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복원 습지의 조성 후 식생구조 변화
Change in the Wetland Vegetation Structure after the Ecological Restoratio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1 no.6, 2018년, pp.95 - 113  

김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송영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이근호 (참생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change of wetland vegetation structure to understand ecological restoration process of wetlands through the field survey of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in Incheon, Iksan and Busan. We compared the vegetation plan at the time of planted with the results of the vegetation monitoring...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태복원 습지의 조성 후 식생 구조와 개방수면 면적 변화분석을 기반으로 습지 식물의 생육 패턴, 습지의 특성 파악을 통해, 관리 구획화와 시기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생태복원 습지의 조성 후 식생 구조와 개방수면 면적 변화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지속가능한 유지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 2015). 본 연구에서는 생태복원, 조성된 습지 3개소를 대상으로 습지 식생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으로 복원, 조성된 습지를 대상으로 식생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의 자연마당 사업 대상지 22개소를 대상으로 적합한 대상지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인 자연마당은 훼손된 자연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방향으로 조성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천 연희자연마당 생태습지, 부산 이기대자연마당 생태습지. 익산 소라산자 연마당 생태습지를 대상으로 식생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복원 습지의 지속적인 유지관리의 관점에서 계획 및 조성 이후 습지 식생 변화와 개방수면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정된 자연마당 사업지 내 습지복원지역을 중심으로, 식생 유형 및 면적, 생활형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복원 상태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유지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복원 습지의 지속적인 유지관리의 관점에서 계획 및 조성 이후 습지 식생 변화와 개방수면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정된 자연마당 사업지 내 습지복원지역을 중심으로, 식생 유형 및 면적, 생활형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복원 상태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유지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익산 소라산 자연마당 생태습지 3개소가 연구 대상지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인천 연희 자연마당 생태습지는 인근 농경지로부터 조류의 생태적 유입 가능성이 충분하고 습지의 관리가 잘 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습지 복원모델 제시에 적합한 사례로 판단되어 선정하였으며, 부산 이기대자연마당 생태습지의 경우 이용자의 출입이 많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습지 내 생태환경이 우수하고 습지 식생에 대한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조사해보고자 대상지로 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익산 소라산자연마당 생태습지의 경우 기존 갈대습지를 복원, 확장하여 조성한 생태습지로 습지의 구성이 다양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수의 생태습지 복원, 조성 사업이 시행되는 이유는? 오늘날 습지생태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와 필요성에 따라 다수의 생태습지 복원, 조성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습지의 개념은 다양하게 정리된 바 있으며 국가와 기관, 연구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된다.
습지의 생태적 복원 시에 필요한 것은? , 2016)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습지 복원 시에는 생태계 훼손의 원인, 정도, 대상지의 특성 등에 따라 복원의 방향을 설정하게 되며 습지의 구조와 기능, 유지관리와 현명한 이용을 포함하는 지속가능한 습지 복원을 위하여 복원 방향과 목표상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주기적으로 진단·평가할 필요가 있다(Jill, 2006; Kim et al., 2009; Bai et al.
습지보전법에서 명시하는 습지란? 습지의 개념은 다양하게 정리된 바 있으며 국가와 기관, 연구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된다. 국내의 경우 「습지보전법」에서 “습지란 담수(淡水), 기수(汽水) 또는 염수(鹽水)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를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내륙습지, 연안습지 등 세부적 용어의 뜻을 명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n JH.Lim CH.Nam GB.Jung SH and Lee CS. 2016. Passive restoration under progress in wetland of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8(4), 465- 47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Bai Jh.Cui, Baoshan.Cao, Huicong.Li, Ainong and Zhang, Baiyu. 2013. Wetland De- grad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3. 523632. 10.1155/2013/523632. 

  3. Bang SW.Park JH and Ahn SY. 2006. Wetland Environment Forum: Policy material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Brander, L., Florax, M., & Vermaat, R. 2006. The Empirics of Wetland Valuation: A Comprehensive Summary and a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33(2), 223-250 

  5.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ition, Springer-Verlag, Berlin, 631 

  6. Cha JK.Lee SM.Choi TY.Moon HK.Kang DI.Lee IH.Seo HS and Park EJ. 2017. Diagnostic Assessment of Damaged Ecosystem and Restoration Areas and Practice of Resilienc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Bureau of Ecological Research.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Chun SH. 2011. Assessment of Degree of Naturalness of Vegetation on the Riverine Wet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1), 1-1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Cowardin, L.M., V. Carter V., F.C. Golet, E.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Report No. FWS/OBS/-79/31.Washington, D.C. 

  9. Declerck S., Vandekerkhove J., Johansson L. 2005. Multi-group biodiversity in shallow lakes along gradients of phosphorus and water plant cover. Ecology, 86, 1905-1915 

  10. Im RY.Kim JY.Choi JY.Do YO and Joo GJ. 2015. Changes of River Morphology in the Mid-lower Part of Nakdong River Basin after the 4 Large River Project,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3), 188-19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Gibbs, J. 2000. Wetland Loss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14(1), 314-317 

  12. Holl, K.D.Aide, T.M.. 2011. When and where to actively restore ecosystem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61(10), 1558-1563 

  13. Hong SJ.Kim JW.Jung JY.Kim DH.Ahn KS.Kim HS and Lee JS. 2015. A Study on the plant monitoring for artificial wetlands in the river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7(1), 91-10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Jill A. Hapner. 2006. Development of Methods to Assess and Monitor Small Wetlands Restored on Private Lands. Final Report to U.S. EPA - Region V Wetland Program Grant # CD96509801-0 

  15. Kim BC.Lee GK.Yang HK.Shin JS.Jo DK.Jeon WS.No BH.Lee JH.Park HC.Choi EY.Jang HJ.Lee MJ.Ku YS.Kim MC.Seong HK.Jo BH.Kim SY.Lee JH.Baek SK.Kim JS.Kim SH.Kim SJ.Yoo JJ.Maeng DH.Khodadad Sara.Park SY.Kim HS.Park JW.Han EK.Park JW.Kim DY.Byun HK.Ha D.Park SH.Choi HM.Sim YJ.Lee JH and Lee DJ. 2014. Development of Integrative Observation Model and Application Technology for Wise Use of Wetland Eco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Kim CH.Choi YE.Kim JW.Myong H and Lee SI. 2011. 3-year Change of Vegetation and Life Form at the Man-made Wetland in Sinpyeoncheon C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1, Vol.25(1), p.5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Kim HG.Jeong YS and Koo BK. 2008. The Discrimin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Several Mountainous Wetlands in Chung-ju and Around A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2), 5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Kim HS.Kim JK.Yoo BK.Kim DK.Gwak JW.Yoon SH.Seo SS.Shin WS.Jang KH.Kim HT.Nam JM.Hong MK.Shin HK.Lee KM.Min SJ and Choi H. 2009. A Study on Development Model and Evaluation Technique of Ecological Wetland in Four major River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9. Kim MJ, Lim JC, Suh JH, Choi TB, Shin YK, Ahn KH, Cho HS and Lee YK. 2016. Wetland Management Plan o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Hwaeom Wet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5(3), 190-20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Kim TS.Baek CY.Lee JY.Lim JC.Yang BK.Park JY.Lee GK and Lee JH. 2015. Guide for Restoration of Inland Wetland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wetlands center. (in Korean) 

  21. Koo BH.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Mapping Methods of Wetlands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Korean Plant Names Index. 2018.11.1. http://www.nature.go.kr/kpni/SubIndex.do. (in Korean) 

  23. Kwon YH and Choi HK. 2009.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Ecosystem : The Case of Wetland Plants. Korean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Seoul: Hyangmunsa. (in Korean) 

  25. Lee GG.Lee JH and Cha JY. 2014. The Management Planning Model for Wetland Conservation Area in South Korea: Focused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According to Making Mt. Daeam's Yong-neup Opening to the Public.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1), 185-2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Lee HJ.Jeong JW.Park SJ.Shin MH.Yang HS.Lee JH.Lee CS.Kim TS.Lee JY and Kang NK. 2014. Guide book for person in charge of wetland polic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27. Lee KK.Seong HC.Tang HK.Lee JH.Kim MS.Jeong HY.Lee KH.Yeon JK.Kim KR.Lee YJ.Lee MJ.Park ES.Hwang SY.Shin YK. 2010. Classification of national wetland by type and grade.Wetland Restoration Manual by Typ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8. Lee SM.Myeong HH. 2015. Vegetation and Landscape Analysis and Management Methods of Ip-am Wetland in the Naejang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1), 26-3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9. Lee ST. 1997. 韓國植物檢索集/Seoul: Academybooks. (in Korean) 

  30. Lewis, Roy. 1990. Wetlands restoration/creation/ enhancement terminology: Suggestions for standardization. Wetland Creation and Restoration: The Status of the Science. 417-422 

  31. Li, W., Tan, R., Yang, Y., & Wang, J. 2014. Plant diversity as a good indicator of vegetation stability in a typical plateau wetland. Journal of Mountain Science, 11(2), 464-474 

  32. McDonald T, Gann GD, Jonson J, and Dixon KW. 2016.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practice of ecological restoration - including principles and key concepts.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Washington, D.C. 

  33. Nam JM.Cho HS and Kim JG. 2015. Effect of Plant Life Cycle on Plant Settlement in Diverse Water Level.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7(1), 19-2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4. Nat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Network System. 2018.11.1. http://www.neins.go.kr/etr/ecology/doc02b.asp. (in Korean) 

  35. National Institue of Korean Language. 2018.11.1.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50958&viewTypeconfirm(in Korean) 

  36. National wetlands center. 2018.11.1. http://www.wetland.go.kr/informa tion/marshyValue.do. (in Korean) 

  37. Park HK. 2018. A study on the vegetation change and management method of ecological restoration site. Dankook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8.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Clarendon press, Oxford, England. 

  39.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Science & Policy Working Group. 2002. The SER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40. Son DJ.Lee HHM.Lee EJ.Cho KH and Kwon DM. 2015.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in a 15-Year-Old Artificial Wetland.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1), 54-6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1. Song HK.Park GS.Park HR.So SK.Kim HJ and Kim MY. 2006.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a Forest Wetland in Jangdo, Sinan-G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4), 40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2. Sung KJ.Yee YM.Chung YH and Park SY. 2010. Development of Phragmites communis Expansion Control Methods at the Wetland Ecologic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5), 1-1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3. The Ramsar Convention on Wetland. 1971. Final Act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onservation of Wetlands and Waterfowl. 

  44.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3. ECS 190-15 Wetland Restoration, Enhancement, Management & Monitoring. 425 pp 

  45. Weisner, Stefan & Thiere, Geraldine. 2010. Effects of vegetation state on biodiversity and nitrogen retention in created wetlands: A test of the biodiversity-ecosystem functioning hypothesis. Freshwater Biology. 55. 387-396. 10.1111/j.1365-2427.2009.02288.x. 

  46. Wetzel, P. R. & van der Valk, A. G. 1996. Vesicular arbuscular mycorrhizae in prairie pothole wetland vegetation in Iowa and North Dakota. Can. J. Bot. 74: 883-890 

  47. Yi JY.Kim MJ.Yang BG.Kim TK.Choi TY.Park SJ.Kim HG.Oh GJ.Rho BH and Park SB. 2010. Ecosystem Assessment Division, Ecology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Environment Institute. Nakdong Estuary Eco Center.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8. You JH.Park KH and Lee WS. 2017.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pocheon Wetland, Gimhae, Gyeongna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2), 61-7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