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직증축 공동주택 하부 신설 보강말뚝의 축강성 산정
Estimation of the Axial Stiffness of Reinforcing Piles in Vertical Extension Structure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5 no.12, 2019년, pp.35 - 44  

김도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정상섬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조현철 (현대엔지니어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직증축 공동주택 하부 신설 보강말뚝의 축강성(Kvr)을 기존말뚝의 열화를 고려한 이론적인 접근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산정하였다. 3차원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론적인 접근과 38본의 시험 말뚝계측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열화를 고려한 기존말뚝 축강성(Kve)의 상한 값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수직증축 리모델링으로 인하여 증가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신설 보강말뚝의 최소 축강성을 산정하였다. 신설 보강말뚝의 축강성 제안은 선단지지 말뚝과 마찰말뚝에 대해 수행하였고, 다양한 세장비(L/D)에 따라 제안하였다. 해석기법은 기존말뚝의 설계 당시의 양호한 상태를 고려한 말뚝지지 전면기초 거동 해석과 열화가 고려된 기존말뚝의 축강성을 적용한 말뚝지지 전면기초 거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두 해석기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 말뚝지지 전면기초 거동해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통하여 기존말뚝의 열화가 발생하였을 때 선단지지 신설 보강말뚝 축강성이 44 - 67% 증가되어야 수직증축 구조물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xial stiffness of reinforcing piles (Kvr) for the vertical extension remodeling structures was estimated through 3D finite element analysis. In the computation of the minimum required axial stiffness of reinforcing piles, proposed maximum axial stiffness of old and deteriorated e...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장에서는 제안된 기존말뚝의 축강성을 적용하여 신설 보강말뚝의 최소 설계 축강성을 선정하였다. 기존말뚝의 노후화와 열화를 고려한 신설 보강말뚝의 설계 축강성 산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는 상용 3차원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PLAXIS 3D를 통해서는 양호한 상태의 기존말뚝 전단면(말뚝 물성치 + 단면)을 신설 보강말뚝과 함께 모델링하여 신설 보강말뚝의 하중-침하곡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수직 증축 리모델링 구조물 말뚝지지 전면 기초의 말뚝 축강성을 이론적, 수치해석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산정하였다. 말뚝 지지 전면 기초의 말뚝 축강성에 따라 하중이 전이되는 것을 확인하고, 수직증축으로 인하여 증가한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기존말뚝의 열화를 고려한 신설 보강말뚝의 설계 축강성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수직증축 리모델링이 요구되는 사용 연한이 오래된 구조물의 기존말뚝은 열화가 발생하여 설계 당시의 지지력과 안정성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많이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신설 보강말뚝의 시공이 필수적이다.
  • 본 연구는 수직 증축 리모델링 구조물 말뚝지지 전면 기초의 말뚝 축강성을 이론적, 수치해석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산정하였다. 말뚝 지지 전면 기초의 말뚝 축강성에 따라 하중이 전이되는 것을 확인하고, 수직증축으로 인하여 증가한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기존말뚝의 열화를 고려한 신설 보강말뚝의 설계 축강성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 Kve*는 노후화와 열화에 의해 감소된 기존말뚝 축강성의 제안 값이며, Kvr*은 기존말뚝의 열화로 인하여 침하량이 과도하게 발생한 신설 보강말뚝의 축강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Kvr값과 Kvr*값의 비교를 통하여 수직증축 공동주택이 증축 후에도 양호한 상태의 하중-침하 거동을 보이기 위한 하부 신설 보강말뚝의 축강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장 계측결과를 통하여 검증된 두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수직 증축 공동주택 하부 신설 보강말뚝의 강성 산정법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말뚝 지지 전면기초의 거동은 기존말뚝의 배열(configuration), 간격(spacing), 전면기초의 두께(raft thickness), 그리고 신설 보강말뚝의 설치 위치(relative position of reinforcing pile in raft) 등에 영향을 받아 신설 보강말뚝의 최소 설계 축강성을 일반적인 수치로 정량화하는 것은 어렵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말뚝의 초기 침하량을 고려하여 말뚝기초의 축강성을 이용한 설계(stiffness-based design)를 제안하였다. 신설 보강말뚝의 최소 설계 축강성을 제안하기 위하여, 축강성 산정 공식을 통한 실제 말뚝의 이론적인 상·하한 범위와 38본의 실제 말뚝의 축강성 계측 결과를 고려한 기존말뚝의 축강성 상한 값을 두 가지 해석기법에 적용하여 신설 보강말뚝의 최소 설계 축강성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설 보강 말뚝 시공의 중요성이 더 높아진 이유는? ‘수직증축 공동주택 하부 기존 말뚝의 열화를 고려한 축강성 제안(이하 ‘논문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토 교통부에서는 2013년 공동주택에 대한 수직증축 리모델링을 기존 전체 구조물 면적의 10%에서 최대 15%까지 허용하는 방침을 발표하였다(MOLIT, 2013). 구조물의 전체 용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신설 보강 말뚝 시공의 중요성은 더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수직증축 리모델링 대상 구조물은 PC말뚝이나 PHC말뚝을 사용한 기존 말뚝과 주로 강재로 제작된 소구경 말뚝으로 설치되는 보강 말뚝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허용 지지력 설계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수직증축 리모델링 대상 구조물은 PC말뚝이나 PHC말뚝을 사용한 기존 말뚝과 주로 강재로 제작된 소구경 말뚝으로 설치되는 보강 말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른 재질의 말뚝은 일반적으로 물성치와 설치시기, 말뚝의 품질 상태에 따라 하중-침하 거동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또한 지지력 측면에서의 말뚝 기초 보강은 장기간 사용된 말뚝의 품질을 제대로 확인을 할 수 없고, 다양한 지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한 이유로 기존의 허용 지지력 설계(capacity-based design)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Cho, 2019; Jeong and Cho, 2019; Kim et al.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수직증축 리모델링 대상 구조물의 말뚝 구성은? 구조물의 전체 용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신설 보강 말뚝 시공의 중요성은 더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수직증축 리모델링 대상 구조물은 PC말뚝이나 PHC말뚝을 사용한 기존 말뚝과 주로 강재로 제작된 소구경 말뚝으로 설치되는 보강 말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른 재질의 말뚝은 일반적으로 물성치와 설치시기, 말뚝의 품질 상태에 따라 하중-침하 거동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rtes, J., Wadel, G., and Marti, N (2017), "Vertical Extension and Improving of Existing Buildings", The Open Construction and Building Technology Journal, pp.83-94. 

  2. Cho, H. (2019), A Study on the Axial Stiffness and Load Distribution Ratio on Existing and Reinforcing Piles in Vertical Apartment Extension,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 Choi, C.H., Lee, H.J., Choi, K.S., You, Y.C., and Kim, J.Y. (2017), "A Study of Prestressed Concrete Pile Stiffness for Structural Analysis of Condominium Remodeling with Vertical Story Extens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3, No.12, pp. 81-92. 

  4. Das, B. M. (2015), Principles of Foundation Engineering, Cengage learning. 

  5. Jang, Y., Wang, S., Han, J., Park, K., and Pyun, M. (2016), "Development of Optimal Reinforcement Foundation Method for Vertical Extension Remodeling, Proceedings of KSEG Spring Conference, pp.119-120. 

  6. Jeong, S.S. (2015), YSPR User's manual. 

  7. Jeong, S.S. and Cho, H. C. (2019), "A Study on the Load Distribution Ratio and Axial Stiffness on Existing and Reinforcing Pile in Vertical Extension Re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5, No.1, pp.17-30. 

  8. Jeong, S. S. and Kim, D. H. (2018), "Estimation of the Load Sharing Ratio of Pre-installed Columns in Top-down Buildings on Korean Rock",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2, No.12, pp.4852-4861. 

  9. Jeong, S.S., Lee, J.H., Park, J.J., Roh, Y.H., and Hong, M.H. (2017), "Analysis of Load Sharing Ratio of Piled Raft Foundation by Field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3, No.8, pp.41-52. 

  10. KICT (2013), "Development of Pre-loading Method for Reinforcement Piles of Apartment Remodeling (I)", KICT2013-260, KICT, pp. 23-26. 

  11. Kim, D. H. (2018), Proposed shaft resistance of prebored precast pile using field loading test,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D. H., Jeong, S. S., Jung, G. J., and Park, J. J. (2018), "Load Sharing Ratio of Prebored and Precast Pile in Top-down Method Construction Process", Structural Design of Tall and Special Buildings, 27, pp.1-14 (doi: 10.1002/tal.1472). 

  13. Kim, D. H. and Jeong, S. S. (2019), "Comparative Study of Load Distribution Ratio of Various Piled raft Foundations based on Coupled Stiffness Matrix", Structural Design of Tall and Special Buildings, https://doi.org/10.1002/tal.1669. 

  14. Kim, D. H., Kim, J. H., and Jeong, S. S. (2019), "Estimation of Axial Stiffness on Existing and Reinforcing Piles in Vertical Extension Remodeled Buildings", Engineering Structures, https://doi.org/10.1016/ J.engstruct.2019.109466. 

  15. MOLIT (2013), Housing Act,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and Transport, p.2. 

  16. PLAXIS, B. V. (2005), PLAXIS User's manual. 

  17. Randolph, M. F. and Wroth, C.P. (1978), "Analysis of Deformation of Vertically Loaded Pile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of ASCE, Vol.104, No.12, pp.1465-14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