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 생물정보 DB 구축에 의한 남북한 동·식물명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Zoology & Botany Name of South and North Korea Building Bio-information Database of North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6, 2019년, pp.27 - 39  

김남신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김석주 (연변대학교 동북아연구원) ,  김영화 (연변대학교 농학원) ,  정성희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zoology and botany name caused by language and science differences of South and North Korea since division. Biological data are collected North Korea biological information (flora and fauna, an illustrated flora and fauna book of North Korea, Etc.) and compa...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북한의 생물 종목록 DB구축은 장기적으로 한반도 생물다양성 관리기반 구축을 위해 북한의 동식물 종다양성 및 분포양상 파악에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지역의 생물종정보 DB를 구축하여 국가생물종목록 남북 생물종명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집 가능한 범위에서 북한의 생물자료를 수집하여 북한 생물종의 현황을 DB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의 과학기술관련 학술지는 어디서 발행하는가? 생물 자료는 북한지역 동․식물 자료와 현재까지 북한에서 지정한 천연기념물 자료를 수집하였다. 북한의 과학기술관련 학술지는 약 57종으로, 주로 중앙과학기술통보사, 과학기술출판사, 발명총국, 산림과학원, 농업출판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등에서 발행한다.
자연생태계 내 서식처 파괴의 원인은? 최근 인구증가와 개발사업으로 인한 자연생태계 내 서식처 파괴로 동식물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 (Formanm, 2001). 이에 따라 생물다양성 현황 및 변화를 파악하여 훼손된 생태계를 보호 및 관리하고자 하는 노력이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Butschart et al.
한반도에서 생물다양성 연구가 힘들었던 이유는? 한국에서 현재까지 이루어진 생물다양성 연구는 주로 남한에 편중되어 있지만,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내 국가 간 상호보완적 특성에 따라 한반도 차원에서 생물자원 관리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북한의 생물종 현황 및 분포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MOE, 2016; CDB-CHM Korea, 2019). 하지만 한반도 차원에서 생물 관련 연구는 분단된 기간 동안 언어 및 학문의 이질화로 인한 제약이 있으며, 북한의 특수성으로 인해 생물종 위치정보 이용한 생물종의 분포 및 서식에 관한 자료 수집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hn SS.Park HS.Kwon CH and Ahn BY. 2005. Establishment of search portal on biodiversity Dat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3(1):124-128.(in Korean) 

  2. Berendsohn, G..M. Doring.M. Geoffroy.K. Gluck.A. Guntsch.A. Hahn.W-H. Kusber.J. Li.D. Ropert and F. Specht. 2003. The Berlin model: a concept-based taxonomic information model. Schriftenreihe fur Vegetationskunde. 39; 15-42. 

  3. Butchart, SH.M. Walpole.B. Collen.A. Van Strien.JP. Scharlemann.RE. Almond and KE. Carpenter. 2010. Global biodiversity: indicators of recent declines. Science. 328(5982): 1164-1168. 

  4. CDB-CHM Korea. 2019. http://www.kbr.go.kr/content/view.do?menuKey442&contentKey4. 

  5. Chang CS.Kim H and Chang KS. 2014. Provisional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for the korea peninsula flora (KPF). Desinepost, Goyang-si.(in Korean) 

  6. Chang CS. Kim H and Chang KS. 2015. Botanical Gazetteer for the korea peninsula flora. Designpost, Goyang-si. (in Korea) 

  7. Chang CS. Kim HW and Kim H. 2016. A bibliography of six foreign plant collectors (Imai, Mills, Furumi, Nomura, Saito, and Okuyama) in North Korea. 46(1): 65-82.(in Korean) 

  8. Chapman AD. 2005a. Principles and methods of data cleaning - primary species and species-occurrence data, version 1.0. report for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Copenhagen. 

  9. Chapman AD. 2005b. Uses of primary species-occurrence data, version 1.0. report for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Copenhagen. 

  10. Do BS and Im RJ. 1976. Book of the flora(2). Science publishing house.(in Korean) 

  11. Forman, R.T.T. 2001.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Han SH. 2010. Analysis of information and status on vertebrates resources in North Korea. NIBR, Incheon.(in Korean) 

  13. Im RJ. 1976. Flora of coreana(6). Science publishing house.(in Korean) 

  14. Im RJ. 1998. Flora of coreana(4).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15. Im RJ. 1999. Flora of coreana(7).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16. Im RJ. 2000. Flora of coreana(8).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17. Im RJ.Gwak JS and Kim HS. 1975. Flora of coreana(5). Science publishing house.(in Korean) 

  18. Im RJ.Hong GS.Kim YS.Gwak JS.Lee YJ and Hwamg HJ. 1996a. Flora of coreana(1).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19. Im RJ. Kim HS.Park HS.Joo IY and Lim SS. 2000. Color book of the flora(1). Science encyclopedia publishing house.(in Korean) 

  20. Im RJ.Kim HS.Park HS.Lim SC.Joo IY and Lim SS. 2001. Color book of the flora(2). Science encyclopedia publishing house.(in Korean) 

  21. Im RJ.La EC.Kim HS.Kim YS.Hwamg HJ and Park JM. 1997. Flora of coreana(3).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22. Im RJ.La EC.Kim HS.Kim YS.Hwamg HJ and Park JM. 1996b. Flora of coreana(2).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23. Im RJ and Lee YJ. 2000. Flora of coreana(9),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24. Kim LT and Gil JG. 2006. Fauna of coreana(fish 1).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25. Kim LT and Gil JG. 2007. Fauna of coreana(fish 2).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26. Kim LT and Gil JG. 2008. Fauna of coreana(fish 3).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27. Kim LT and Gil JG. 2011. Fauna of coreana(bird 2).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28. Kim LT and Han GH. 2009. Fauna of coreana(amphibian reptile).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29. Kim MS.Joo JS.Oh SI.Lee SY.Go BJ and Park EC 2015. Fauna of coreana(mammal).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30. Kim LT. 1998. Baekdusan field guide. Science encyclopedia publishing house.(in Korean) 

  31. Korea forest service. 2015. Biodiversity Data Mining in North Korea. 

  32. La EC.Yun CN.Go SG.Whang CJ.Kim JK and Jeun GI. 2009. Mt. Geuwal biological protection district. Agriculture publishing house. (in Korean) 

  33. Lee EC.Yun CN.Ju JS.Cho GS.Oh YH and Choi JY. 2010. Geumgansan natural park. Agriculture publishing house.(in Korean) 

  34. Lee SD and Lee GC. 1994. Natural monument guide book. Agriculture publishing house.(in Korean) 

  35.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16a, Collections of korea geographical name: North korea V(1), JinHanEmbi Press. (in Korean) 

  36.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16b, Collections of korea geographical name: North korea V(2), JinHanEmbi Press. (in Korean) 

  3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2012.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vertebrate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IBR, Incheon.(in Korean) 

  3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2013.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Insect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IBR, Incheon.(in Korean) 

  3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2018.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vascular plant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IBR, Incheon.(in Korean) 

  40.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6. Act on the convervation and use of biological diversity. article 9 (Investigation, etc. of Biodiversity). (in Korean) 

  41. Moon GS and Moon SC. 2009. Choseon medicinal herb(1). Medical science publishing house.(in Korean) 

  42. Moon GS and Moon SC. 2010. Choseon medicinal herb(2). Medical science publishing house.(in Korean) 

  43. Park HS.An SS.Yang JH and Gwon CH. 2004. Korean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KBIF) using biodiversity data.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in Korean) 

  44. Pimm, SL.R. Jenkins.TM. Abell.JL.Brooks.LN.Gittleman.LN. Joppa and JO.Sexton. 2014. The biodiversity of species and their rates of extinction, distribution, and protection. Science. 344(6187) : 1246752.(in Korean) 

  45. Won HG and Park LB. 2010. Fauna of coreana(bird 1).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in Korean) 

  46. Yesson, C..P.W. Brewer.T.Sutton.N.Caithness.J.S.Pahwa.M.Burgess and A. Culham. 2007. How global is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PloS one. 2(11): 00001124. 

  47. Zhang, J. 2012. A high-performance web-based information system for publishing large-scale species range maps in support of biodiversity studies. Ecological Informatics. 8: 68-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