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의 amyloid beta 유도 신경독성에 대한 C6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kaempferol,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on amyloid beta-induced neurotoxicity in C6 glial cell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2 no.4, 2019년, pp.327 - 332  

김지현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Kimchi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현영 (Department of Food Scienc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조은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Kimchi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은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이며, 뇌 내 amyloid beta (Aβ) 축적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염증반응은 대표적인 AD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kaempferol (K), kaempferol-3-O-glucoside (KG), quercetin (Q) 및 quercetin-3-β-ᴅ-glucoside (QG)와 같은 4가지 flavonoids의 C6 신경교세포에서 Aβ로 인한 신경독성으로부터의 보호 효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C6 신경교세포에 Aβ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감소한 반면, 4가지 flavonoids 중에서 Q와 QG의 처리 시 세포 생존율 증가를 통해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Aβ를 처리한 control군의 경우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유도한 반면, flavonoids의 처리 시 ROS 생성이 감소하였다. 특히 Aβ를 처리한 control군은 133.39%의 ROS 생성을 나타내었으며, 1 μM의 KG와 QG를 각각 처리시 107.44, 113.10%의 수치를 나타내어 ROS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Flavonoids의 Aβ에 대한 신경교세포 보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Aβ로 신경독성이 유도된 control군은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flavonoids를 처리한 군의 경우 염증 매개 인자인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and interleukin-1β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특히, KG와 QG를 처리한 군은 aglycone 형태인 K와 Q를 처리한 군에 비해 효과적으로 염증 매개 인자 발현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flavonoids의 일종인 K, Q와 그 배당체인 KG, QG의 Aβ로 신경독성이 유도된 신경교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 조절을 통한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생리활성성분은 AD 예방 및 치료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zheimer's disease (AD) is a common neurodegenerative disease. Oxidative stress by amyloid beta peptide (Aβ) of neuronal cell is the most cause of AD. In the present study, protective effects of several flavonoids such as kaempferol (K), kaempferol-3-O-glucoside (KG), quercetin (Q) and que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flavonoid의 일종인 kaempferol, quercetin과 그 배당체인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3-β-D-glucoside의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4가지 flavonoid의 Aβ25-35 유도 신경독성에 대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와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 관련 인자 측정을 통해 신경교세포 보호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flavonoid의 일종인 kaempferol, quercetin과 그 배당체인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3-β-D-glucoside의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4가지 flavonoid의 Aβ25-35 유도 신경독성에 대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와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 관련 인자 측정을 통해 신경교세포 보호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이란?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은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이며, 뇌 내 amyloid beta (Aβ) 축적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은 대표적인 AD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kaempferol (K), kaempferol-3-O-glucoside (KG), quercetin (Q) 및 quercetin-3-β-ᴅ-glucoside (QG)와 같은 4가지 flavonoids의 C6 신경교세포에서 Aβ로 인한 신경독성으로부터의 보호 효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Aβ 유도 신경독성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의 조절하기 위해 쓰이는 polyphenol은? Flavonoid는 C6-C3-C6를 기본골격으로 하며, 채소류, 식물류, 곡물, 과실류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식이로 섭취할 수 있는 대표적인 polyphenol 계열의 일종이다[11]. 국내외 많은 연구에서 flavonoid의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이 규명됨에 따라,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flavonoids의 활용이 주목을 받고 있다[11,12].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의 원인은?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은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이며, 뇌 내 amyloid beta (Aβ) 축적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은 대표적인 AD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kaempferol (K), kaempferol-3-O-glucoside (KG), quercetin (Q) 및 quercetin-3-β-ᴅ-glucoside (QG)와 같은 4가지 flavonoids의 C6 신경교세포에서 Aβ로 인한 신경독성으로부터의 보호 효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ane CA, Hardy J, Schott JM (2018) Alzheimer's disease. Eur J Neurol 25: 59-70 

  2. Hardy JA, Higgins GA (1992) Alzheimer's disease: the amyloid cascade hypothesis. Science 256: 184-185 

  3. O'Brien RJ, Wong PC (2011) Amyloid precursor protein processing and Alzheimer's disease. Annu Rev Neurosci 34: 185-204 

  4. Tonnies E, Trushina E (2017) Oxidative stress, synaptic dysfunction, and Alzheimer's disease. J Alzheimers Dis 57: 1105-1121 

  5. Islam MT (2017) Oxidative stress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linke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Neurol Res 39: 73-82 

  6. Harkany T, Abraham I, Konya C, Nyakas C, Zarandi M, Penke B, Luiten PG (2000) Mechanisms of beta-amyloid neurotoxicity: perspectives of pharmacotherapy. Rev Neurosci 11: 329-382 

  7. Cai Z, Zhao B, Ratka A (2011) Oxidative stress and a-amyloid protein in Alzheimer's disease. Neuromolecular Med 13: 223-250 

  8. Cai Z, Hussain MD, Yan LJ (2014) Microglia, neuroinflammation, and beta-amyloid protein in Alzheimer's disease. Int J Neurosci 124: 307-321 

  9. Sawikr Y, Yarla NS, Peluso I, Kamal MA, Aliev G, Bishayee A (2017) Neuroinflammation in Alzheimer's Disease: The preventive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polyphenolic nutraceuticals. Adv Protein Chem Struct Biol 108: 33-57 

  10. Esposito E, Cuzzocrea S (2010) New therapeutic strategy for Parkinson's and Alzheimer's disease. Curr Med Chem 17: 2764-2774 

  11. Manach C, Scalbert A, Morand C, Remesy C, Jimenez L (2004) Polyphenols: food sources and bioavailability. Am J Clin Nutr 79: 727-747 

  12. Jaeger BN, Parylak SL, Gage FH (2018) Mechanisms of dietary flavonoid action in neuronal function and neuroinflammation. Mol Aspects Med 61: 50-62 

  13. Xiao J (2017) Dietary flavonoid aglycones and their glycosides: Which show better biological significance? Crit Rev Food Sci Nutr 57: 1874-1905 

  14. Xiao J, Capanoglu E, Jassbi AR, Miron A (2016) Advance on the flavonoid C-glycosides and health benefits. Crit Rev Food Sci Nutr 56: 29-45 

  15. Kren V, Martinkova L (2001) Glycosides in medicine: "The role of glycosidic residue in biological activity". Curr Med Chem 8: 1303-1328 

  16. Habtemariam S, Belai A (2018) Natural therapies of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e case of rutin and its aglycone, quercetin. Mini Rev Med Chem 18: 234-243 

  17. da Silva AB, Cerqueira Coelho PL, das Neves Oliveira M, Oliveira JL, Oliveira Amparo JA, da Silva KC, Soares JRP, Pitanga BPS, Dos Santos Souza C, de Faria Lopes GP, da Silva VDA, de Fatima Dias Costa M, Junier MP, Chneiweiss H, Moura-Neto V, Costa SL (2019) The flavonoid rutin and its aglycone quercetin modulate the microglia inflammatory profile improving antiglioma activity. Brain Behav Immun S0889-1591: 30042-X (in press) 

  18.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9. Wang H, Joseph JA (1999) Quantifying cellular oxidative stress by dichlorofluorescein assay using microplate reader. Free Radic Biol Med 27: 612-616 

  20.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21. Garcia-Alloza M, Ferrara BJ, Dodwell SA, Hickey GA, Hyman BT, Bacskai BJ (2007) A limited role for microglia in antibody mediated plaque clearance in APP mice. Neurobiol Di 28: 286-292 

  22. Zhao X, Yuan L, Yu H, Xi Y, Ma W, Zhou X, Ding J, Xiao R (2014) Genistein inhibited amyloid- ${\beta}$ induced inflammatory damage in C6 glial cells. Arch Med Res 45: 152-157 

  23. Bing L, Wu J, Zhang J, Chen Y, Hong Z, Zu H (2015) DHT inhibits the $A{\beta}25$ -35-induced apoptosis by regulation of seladin-1, survivin, XIAP, bax, and bcl-xl expression through a rapid PI3-K/Akt signaling in C6 glial cell lines. Neurochem Res 40: 41-48 

  24. Maruyama W, Shaomoto-Nagai M, Kato Y, Hisaka S, Osawa T, Naoi M (2014) Role of lipid peroxide in the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ubcell Biochem 77: 127-136 

  25. Markesbery WR, Carney JM (1999) Oxidative alterations in Alzheimer's disease. Brain Pathol 9: 133-146 

  26. Ayasolla K, Khan M, Singh AK, Singh I (2004) Inflammatory mediator and beta-amyloid (25-35)-induced ceramide generation and iNOS expression are inhibited by vitamin E. Free Radic Biol Med 37: 325-338 

  27. Park SE, Sapkota K, Kim S, Kim H, Kim SJ (2011) Kaempferol acts through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protein kinase B/AKT to elicit protection in a model of neuroinflammation in BV2 microglial cells. Br J Pharmacol 164: 1008-1025 

  28. Kheiri G, Dolatshahi M, Rahmani F, Rezaei N (2018) Role of p38/MAPKs in Alzheimer's disease: implications for amyloid beta toxicity targeted therapy. Rev Neurosci 30: 9-30 

  29. Hayden MS, Ghosh S (2004) Signaling to NF-kappaB. Genes Dev 18: 2195-2224 

  30. Sun GY, Chen Z, Jasmer KJ, Chuang DY, Gu Z, Hannink M, Simonyi A (2015) Quercetin attenuates inflammatory responses in BV-2 microglial cells: role of MAPKs on the Nrf2 pathway and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PLoS One 10: e01415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