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수치해석을 이용한 공동주택 수직증축용 기초 보강 선재하공법 효과 분석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reloading Method on Reinforcement of the Pile Foundation by 3D FEM Analysi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4 no.1, 2018년, pp.47 - 57  

왕성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지반신공간공학과) ,  한진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장영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지반신공간공학과) ,  하익수 (경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석중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수직증축을 통한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은 제한된 부지 내에서 세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수직증축시 기초보강의 가장 큰 목적은 증축되는 층고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단, 추가된 하중의 일부가 보강말뚝이 아닌 기존말뚝에도 가해지기 때문에, 기존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증축이 가능하다. 선재하공법은 수직증축 시공 전 단계에서 기존말뚝에 가해지던 하중 중 일부를 보강말뚝에 분담하도록 하여, 증축하중이 추가되어도 기존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선재하 하중에 의해 보강말뚝의 침하를 미리 발생시켜 증축하중이 가해졌을 때 보강말뚝의 지지력을 빨리 발현시키는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선재하공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3D FEM 프로그램인 PLAXIS 3D를 활용하여 수직증축 리모델링시 기초보강을 모델링하고 선재하공법의 적용 유무에 따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선재하공법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말뚝에 가해지던 하중을 보강말뚝에 더욱 효과적으로 분담하였으며, 보강말뚝의 지지력이 조기에 발현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vertical extension remodeling of apartment build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fficient ways to broaden and enhance the utilization of existing building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population and decrement of land resources. The reinforcement of foundation is of great impor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 번째는 보강말뚝에 하중을 미리 재하하여 기존기초에 가해지고 있던 하중 중 일부를 새로 시공하는 보강말뚝에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추가하중을 보강말뚝이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말뚝에 미리 침하를 발생시켜 보강말뚝의 지지력을 빨리 발현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즉 보강기초 시공 후 기초판과 연결하기 전에 기존말뚝들을 반력말뚝으로 활용하여 보강말뚝 두부에 연직방향의 압축하중을 가하는 동시에 기존말뚝에는 인발력이 작용하여 기존기초에 가해지던 하중 중 일부를 보강기초에 전달하며, 보강말뚝에 주면지지력이 발현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이다.
  • 위와 같이 기존연구들을 통해 선재하공법이 침하량을 감소시키고, 기존기초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보강시 선재하공법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강말뚝의 지지력을 조기 발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 말뚝에 가해지던 하중 중 일부를 새로 시공한 보강말뚝에 전달함으로써 수직증축시 추가된 하중에 의해 기존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직증축 리모델링시 기초보강을 위한 선재하공법의 메커니즘을 확인하고, 3차원 FEM 수치해석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선재하공법의 기초보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련의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시공단계를 고려한 초기하중-제하-재재하 단계에서의 기존말뚝과 보강말뚝의 하중분포특성을 평가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활용하여 수직증축시 기존말뚝과 보강말뚝의 하중분포 특성을 산정하고, 선재하공법의 적용 여부에 따른 하중분포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선재하공법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수직증축 리모델링시 선재하공법은 두 가지 목적으로 적용된다. 첫 번째는 보강말뚝에 하중을 미리 재하하여 기존기초에 가해지고 있던 하중 중 일부를 새로 시공하는 보강말뚝에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추가하중을 보강말뚝이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말뚝에 미리 침하를 발생시켜 보강말뚝의 지지력을 빨리 발현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Fig.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형기준 3m × 3m × 1m 기초판에 4개의 기존 말뚝과 1개의 보강 말뚝이 설치된 말뚝지지 전면기초(piled raft)로 가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정된 국토자원으로 초래된 결과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한정된 국토자원으로 인해, 기존 공동주택의 수직 및 수평증축 리모델링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국토교통부(2013)에 따르면, 2012년 말 기준으로 15년 이상된 아파트가 전국 약 400만호에 이르는 등 공동주택의 재고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민불편 해소를 위하여 리모델링 활성화가 필요한 상태이다.
공동주택 수직증축 리모델링의 시공순서는 무엇인가? 기초구조물에 가해지는 건물의 하중은 골재 하중(Frame Load, FL) 및 마감재 하중(Finishing Material Load, FML)을 포함한 사하중(Dead Load, DL)과 활하중(Live Load, LL)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감재 하중과 활하중이 약 40%를 차지한다. 아파트 등 건물의 수직증축 시공시 첫 단계는 마감재 하중과 활하중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 후, 기존기초 하부에 언더피닝 공법으로 보강말뚝을 설치한다. 보강말뚝 설치 후 기존 건물 상부에 최대 3층의 수직증축을 시공한 후, 마감재와 활하중을 재재하하는 과정을 통해 수직증축 리모델링을 마무리한다.
기초구조물에 가해지는 건물의 하중의 구성은 어떠한가? 1과 같다. 기초구조물에 가해지는 건물의 하중은 골재 하중(Frame Load, FL) 및 마감재 하중(Finishing Material Load, FML)을 포함한 사하중(Dead Load, DL)과 활하중(Live Load, LL)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감재 하중과 활하중이 약 40%를 차지한다. 아파트 등 건물의 수직증축 시공시 첫 단계는 마감재 하중과 활하중을 제거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