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7년 통영 해역에서의 Alexandrium affine 우점 해수의 흡광 특성
Analysis on the Optical Absorption Property of Sea Waters Dominated by Alexandrium affine in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2017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7 no.6, 2019년, pp.563 - 570  

김원국 (Dept.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한태현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  정승원 (South Sea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  강돈혁 (Maritime Security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적조는 연안 해역에서 양식어류를 폐사 시키는 등 많은 경제적 피해를 입혀왔다. 이러한 적조의 광역 분포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원격탐사가 활용되어 왔는데, 적조 해수가 가지는 흡광 특성은 원격탐사에 중요한 요소인 해수반사도를 이해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8월 통영 인근 해역에서 출현한 Alexandrium affine 종이 우점한 해수에 대한 흡광 특성을 분석하였다. 선박 관측을 통하여 총 20개 정점에서 획득한 시료에서 색소 흡광, 부유물 흡광, 용존유기물 흡광을 측정하였고, 이를 수질 변수인 엽록소 농도, 부유물 농도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규조류 우점 해수와는 다르게 Alexandrium 우점 시료는 400 nm 이하에서 강한 흡광을 나타내었고, 또한 400 nm - 500 nm 에서 굴곡이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색소 흡광의 집적 효과 또한 규조류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부유물 및 용존유기물 흡광 모델 (adg(λ)=adg0)e-s(λ-λ0))에서의 지수부 계수(s) 역시 기존 규조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0.015와는 달리 0.01이 더 적합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d tide has caused massive fish kills in Korean coastal waters with devastating economic loss in the aquaculture industry since 1995. Remote sensing technique has shown to be effective for the detection of red tide in wide areas, where the absorption property of red tide water plays a central role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 나타나는 적조 종에 대한 흡광 특성을 실측 자료를 통해 측정하여 향후 광학적인 모델링에 사용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고, 다분광 측정에서는 다소 구별하기 어려운 규조류와 적조 종간의 흡광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초분광 센싱을 이용한 종 구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고차 미분을 통한 규조류-적조 종간의 구분, 나아가 적조 종간의 구분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해 통영 인근해역에서 획득한 Alexandrium affine 종에 대한 흡광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Alexandrium 종은 굴, 홍합, 조개 등에 축적되어 섭취한 사람에게 마비를 일으키는 PSP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를 유발하며(Hallegraeph, 1993), 1986년 부산 및 진해 마산만에 발생한 이후, 남해에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해안의 적조의 피해시기는? 우리나라 남해안은 적조(赤潮)로 인한 피해가 빈발하는 해 역으로 통상 7~8월 여름철 여수 남단에서 발생이 시작되어 해 류를 따라 동쪽으로 확산하는 경향이 있으며 늦게는 9월 말까 지도 그 피해가 이어지기도 한다(Lee et al., 2013).
PSP란?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해 통영 인근해역에서 획득한 Alexandrium affine 종에 대한 흡광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 부분의 Alexandrium 종은 굴, 홍합, 조개 등에 축적되어 섭 취한 사람에게 마비를 일으키는 PSP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를 유발하며(Hallegraeph, 1993), 1986년 부산 및 진해 마산만에 발생한 이후, 남해에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 다(Kim et al., 2017).
적조(赤潮)로 인한 피해를 대비하는 방법은?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적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 여 적조 발생 시기에 선박을 이용하여 예찰을 수행하고 있지만, 선박 관측이 가능한 해역의 범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적조의 전체적인 범위를 관측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인공위성 및 항공기를 이용한 원격탐사 기법이 현장 관측과 함께 사용될 경우, 적조 탐지 범위를 넓혀주고 조기 탐지 시 양식 어민이 적조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 점이 있다(Nakanishi et al., 1996; H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Y.H. and Shanmugam, P. (2006), Detecting the red tide algal blooms from satellite ocean color observations in optically complex Northeast-Asia Coastal water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03, No. 4, pp. 419-437. 

  2. Babin, M., Therriault, J.C., Legendre, L., and Condal, A. (1993), Variations in the specific absorption coefficient for natural phytoplankton assemblages: Impact on estimates of primary production,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38, No. 1, pp. 154-177. 

  3. Bricaud, A., Babin, M., Morel, A., and Claustre, H. (1995), Variability in the chlorophyll-specific absorption coefficients of natural phytoplankton: Analysis and parameteriz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Vol. 100, No. C7, pp. 13321-13332. 

  4. Carder, K.L. and Steward, R.G. (1985), A remote-sensing reflectance model of a red-tide dinoflagellate off west Florida,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30, No. 2, pp. 286-298. 

  5. Carreto, J.I., De Marco, S.G., and Lutz, V.A. (1989), UV-absorbing pigments in the dinoflagellates Alexandrium excavatum and Prorocentrum micans effects of light intensity, Red Tides: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Toxicology, Vol. 69, pp. 331-335. 

  6. Devred, E., Sathyendranath, S. Stuart, V., Maass, H., Ulloa, O., and Platt, T. (2006), A two-component model of phytoplankton absorption in the open ocean: Theory and applic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Vol. 111, No. C3. 

  7. Dierssen, H.M., Kudela, R.M., Ryan, J.P., and Zimmerman, R.C. (2006), Red and black tides: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leaving radiance and perceived color for phytoplankton,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and suspended sediment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51, No. 6, pp. 2646-2659. 

  8. Hallegraeff, G.M. (1993), A review of harmful algal blooms and their apparent global increase, Phycologia, Vol. 32, No .2, pp. 79-99. 

  9. Hu, C., Muller-Karger, F.E., Taylor, C.J., Carder, K.L., Kelble, C., Johns, E., and Heil, C. A. (2005), Red tide detection and tracing using MODIS fluorescence data: A regional example in SW Florida coastal water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97, No. 3, pp. 311-321. 

  10. Jeffrey, S.T. and Humphrey, G.F. (1975), New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for determining chlorophylls a, b, c1 and c2 in higher plants, algae and natural phytoplankton, Biochemie und Physiologie der Pflanzen, Vol. 167, No. 2, pp. 191-194. 

  11. Kahru, M. and Mitchell, B.G. (1998), Spectral reflectance and absorption of a massive red tide off southern Californ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Vol. 103, No. C10, pp. 21601-21609. 

  12. Kim, E.S., Li, Z., Oh, S.J., Yoon, Y.H., and Shin, H.H. (2017),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lexandrium species (Dinophyceae) from Jinhae-Masan Bay, Korea, Ocean Science Journal, Vol. 52, No. 3, pp. 427-437. 

  13. Kim, W., Han, T.H., Choi, J.M., Jung, S.W., and Kang, D. (2018), Investigating optical properties of red tide in a turbid coastal area near Tongyeong, South Korea, OCEANS-MTS/IEEE Kobe Techno-Oceans (OTO) 2018, 28-31 May, Kobe, Japan, pp. 1-5. 

  14. Kishino, M., Takahashi, M., Okami, N., and Ichimura, S. (1985), Estimation of the spectral absorption coefficients of phytoplankton in the sea, Bulletin of Marine Science, Vol. 37, No. 2, pp. 634-642. 

  15. Lee, C.K., Park, T.G., Park, Y.T., and Lim, W.A. (2013), Monitoring and trends in harmful algal blooms and red tides in Korean coastal waters, with emphasis on Cochlodinium polykrikoides, Harmful Algae, Vol. 30, pp. S3-S14. 

  16. Lee, Z. and Carder, K.L. (2004), Absorption spectrum of phytoplankton pigments derived from hyperspectral remotesensing reflectanc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9, No. 3, pp. 361-368. 

  17. Leong, S.C.Y. and Taguchi, S. (2006), Detecting the bloomforming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using the absorption signature, Hydrobiologia, Vol. 568, No. 1, pp. 299-308. 

  18. Millie, D.F., Schofield, O.M., Kirkpatrick, G.J., Johnsen, G., Tester, P.A., and Vinyard, B.T. (1997), Detection of harmful algal blooms using photopigments and absorption signatures: A case study of the Florida red tide dinoflagellate, Gymnodinium breve,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42, No. 52, pp. 1240-1251. 

  19. Morel, A. and Bricaud, A. (1981), Theoretical results concerning light absorption in a discrete medium, and application to specific absorption of phytoplankton, Deep Sea Research Part A.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 Vol. 28, No. 11, pp. 1375-1393. 

  20. Nakanishi, K., Masao, A., Sako, Y., Ishida, Y., Muguruma, H., and Karube, I. (1996), Detection of the red tide-causing plankton Alexandrium affine by a piezoelectric immunosensor using a novel method of immobilizing, antibodies, Analytical Letters, Vol. 29, No. 8, pp. 1247-1258. 

  21. Park, T.G., Lim, W.A., Park, Y.T., Lee, C.K., and Jeong, H.J. (2013), Economic impact, management and mitigation of red tides in Korea, Harmful Algae, Vol. 30, pp. S131-S143. 

  22. Roesler, C.S., Perry, M.J., and Carder, K.L. (1989), Modeling in situ phytoplankton absorption from total absorption spectra in productive inland marine water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34, No. 8, pp. 1510-152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