린공원 중심의 미세먼지 저감정도 분석과 차폐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다음의 진행과정으로 연구되었다.
  • 본 연구는 특히 대도시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현재에 도시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어 도시민에게 가장 근접한 곳에 있는 도시 근린공원의 중심이 입구에 비해 얼마나 저감되는지 분석하고, 저감율과 미세먼지 농도, 공원의 규모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내고, 더 나아가 공원 중앙이 주변 식재, 건물 등에 의해 얼마나 차폐가 되어 있는가에 대한 차폐율과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인 데이터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를 직경에 따라 구분하면? 최근 대기오염 중 미세먼지의 심각성이 대두대고 있으며, 미세먼지 때문에 발생하는 인체 피해와 환경문제 등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직경에 따라 PM10, PM2.5 등으로 구분하며, PM10은 1,000분의 10mm보다 작은 먼지이며, PM2.5는 1,000분의 2.5mm보다 작은 먼지로, 머리카락 직경의 1/20~1/30 크기보다 작은 입자이다.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호흡기 질환을 발생시키며, 지속적인 흡입은 심각한 질환에까지 도달하기도 한다.
공원중앙의 공간 차폐율과 미세먼지 저감율과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또한 기상청발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날일수록 공원중앙에서의 저감율은 낮았으며, 공원입구의 농도가 높을수록 저감율은 높았다. 셋째, 공원중심에서 공간차폐율이 높을수록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시근린공원의 미세먼지 저감정도와 공간차폐율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 확대된 실험데이터들의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미세먼지의 사계절 농도 추이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호흡기 질환을 발생시키며, 지속적인 흡입은 심각한 질환에까지 도달하기도 한다. 미세먼지는 황사 등의 영향을 받는 봄철에 가장 높은 농도 수준을 보였으며, 강수가 집중되는 하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도로변 대기측정이 자동차에 의해도시 대기측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T. Y., H. G. Moon, D. I. Kang and J. G. Cha(2018) Analysis of the concentration differences of PM10 and PM2.5 according to Land cover of Seoul. Journal of Academic Contest in the Korean Environmental Ecological Society 28(2): 107-108. 

  2. Gyeonggi Research Institute(1998) A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y of townscapes. A Basic Study on th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98(22): 3-6. 

  3. Hwang, K. I., N. H. Han, J. I. Kwark and S. C. Park(2018)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 (PM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 -A buffer green in Songpa-gu, Seo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4): 61-75. 

  4. Jung N. R., K. J. Kim, Y. J. Jung and S. Charlotte(2018) The ability to reduce fine dust in surface-green vin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utumn Academic Contest. pp. 154-155. 

  5. Koo, M. A.(2016a) A Study on the Animation Model of Landscape Experience and the Analysis Method of Visual Landscape Sequences. Ph.D. Thesis Yeungnam University. pp. 14-80. 

  6. Koo, M. A.(2016b) A study on the analysis technique of sequence landscaping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visual amount calculation program of landscap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12-25. 

  7. Kwon, K. J. and B. J. Park(2017) Effects of indoor greening method o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4): 1-10. 

  8. Korea Forest Service(2014)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Manual of Urban Forest Types. Policy Research Service Results Report. pp. 3-150. 

  9. Lynch, K.(1975) Site Planning. Cambridge Mass: MIT, pp. 192-194. 

  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7) Air Environment Yearbook. pp. 15-300. 

  11.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2018) A Study on the Green Infrastructure of the Urban Forest in response to Particular Matter. Discussion on Green Infrastructure for the Response of Particular Matter. pp. 60-120. 

  12. Nowak, D. J., S. Hirabayashi, A. Bodline and R. Hoehn(2013) Modeled PM2.5 removal by trees in ten US cities and associated health effects. Environmental Pokkution 178. pp. 395-402. 

  13. Park, C. S.(2017) Variations of PM10 concentration in Seoul during 2015 and relationships to weather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Photographic Society 27(2): 47-64. 

  14. Seoul Institute(2018) Evaluation on the Reduction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through Green Infrastructure and Its Expansion Plans. pp. 5-80. 

  15. Shin, S. M. and S. S. Lim(2018) Analysis of superfine dust reduction effect and economic benefit by tree. Journal of the Korea Environmental Economics Association's Summer Academic Contest. pp. 489-509. 

  16. Suwon City(2019) A Manual for Creating Urban Forests for Reducing Fine dust. Suwon City. The Green Landscape Department of the Park Green Project Establishment. pp. 2-45. 

  17. Xinxiao Y.(2018) Regulation on PM2.5 and other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by Forests. Korea-China Symposium. 

  18. Xu, X. R. and J. O. Kim(2017) Planting design strategies and green space planning to mitigate respirable particulate matters - Case studies in Beijing, Chin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6): 40-49. 

  19. Yang, B. E.(2002) Landscape management mechanism to protect scenic view in tile city in the case of woo my on mountain in Seoul. Journal of Environmental Debate at th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40: 149-169. 

  20. https://www.forest.go.kr/newkfsweb Korea Forest Service Home P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