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친화도시 근린공원의 아동친화환경 분석 - 성북구 모랫말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hild-Friendly Environment in a Neighborhood Park in Child-Friendly City - Focused on the Moraetmal Neighborhood Park of Seongbuk-gu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6, 2019년, pp.87 - 102  

최진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아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니세프(UNICEF)의 아동친화도시 조성사업(Child Friendly Cities Initiative, CFCI)이 특정 지방자치단체의 특수정책에서 지방자치단체의 보편적 정책으로 전환되는 현 시점에서 도시의 대표적인 공공공간인 도시공원의 아동친화환경에 관한 전반적인 진단과 점검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원 관련 아동친화환경 사업은 어린이에 집중되어 있고, 현재 공원의 아동친화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도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18세 미만의 아동과 지역주민이 모두 이용하는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연구자 현장조사, 이용자 설문조사, 청소년참여 워크숍의 방법을 통해 아동친화환경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파악한 아동친화도시 근린공원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분명한 아동의 개념과 정의로 인해 정책의 집행과 그 수혜의 대상이 일관되게 실행되지 않고 있다. 둘째, 근린공원은 아동을 위한 공공공간으로 인지되거나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근린공원에서는 청소년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하다. 넷째, 공원 내 시설뿐만 아니라, 접근성과 공원 주변의 아동친화성이 미흡하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추후 공원 관련 정책 개발에 있어 청소년을 포함한 소외 연령층에 대한 고려를 구체화한다면 아동친화도시 공공공간의 아동친화성 향상과 아동의 보편적인 권리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Child Friendly Cities Initiative(CFCI), a UNICEF-led initiative, was first introduced to Seongbuk-gu in 2013, more than half of the districts of Seoul are making efforts to achieve the accreditation of the Child Friendly City(CFC). At this point, when an initiative is transformed from a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문제점을 우리나라 아동친화도시 내 도시공원의 실태로 인식한 본 연구는 아동과 성인 등 다양한 이용자가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근린공원의 아동친화환경 분석의 틀을 도출하고, 특히 그동안 도시공원의 아동친화환경 계획 및 조성의 과정에서 어린이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배제되어 왔던 청소년을 중심으로 근린공원의 아동친화환경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니세프의 아동친화도시 조성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유니세프의 아동친화도시 조성사업은 1996년 유엔인간정주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Human Settlements : HABITAT Ⅱ)를 통과한 결의안에 근거하여 전 인류의 행복과 삶의 질 개선을 통한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어내고자 시작하였다(Kwon et al., 2017).
아동친화도시란 무엇인가? , 2017). 유니세프는 아동친화도시를 18세 미만 모든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로써,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정신을 실천하는 지역사회(UNICEF, 2016)로 정의하고, 유엔아동권리협약이 지방정부의 시스템에서 실현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아동친화도시 조성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유니세프는 아동친화도시 구성을 위해 지역사회의 환경변화의 효율적 단위이자 중앙정부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적 자리에 위치한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며 중요성을 부여한다(Kim, 2017).
아동친화환경을 분석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관련 법규와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계획 지침을 정리하여 분석의 틀로 제시하고, 이를 근거로 실제 대상지를 선정하여 현장조사, 설문분석, 참여워크숍을 통해 근린공원의 아동친화환경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시공원 정책에서 어린이와 성인에 비해 청소년들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들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여 18세까지 전 연령의 아동을 위한 도시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에서 발견한 결론와 한계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ct on Safety Supervision of Child Play Facilities(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Korea. 

  2. Act on Urban Parks, Green Areas, ETC(도시공원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Korea. 

  3. Act on Welfare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장애아동 복지 지원법), Korea. 

  4. Ahn, D. H.(2009) Mental disorder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2(8): 745-757. 

  5. Auckland city(2015) Designing Child & Youth-Friendly Parks & Openspaces. Auckland city. 

  6. Bishop, K. and L. Corkery(2017) Desigining Cities with Children and Young People Beyond Playgrounds and Skate Parks. New York: Routledge. 

  7. Child Welfare ACT(아동복지법), Korea. 

  8. Choi, M. W.(2013) Child friendly Design of Community Environment. 建築57(9): 8-12. 

  9. Choi, W. S.(2003) A Study on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s Right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10. Chong, K. S. and Y. S. Lee(2009) Developing in the Child-friendly Planning Guidelines for Neighborhood Environments in the Residential Commun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12): 93-101. 

  11. Christopher, J. G.(2012) Development of the Neighbourhood Green Space Tool(NGST), Landscape Urban Plan, 106: 347-358. 

  12. City of toronto(2015) Growing Up Planning for Children in New Vertical Communities. Toronto: City of Toronto. 

  13. Framework Act on Youth(청소년기본법), Korea. 

  14. Hong, S. A.(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for the Child-friendly Cities. Ph. 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15. Jang, I. H. and J. S. Oh(2003) Child.Adolescent Welfare. Seoul: SNUpress. 

  16. Kim, J. N.(2014) Design for the Creation of Child-friendly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38: 57-66. 

  17. Kim, J. R.(2002) Banquet of Chidren's Rights. Seoul: Kyoyookbook. 

  18. Kim, S. H.(2015a)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Creatin of Child Friendly Residential Complex.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Korea. 

  19. Kim, T. H., J. H. An, Y. H. Jang, Y. D. Seol, Y. Y. Lee, J. H. Park, G. D. Lee, K. S. Jeong, W. A. Choi and Y. K. Ko(2017) Seoul City Design Guideline. Seoul City. 

  20. Kim, Y. K.(2015b) Parks Equity in Metropolitan Seoul for the Implementation of Green Welfare.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1. Kim. U. S.(2017) A study on children's rights and happiness for building child-friendly cities: Comparative stud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2): 485-491. 

  22. Korea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1995)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Korean. Seoul: Oruem. 

  23. Kwon, S. J., S. W. Kang, H. J. You, and J. S. Byun(2017) Exploring the meaning of child-friendly city through understandings of childrights- advocac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se of O-city i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21(4): 449-477. 

  24. Lee, H. W., B. J. Lee, H. R. Kim, S. H. Oh, I. J. Jeong, S. S. Ha, J. S. Lee, K. H. Ha, S. C. Kim, S. H. Lee, H. K. Sim, and E. M. Choi(2008) Rights and Welfare for Adolescents. Gyeonggi-do: Hanul Academy. 

  25. Lee, C. S.(2009) Social Welfare Concise, Goyang: HaeminBooks. 

  26. Lee, T. S.(2016) UNICEF's Child Friendly Cities and Korea's Child Welfare Development. Journal of Global Social Welfare 6(2): 57-80. 

  27. London(2011) Shaping neighbourhoods: Play and Informal Recreation Supplementary Planning Guidance. London: Greater London Authority. 

  28. Metzler J. and A. Ager(2012) Evaluation of Child Friendly Spaces: Tools and Guidance for Monitoring and Evaluating CFS. World vision international. 

  29. Min. J. H(2011) Study on the Effect of International Treaties for the Rights of the Child on the Domestic Child Welfare System, Ph. D.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Korea. 

  30. Ryu, J. H.(2016)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1st basic plan for child polic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33(0): 6-13. 

  31. Seoul City(2014) Seoul Disability Friendly Park Guideline. Seoul City. 

  32. Shin, S. I. and Y. J. Park(2013) Child Welfare. Seoul: Shinjeong. 

  33. UNICEF(2004) UNICEF Children Friendly City Leaflet/Pamphlet, UNICEF, p.1. 

  34. UNICEF(2005), Cites with Children: Child Friendly Cities in Italy. UNICEF. 

  35. UNICEF(2016) Building the Future: Children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Rich Countries. UNICEF Office of Research- Innocenti. 

  36. Wald, M. S.(1979) Children's Rights: Framework for Analysis. 12 U.C.D. Law Review. 

  37. Wringe, C.(1981) children's Rights. London; Routledge &KeganPaul. 

  38. 喜多明人(1990) 新時代のこともの權利. エイテル硏究所. 

  39. http://www.who.int/hiv/pub/guidelines/arv2013/intro/keyterms/en/ (WHO Definition of key terms, accessed in 2018. 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