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훼손된 도시생태계 생태복원 평가지표 제시 및 복원성과 분석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restoration of degraded urban ecosystems and the analysis of restoration performance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6, 2019년, pp.97 - 114  

손희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김도희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김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홍진표 (우영환경개발(주)) ,  송영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urban ecosystem restoration projects by evaluating the short-term restoration performance of the project sites, from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In this study, for the qualitative evaluation, we derived the evaluation frame from previous s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지 선정의 이유로는 대전 자연마당은 도심에 둘러싸인 곳으로 도심 유형을 대표하고, 인천 자연마당은 논에 인접한 곳으로 농촌 유형을 대표하며, 익산 자연마당의 경우 잔존산림과 접하고 있는 곳으로 산림 유형을 각각 대표할 수 있어, 도시생태계 복원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경우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복원 규모에 따른 복원성과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자연마당 사업지 이외에도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대상지 2곳을 선정하였다[Table 5].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생태복원사업대상지의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도시생태계 복원에 대한 가능성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들로부터 생태복원 평가와 관련된 항목들을 통합, 도출하여 체계화된 진단평가틀을 구축하고, 이를 실제 대상지에 적용함으로써 생태복원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기존 문헌들로부터 생태복원 평가와 관련된 항목들을 통합, 도출하여 체계화된 진단평가틀을 구축하고, 이를 실제 대상지에 적용함으로써 생태복원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복원사업 초기 성과에 대한 보다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사업 전후 토지피복지도 상의 변화 자료를 활용하여 생태적 연결성과 서식처 질의 측면에서의 개선 여부를 평가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훼손 및 생태복원지의 진단평가, 복원사업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가이드라인 등의 선행연구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틀 및 기본 항목을 도출하였다. 해당 항목들을 훼손 원인과 현황, 생태환경 요소, 생태적 기능 항목으로 구분하여 원인-구조-기능으로 체계화하였다.
  • 생태적 기능 부문에서는 훼손된 요소들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따라서 생태환경 요소 부문에서 평가된 결과와 연계하여 그 영향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생태적 연결성 단절 영향 항목에서는 대상지가 주변 녹지 및 서식처와 연결된 정도를 파악하고, 기후조절 및 재해저감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대경목, 수공간의 유무, 식피율 등 미기후조절 항목과 연관된 사항들이 반영되도록 평가항목을 설정하였다.
  • 훼손 원인과 현황 항목에서 대상지의 개요를 정성적으로 기술하고, 생태환경 요소 부분에서는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훼손 규모, 수환경, 토양환경, 식생, 동물 등 각 생태계 요소별 환경기준의 만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을 참고하였다. 생태적 기능 부분은 각 요소가 잘 기능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분야로, 주변환경과의 연결성, 식생 천이, 동물서식처 평가항목 등을 통해 복원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당 체계에 맞춰 Table 1의 선행연구로부터 도시생태계 생태복원성과평가에 도입이 적합한 세부항목 및 세부 평가방법을 도출하였다.
  • 생태환경 요소 부문에서는 훼손 규모, 수환경, 토양환경, 식생, 동물 등 구성요소별 최소한의 질을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항목으로 현재 훼손된 상태를 구체적인 기록값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훼손 규모 항목의 경우는 훼손 면적과 파편화로 세분하여 훼손 기준에 따라 면적을 산정하고, 파편화의 경우 대상지 내 가장 큰 단일녹지의 크기와 대상지 내 녹지패치 수를 통해 파편화 정도를 파악하여 훼손된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앞서 도출된 진단평가 틀을 실제 생태복원사업 대상지 5개소(Table 5)에 적용함으로써 복원 성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진단평가 틀의 적합성 및 활용 가능성을 현장에서 확인하며 기존 사업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앞서 도출된 진단평가 틀을 실제 생태복원사업 대상지 5개소(Table 5)에 적용함으로써 복원 성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진단평가 틀의 적합성 및 활용 가능성을 현장에서 확인하며 기존 사업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복원이란 어떤 과정인가? 생태복원은 저하, 손상 또는 파괴된 생태계의 복구를 돕는 과정이다(SER, 2004). 이러한 생태복원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생물 종 다양성을 지표로 하여 동식물의 종 다양성 회복 정도 및 특정 종의 서식 여부 등 종의 구성 변화에 따라 평가하거나(Waltz et al.
생태복원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5). 따라서 생물다 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제공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체계적으로 복원성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Palmer et al., 2005, Benayas et al.
국내 생태복원성과에 대한 진단평가연구가 새로 검토되어야 한다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상의 국내 생태복원성과에 대한 진단평가연구는 대체로 식생 및 토양 등 일부 항목에 국한되어 있어 종합적인 평가에 한계가 있고, 평가항목이 전문적이고 방대하여 과학적 근거는 있으나 적용이 쉽지 않고, 일부 평가지표들의 경우 평가 대상지가 국립공원 및 보전지역이라는 특수성이 있어, 실제 자연마당이나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이 다수 시행된 도시지역 훼손지 생태복원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에는 내용이 새롭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특히 현재까지 다양한 유형으로 전개되어 온 생태복원사업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진단과 평가의 틀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ndres, P. and E. Mateos 2006. Soil mesofaunal responses to post-mining restoration treatments. Applied Soil Ecology 33(1): 67-78. 

  2. Benayas, J. M. R.,Newton. A. C. Diax. A. Bullock. J. M. Enhancement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by Ecological Restoration: A Meta-Analysis., Science, New Series, Vol. 325, No. 5944: 1121-1124. 

  3. Byeon CW and Kim YM. 2017. The Effect of Ecological Restoration and Water Purification of Ecological Fish-way and Floodplain Back Wetland Createdas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 at Maeno Stream, J. Environ. Impact Assess. 26(6): 508-523 [Korean Literature] 

  4. Cha JG.Lee SM.Choi TY.Moon HG.Kang DI.Lee IH.Seo HS and Park EJ. 2017. Diagnostic Assessment of Damaged Ecosystem and Restoration Areas and Practice of Resilience, Division of Ecosystem Services&Research Planning Bureau of Ecologic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ology 

  5. Choi JY.Lee SH.Lee SA.Ji SY and Lee P SH. 2016.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for Ecological Restorations by Damaged Types, J. Korean Env. Res. Tech. 19(1) : 121-133[Korean Literature] 

  6. Cui, B. S..Yang, Q. C..Yang, Z. F and Zhang, K. J. 2009 , Evaluating the ecological performance of wetland restoration in the Yellow River Delta, China, Ecological Engineering 35(7): 1090-1103. 

  7. Design forest., 2018, Sorasan Natural madang, Second year monitoring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Korean Literature] 

  8. Fischer J and Lindenmayer D. 2007. Landscpae modification and habitat fragmentation: a synthesis,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vol. 16, 265-280 

  9. Gu JH. 2017.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cise spatial data and evaluation of habitat quality value in agricultural heritage area : focused on the agricultural heritage area of Uljin (county) pine tree forest.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Korean Literature] 

  10. Green for L., 2018, Monitoring report for damaged ecosystem restoration in Waryongsan, Seoul, (Secondary),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1. Han SH.Kim JH.Kan WS.Hwang JH.Park KHand Kim CB. 2019. Monitoring Soil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Pinus densiflora Five Years after Restoration in the Baekdudaegan Ridge, Korean J. Environ. Ecol. 33(4): 453-461 

  12. Kang HM.Song JT.Choi SH and Kim DH. 2017. The Change of Soil Animals by Forest Ecosystem Restoration Types, Korean J. Environ. Ecol. 31(1): 62-71[Korean Literature] 

  13. Kang WM and Park CR. 2015. Corridor and Network Analyses of Forest Bird Habitats in a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7, No. 3, pp. 191-201[Korean Literature] 

  14. Kang WM.Song YK.Sung HC and Lee, DK. 2018. Assessing conservation priorities of unexecuted urban parks in Seoul using ecological network and accessibility analyses, J. Korean Env. Res. Tech. 21(2) : 53-64 [Korean Literature] 

  15. Kim EY.Kim JY .ip; Jung HJ and Song WK. 2017.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Indicators for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of Urban Park, J. Environ. Impact Assess. 26(4): 227-241[Korean Literature] 

  16. Kim NY. 2018. Assessment of Habitat Potential at the Isolated Green Patches in Seoul.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Korean Literature] 

  17. Kim TK.Kim NC.Kim EB and Koo MK. 2018. Suggestion of the Post-Environmental Evaluation of Road-side Cut Slope after Revegetation Works, J. Korean Env. Res. Tech. 21(4) : 75-86[Korean Literature] 

  18. Kim TY.Song CH.Lee WK.Kim MI.Lim CH.Jeon S and Kim JS. 2015. Habitat Quality Valuation Using InVEST Model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 1-11. 10.13087/kosert.2015.18.5.1. [Korean Literature] 

  19. Kim YS and Shim SY. 2019. Evaluation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Restoration Works at the Jungbong and Nuebong Area,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33(1): 64-74[Korean Literature] 

  20.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6. Development of Technic and Foundation Construction for Ecosystem Conservation[Korean Literature] 

  21.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6. Evaluation of the Restoration Projects in National Park[Korean Literature] 

  22. Korea Associaton of Ecological Restoration, 2019,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of customized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development and restoration projects in downtown 2019, Ministry of Environment[Korean Literature] 

  23. Lave, R. Meyer.J. L. O'Donnell.T. K. Pagano.L. Sudduth, E. et al. 2005. Standards for ecologically successful river restoration. Journal of Applied Ecology 42(2): 208-217. 

  24. Matthews, Jeffrey W, Spyreas, Greg, Endress, Anton G, 2009, Trajectories of vegetation-based indicators used to assess wetland restoration progress, ECOLOGICAL APPLICATIONS, 19(8): 2093-2107.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Manual of Survey Evaluation and Diagnosis for Ecological River Restoration[Korean Literature] 

  2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Landscape Design Standards Manual [Korean Literature] 

  27.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Ecological Restoration Methods Development Using Native Species in DMZ Vicinities[Korean Literature]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Developing the assessment scheme and ecosystem restoration model depending on the degradation types (First year annual report)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Monitoring Techniques and Adapt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Sites [Korean Literature] 

  30. Natioanl Institute of Ecology, 2017, Diagostic Assessment of Damaged Ecosystem and Restoration Areas and Practice of Resilience [Korean Literature] 

  3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9.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Artificially Created Ecosystem II[Korean Literature] 

  3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Manual of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Korean Literature] 

  33.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 Forest Health Monitoring Report[Korean Literature] 

  34. Nexus. 2017. Incheon Seo-gu Natural Madang Creation Project, Fist year monitoring reportMinistry of Environment[Korean Literature] 

  35. Nexus. 2017. Restoration of Hinterland's Reared Wetlands-First Year Monitoring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Korean Literature] 

  36. Oh KK. 2017. Evaluation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Restortaion Works at the Nogodan Area, Jiri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31(1): 93-103[Korean Literature] 

  37. Palmer, M, Bernhardt,E, Allan, J.D, Lake P, Alexander, G, Brooks, S. Carp, J, Clayton. S, Dahm, C.N, Folistad Shah J, Galat, D.L, Loss S.G, Goodwin P, Hart D, Hassett B, Jenkinson R, Kondolf G, Lave R, Meyer Jm O'Donnell T, Pagano, L, Suddth, E, 2005, Standards for ecologically successful river restoration. Journal of Applied Ecology, 42: 208-217. 

  38. Piqueray, J, Bottin, G, Delescaille, L. M., Bisteau, E., Colinet, G, Mahy, G.(2011), Rapid restoration of a species-rich ecosystem assessed from soil and vegetation indicators: The case of calcareous grasslands restored from forest stands, Ecological Indicators 11(2): 724-733. 

  39. Ruiz-Jaen, M. C. and T. Mitchell Aide. 2005. Restoration Success: How Is It Being Measured?. Restoration Ecology 13(3): 569-577. 

  40. Sambul E&C. 2018. Government Complex Daejeon Natural madang, 1st year monitoring result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41. Seo SB. 2017. Analysis of habitat quality in the Nam-Han River Upstream Watershed using InVEST model.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Korean Literature] 

  42. SER. 2004. Science and Policy Working Group,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SER). Restoration & Management Notes, 16: 46-50. 

  43. Seoul. 2016. Seou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2017-2021)[Korean Literature] 

  44. Siddig, A. A. H., Ellison, A. M., Ochs, A., Villar-Leeman, C., Lau, M. K.(2016), How do ecologists select and use indicator species to monitor ecological change? Insights from 14 years of publication in Ecological Indicators, Ecological Indicators, 60: 223-230. 

  45. Song JH.Yun CW.Cho YH and Kang HK. 2017.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Changes between Natural land and Damaged land in Regional Ecological Network at Chungnam Province, J. Korean Env. Res. Tech. 20(2): 13-35[Korean Literature] 

  46. Suganuma, M. S. and G. Durigan .2015. Indicators of restoration success in riparian tropical forests using multiple reference ecosystems. Restoration Ecology 23(3): 238-251. 

  47. Taylor, P.D..Fahrig, L..Henein, K. and Merriam, G. 1993. Connectivity is a vital element of landscape structure. Oikos, 68, 571-573 

  48. Terrado, Marta.Sabater, Sergi.Chaplin-Kramer, Becky.Mandle, Lisa.Ziv, Guy Acuna and Vicenc. 2016. Mode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terrestrial and aquatic habitat quality in conservation planning,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40, 63-70 

  49. Uezu, A..Metzger, J.P. and Vielliard, J.M.E. 2005. Effects ofstructural and functional connectivity and patch size on theabundance of seven Atlantic Forest bird species. BiologicalConservation, 123, 507-519 

  50. Velasquez, E, Lavelle, P, Andrade, M (2007), GISQ, a multifunctional indicator of soil quality, Soil Biology & Biochemistry 39(12): 3066-3080 

  51. Waltz, A. E. M. and W. W. Covington (2004). "Ecological restoration treatments increase butterfly richness and abundance: Mechanisms of response." Restoration Ecology 12(1): 85-96 

  52. You JH and Kim MJ. 2016. Change of Flora of Damaged Land in Juwangsan National Park for Five Years (2010-2014), J. Environ. Impact Assess. 25(4): 233-247[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