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림위성 활용을 위한 산불 피해지 분류 딥러닝 알고리즘 평가
Deep Learning-based Forest Fire Classification 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CAS500-4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6 pt.1, 2022년, pp.1273 - 1283  

차성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장근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김원국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백승일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임중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중대형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매년 인명 및 재산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원격탐사를 활용한 산불 피해지 모니터링 기법은 신속한 정보와 대규모 피해지의 객관적인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 피해지를 분류하기 위해 Sentinel-2의 분광대역,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정규수역지수(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를 활용하여 2022년 3월 발생한 강릉·동해 산불 피해지를 대상으로 U-net 기반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딥러닝 모형을 모의하였다. 산불 피해지 분류 결과 강릉·동해 산불 피해지의 경우 97.3% (f1=0.486, IoU=0.946)로 분류 정확도가 높았으나, 과적합(overfitting)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울진·삼척 지역으로 동일한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보고한 산불 피해 면적과의 중첩도가 74.4%로 확인되어 모형의 불확도를 고려하더라도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농림위성과 유사한 분광대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였으며, Sentinel-2 영상을 활용한 산불 피해지 분류가 정량적으로 가능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orest fires have frequently occurred due to climate change, leading to human and property damage every year. The forest fire monitoring technique using remote sensing can obtain quick and large-scale information of fire-damaged areas. In this study, the Gangneung and Donghae forest fires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의 다중 분광대역을 활용한 산불 피해지 분류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에 초점을 맞췄으며, 2022년 발생한 강릉·동해, 울진·삼척 산불 피해지를 대상으로 향후 개발될 농림위성의 활용을 고려해 피해 전후 Sentinel 위성영상 자료를 사용하여 산불 피해지 분류 모형을 모의 및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entinel-2 영상에서 농림위성과 유사한 분광대역을 활용하여 산불 피해지 분류 가능성을 검증하고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재 Sentinel 영상을 활용한 분석은 5일 단위로 가능하지만, 이 또한 대상지 관측을 위한 운량 등의 기상 조건이 갖추어질 경우에 해당한다.
  • 아울러, 농림위성 영상이 산림 정책에 활용될 수 있는 수준으로 제공되기 위해 정부, 지방자치단체, 대학, 기업, 일반 국민 등으로 세분화하여 주체 간 직접 활용이 가능한 형태의 산불 정보를 연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농림위성을 통해 생산된 자료의 이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수립하여 산림관리기준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a, S., H.W. Jo, M. Kim, C. Song, H. Lee, E. Park, J. Lim, D. Schepaschenko, A. Shvidenko, and W.K. Lee, 2022.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algorithm for estimating stand volume in South Korea, Journal of Applied Remote Sensing, 16(2): 024503. https://doi.org/10.1117/1.JRS.16.024503 

  2. Djalante, R., 2019. Key assessments from the IPCC 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 ℃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Progress in Disaster Science, 1: 100001. https://doi.org/10.1016/j.pdisas.2019.100001 

  3. Escuin, S., R. Navarro, and P. Fernandez, 2008. Fire severity assessment by using NBR (Normalized Burn Ratio) and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derived from LANDSAT TM/ETM im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9(4): 1053-1073. https://doi.org/10.1080/01431160701281072 

  4. Gao, B.C., 1996. NDWI-A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for remote sensing of vegetation liquid water from spac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8(3): 257-266. https://doi.org/10.1016/S0034-4257(96)00067-3 

  5. Guede-Fernandez, F., L. Martins, R.V. de Almeida, H. Gamboa, and P. Vieira, 2021. A deep learning based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for forest fire detection, Fire, 4(4): 75. https://doi.org/10.3390/fire4040075 

  6. He, K., X. Zhang, S. Ren, and J. Sun, 2016. Deep residual learning for image recognition, Proc. of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Las Vegas, NV, USA, Jun. 27-30, pp. 770-778. https://doi.org/10.1109/cvpr.2016.90 

  7. Jain, P., S.C. Coogan, S.G. Subramanian, M. Crowley, S. Taylor, and M.D. Flannigan, 2020. A review of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in wildfire science and management, Environmental Reviews, 28(4): 478-505. https://doi.org/10.1139/er-2020-0019 

  8. Jung, M. and Y. Kim, 2020. Analysis on Topographic Normalization Methods for 2019 Gangneung-East Sea Wildfire Area Using PlanetScope Imager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2): 179-1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0.36.2.1.7 

  9. Krizhevsky, A., I. Sutskever, and G.E. Hinton, 2017.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ommunications of the ACM, 60(6): 84-90. https://doi.org/10.1145/3065386 

  10. LeCun, Y., Y. Bengio, and G. Hinton, 2015. Deep learning, Nature, 521(7553): 436-444. https://doi.org/10.1038/nature14539 

  11. Lentile, L.B., Z.A. Holden, A.M.S. Smith, M.J. Falkowski, A.T. Hudak, P. Morgan, S.A. Lewis, P.E. Gessler, and N.C. Benson, 2006. Remote sensing techniques to assess active fire characteristics and post-fire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5(3): 319-345. https://doi.org/10.1071/WF05097 

  12. Liu, Z., K. Zhang, C. Wang, and S. Huang, 2020.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method for the forest fire based on deep learning, Optik, 223: 165491. https://doi.org/10.1016/j.ijleo.2020.165491 

  13. Magdalena, M.K., P. Bringfried, L. Jerome, D. Vincent, M.W. Uwe, and G. Ferran, 2017. Sen2Cor for Sentinel-2, Proc. of SPIE;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Bellingham, WA, USA, Oct. 4, vol. 10427, pp. 37-48. https://doi.org/10.1117/12.2278218 

  14.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22. Occurrence and Damage of Forest Fir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p. 20. 

  15. Ronneberger, O., P. Fischer, and T. Brox, 2015. October. U-net: Convolutional networks for biomedical image segmentation, In: Navab, N., Hornegger, J., Wells, W., Frangi, A. (eds), Medical Image 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 - MICCAI 2015, Springer, Cham, Switzerland, vol. 9351, pp. 234-241. https://doi.org/10.1007/978-3-319-24574-4_28 

  16. Rouse Jr, J.W., R.H. Haas, D.W. Deering, J.A. Schell, and J.C. Harlan, 1974. Monitoring the vernal advancement and retrogradation (green wave effect) of natural vegetation, No. E75-10354, Texas A&M University Remote Sensing Center, College Station, TX, USA. 

  17. Sim, S., W. Kim, J. Lee, Y. Kang, J. Im, C. Kwon, and S. Kim, 2020. Wildfire Severity Mapping Using Sentinel Satellite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Approach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5-3): 1109-1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0.36.5.3.9 

  18. Simonyan, K. and A. Zisserman, 2014. Very deep convolutional networks for large-scale image recognition, arXiv preprint arXiv:1409.1556.50. https://doi.org/10.48550/arXiv.1409.1556 

  19. Soenen, S.A., D.R. Peddle, and C.A. Coburn, 2005. SCS+ C: A modified sun-canopy-sensor topographic correction in forested terrai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3(9): 2148-2159. https://doi.org/10.1109/TGRS.2005.852480 

  20. Song, A., J. Choi, Y. Han, and Y. Kim, 2018. Change detection in hyperspectral images using recurrent 3d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Remote Sensing, 10(11): 1827. https://doi.org/10.3390/rs10111827 

  21. Stankova, N. and R. Nedkov, 2015. Monitoring forest regrowth with different burn severity using aerial and Landsat data, Proc. of 2015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IGARSS), Milan, Italy, Jul. 26-31, pp. 2166-2169. https://doi.org/10.1109/IGARSS.2015.7326233 

  22. Szegedy, C., W. Liu, Y. Jia, P. Sermanet, S. Reed, D. Anguelov, D. Erhan, V. Vanhoucke, and A. Rabinovich, 2015. Going deeper with convolutions, Proc. of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Boston, MA, USA, Jun. 7-12, pp. 1-9. https://doi.org/10.1109/cvpr.2015.7298594 

  23. Won, M.S., K.S. Koo, and M.B. Lee, 2007. An Quantitative Analysis of Severity Classification and Burn Severity for the Large Forest Fire Areasusing Normalized Burn Ratio of Landsat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3): 80-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amashita, R., M. Nishio, R.K.G. Do, and K. Togashi, 2018.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 overview and application in radiology, Insights into Imaging, 9(4): 611-629. https://doi.org/10.1007/s13244-018-0639-9 

  25. Zhang, Q., J. Xu, L. Xu, and H. Guo, 2016,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forest fire detection, Proc. of the 2016 International Forum on Management,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Guangzhou, China, Jan. 30-31, pp. 568-575. https://doi.org/10.2991/ifmeita16.2016.1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