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장균에서 isorhamnetin 3-O-glucoside의 생합성 최적화
Optimization of bioactive isorhamnetin 3-O-glucoside production in Escherichia coli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2 no.4, 2019년, pp.361 - 366  

김봉규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sorhamnetin 3-O-glucoside는 플라보놀 그룹에 속하는 물질로서 염증이나 궤양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신경장해, 신장병증, 망막증과 같은 당뇨합병증을 완화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Isorhamnetin 3-O-glucoside는 Tetraena aegyptia, Salsola oppositifolia, Salicornia herbacea, Sambucus ebulus와 같은 몇몇 식물에서 발견된다. 생물전환은 저렴한 화합물로부터 고부가가치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생물전환을 통해 quercetin으부터 isorhamnetin 3-O-glucoside를 생합성 하기 위해 두 개의 유전자(PGT E82L과, ROMT-9)를 각각의 대장균에 도입하였다. 대장균의 공조배양시스템을 이용하여 isorhamnetin 3-O-glucoside 생산 배양법의 최적화를 위해 생물전환배지, 배양온도, 세포의 혼합비율, 재조합 단백질 유도시간, 기질 공급 농도 등을 테스트하였다. 최적화된 생물전환 조건하에서 생물전환을 실시하였으며, 배양의 12시간 후 181.2 mg/L의 isorhamnetin 3-O-glucoside가 생합성 되었다. 이는 이전의 연구에서 보고된 isorhamnetin 3-O-glucosie (39.6 mg/L)의 생합성보다 4.7배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sorhamnetin 3-O-glucoside, a member of the flavonol group,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for inflammatory and ulcer, as well as to alleviate diabetic complications such as neuropathy, nephropathy and retinopathy. Isorhamnetin 3-O-glucoside has been extracted from several plants. Biotransform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 유전자가 도입된 균주를 BL-OMT, BL-PGTM으로 명명하였다. BL-OMT, BL-PGTM균주를 이용하여 quercetin으로부터 isorhamnetin 3-O-glucoside의 생합성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2 mL LB배지에 각 각의 균주를 배양하여 25℃에서 20시간 동안 각각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도하였다. 그 후 각 균주의 밀도를 동일하게 AMM 배지에 현탁 하여 30℃ 배양기에서 생물전환을 하였다.
  • 6 mm, Agilent Technologies)과 photodiode array를 이용하였다. HPLC 분석은 A버퍼(0.1% formic acid가 첨가된 3차 증류수)와, B버퍼(0.1% formic acid가 첨가된 acetonitrile)를 사용하였다. HPLC분석프로그램은 0분에 20% B버퍼, 8분에 45% B버퍼, 15분에 70% B버퍼, 17분에 20분까지 90% B버퍼, 20.
  • 1% formic acid가 첨가된 acetonitrile)를 사용하였다. HPLC분석프로그램은 0분에 20% B버퍼, 8분에 45% B버퍼, 15분에 70% B버퍼, 17분에 20분까지 90% B버퍼, 20.1분에 12 B버퍼, 25분에 20% B버퍼의 조건을 이용하였다.
  • Isorhamnetin 3-O-glucoside의 생합성 최적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BL-OMT와 BL-PGTM균주를 동일한 비율로 섞어 25, 30, 37℃에서 각각 생물전환 12시간 후 샘플을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생물전환온도 25℃에서 20.
  • 재조합 단백질의 유도시간이 길어지면 재조합 단백질의 inclusion body 형성이 높아져 생물전환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Quercetin으로부터 isorhamnetin 3-O-glucoside의 생물전환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개의 배지(YPD, TB, AAM-glucose, AAM-glycerol, LB)를 테스트하였다. AAM-glycerol배지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52.
  • Quercetin의 공급농도가 isorhamnetin 3-O-glucoside의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MM-glycerol배지에 BL-OMT와 BL-PGTM 의 세포 밀도를 OD600 nm에서 2.0:3.0으로 맞춘 후 서로 다른 5개의 농도(200, 300, 400, 500, 600 μM)의 quercetin을 공급하였다.
  • 각각의 대장균 세포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회수하고 10 mL AAM 배지로 간단히 씻고, ampicillin (100 μg/L), 0.1 mM IPTG, quercetin 200 M을 첨가한 AAM배지 25 mL에 각각의 세포 밀도가 2.0이 되게 현탁 하여 30 o C에서 생물전환을 하였다.
  • 반응물은 배양 12시간 후 배양액 500 μL를 회수하여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2회 반복 추출하여 진공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하였다. 건조한 반응 산물은 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여 Varia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분석에 사용하였다.
  • BL-OMT, BL-PGTM균주를 이용하여 quercetin으로부터 isorhamnetin 3-O-glucoside의 생합성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2 mL LB배지에 각 각의 균주를 배양하여 25℃에서 20시간 동안 각각의 재조합 단백질을 유도하였다. 그 후 각 균주의 밀도를 동일하게 AMM 배지에 현탁 하여 30℃ 배양기에서 생물전환을 하였다. 배양 12시간 후에 반응액을 에칠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HPLC분석을 하였다.
  • 다음날 각각 250 mL 플라스크에 ampicillin (100 μg/L)이 첨가된 25 mL의 새로운 LB에 전날 배양액 250 μL를 접종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 밀도가 OD600nm에서 0.6이 되었을 때 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 (IPTG)의 최종농도가 0.1 mM이 되게 첨가하였다.
  • 그 후 각 균주의 밀도를 동일하게 AMM 배지에 현탁 하여 30℃ 배양기에서 생물전환을 하였다. 배양 12시간 후에 반응액을 에칠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HPLC분석을 하였다. 대조구로 사용된 균주의 생물전환 결과(Fig.
  • 공조배양은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균주별로 분리함으로써 생합성 경로의 대사정체(metabolic burden)현상과 부산물의 생산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O-methyl-transferase (ROMT-9)와 flavonol glycosyltransferase (PGTM)을 가진 대장균 균주를 이용한 공조배양시스템으로 isorhamnetin 3- O-glucoside 생합성 방법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공조배양시스템으로 500 μM의 quercetin으로부터 생물전환 12시간 후 181.
  • 본 연구에서는 Populus deltoides에서 분리한 flavonol UDPglycosyltransferase (PGT-3)의 82번 아미노산을 glutamate에서 Leucine으로 치환한 돌연변이체(PGT-3 Glu82Leu)와 벼에서 분리한 O-methyltransferasse-9 (ROMT-9)을 대장균에 도입하여 quercetin으로부터 isorhamnetin 3-O-glucoside를 생산하는 방법을 최적화하였다.
  • 생물전환으로 얻은 반응물은 분석은 HPLC 시스템(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을 이용하였다. 반응물의 분리와 검출은 Polaris 5 C18-A column (250 mm×4.
  • 이러한 결과는 다른 온도에 비해 37℃의 생물전환온도에서 PGT-3M의 활성이 낮은 결과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세포 밀도가 isorhamnetin 3-O-glucoside의 생물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MM-glucose 배지를 기본으로 세포 비율을 OD600 nm에서 BL-PGTM와 BL-OMT의 비율을 2.0:2.0, 2.0:3.0, 2.0:4.0, 2.0:5.0과 BL-OMT와 BL-PGTM의 비율을 2.0:3.0, 2.0:4.0, 2,0:5.0으로 맞추어 테스트하였다. 최적의 조합은 BL-OMT와 BL-PGTM의 세포 비율을 2.
  • 0의 비율, quercetin 500 μM, 25 o C의 생물전환 온도였다. 이상의 조건으로 isorhamnetin 3-O-glucoside 의 생산을 48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배양 후 4시간에 32.
  • 이상의 결과로 보아 PGTM의 세포보다 ROMT-9의 세포 비율이 높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조합 단백질의 유도시간이 isorhamnetin 3-O-glucosid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ITPG추가 후 6, 12, 24, 36시간 후에 생물전환을 하였다. 6시간 단백질을 유도한 후 생물전환을 하였을 때 가장 높은 50.

대상 데이터

  • Andrw’s Magic Media (AAM) [21]와 Difco사의 LB, M9, YPD, TB배지는 대장균 배양 및 생물전환용 배지로 사용하였다.
  • Escherichia coli DH5α 균주는 유전자 클로닝 및 플라스미드를 증폭에 사용하였다. E. coli BL21 (DE3) 균주는 isorhamnetin 3-O-glucoside 생산을 위한 생물전환 호스트로 사용하였다. pGEX 5X-3벡터는 PGT-3 E82L 또는 ROMT-9 클로닝에 사용하였다.
  • Escherichia coli DH5α 균주는 유전자 클로닝 및 플라스미드를 증폭에 사용하였다.
  • 배지내 탄소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글리세롤을 20 g/L 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Quercetin은 sigma사로부터, isorhamnetin, isorhamnetin 3-O-glucoside는 INDOFINE사로부터 구매하였다.
  • 이전의 연구에 의하면 포플러에서 분리한 당전이 유전자의 돌연변이체가 isorhamnetin의 3번 위치에 특이적으로 당을 부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벼에서 분리한 ROMT-9와 포플러 당전이 유전자의 돌연변이체 PGT-3M (PGT-3 Glu82Leu)를 quercetin에서 isorhamnetin 3-O-glucoside의 생합성에 사용하였다(Fig. 1). 각 유전자가 도입된 균주를 BL-OMT, BL-PGTM으로 명명하였다.
  • 반응물의 분리와 검출은 Polaris 5 C18-A column (250 mm×4.6 mm, Agilent Technologies)과 photodiode array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보노이드이란? 플라보노이드는 C6-C3-C6 기본골격을 가진 화합물을 통칭하는 파이토케미컬로서 페닐프로파노이드 생합성경로를 통해서 합성된다[1]. 나린제닌은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합성의 전구체로 사용되는 물질로 p-coumaroyl-CoA 한분자와 malonyl-CoA 세분자가 chalcone synthase와 chalcone isomerase의 연속적인 반응으로 합성된다[2].
플라보노이드의 대체생산법 중 대장균을 주로 이용하는 이유는? 최근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식물세포 뿐만 아니라 효모, 바실러스, 스트렙토마이세스, 대장균 등과 같은 미생물을 이용한 플라보노이드의 대체생산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대장균은 배양과 형질전환이 쉬울 뿐만 아니라 대장균 내의 생합성과정이 잘 알려져 있고 대사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플라보노이드 생산 균주로 많이 이용한다[16-18].
Isorhamnetin 3-O-glucoside을 포함하는 식물은? Isorhamnetin 3-O-glucoside는 플라보놀 그룹에 속하는 물질로서 염증이나 궤양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신경장해, 신장병증, 망막증과 같은 당뇨합병증을 완화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Isorhamnetin 3-O-glucoside는 Tetraena aegyptia, Salsola oppositifolia, Salicornia herbacea, Sambucus ebulus와 같은 몇몇 식물에서 발견된다. 생물전환은 저렴한 화합물로부터 고부가가치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Terao J, Kawai Y, Murota (2008) Vegetable flavono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sia Pac J Clin Nutr 17: 291-293 

  2. Kim MJ, Kim BG, Ahn JH (2013) Biosynthesis of bioactive Omethylated flavonoids in Escherichia coli. Appl Microbiol Biotechnol 97: 7195-7204 

  3. Peterson J, Dwyer J (1998) Taxonomic classification helps identify flavonoid-containing foods on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J Am Diet Assoc 98: 677-682 

  4. Wang Y, Chen S, Yu O (2011) Metabolic engineering of flavonoids in plants and microorganisms. Appl Microbiol Biotechnol 91: 949-956 

  5. Kim BG, Sung SH, Chong Y, Lim Y, Ahn JH (2010) Plant flavonoid Omethyltransferase: substrate specificity and application. J Plant Biol 53: 321-329 

  6. Wang X (2009) Structure, mechanism and engineering of plant natural product glycosyltransferases. FEBS Lett 583: 3303-3309 

  7. Maria L. Falcone Ferreyra, Sebastian P. Rius, Paula Casati (2012) Flavonoids: biosynthesis, biological functions, and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Front Plant Sci 3(222): 1-15 

  8. Graf BA, Milbury PE, Blumberg JB (2005) Flavonols, flavones, flavanones, and human health: epidemiological evidence. J Med Food 8: 281-290 

  9. Jose Justino (2017) Flavonoids: From biosynthesis of human health. InTechOpen 371-391 

  10. Schmidt AW, Reddy KR, Knolker HJ (2012) Occurrence, biogenesis, and synthesis of biologically active carbazole alkaloids. Chem Rev: 112: 3193-3328 

  11. Souza AB, Martins CH, Souza MG, Furtado NA, Heleno VC, de Sousa JP, Rocha EM, Bastos JK, Cunha WR, Veneziani RC, Ambrosio SR (2011) Antimicrobial activity of terpenoids from Copaifera langsdorffii Desf. against cariogenic bacteria. Phytother Res 25: 215-220 

  12. Xiao J, Ni X, Kai G, Chen X (2013) A review on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dietary polyphenols inhibiting a-amylase. Crit Rev Food Sci Nutr 53: 497-506 

  13. Stachulski AV, Meng X (2013) Glucuronides from metabolites to medicines: a survey of the in vivo generation, chemical synthesis and properties of glucuronides. Nat Prod Rep 30: 806-848 

  14. Dai J, Mumper RJ (2010) Plant phenolics: extraction, analysis and their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Molecules 15: 7313-7352 

  15. Xingfeng G, Daijie W, Wenjuan D, Jinhua D, Xiao W (2010) Preparativ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our flavonoids from the petals of Nelumbo nucifera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Phytochem Anal 21: 268-272 

  16. Zhou ML, Zhu XM, Shao JR, Tang YX, Wu YM (2011) Production and metabolic engineering of bioactive substances in plant hairy root culture. Appl Microbiol Biotechnol. 90: 1229-1239 

  17. Kim BG (2019) Biosynthesis bioactive isokaempferide from naringenin in Escherichia coli. J Appl Biol 62: 1-6 

  18. Han SH, Kim BG, Yoon JA, Chong Y, Ahn JH (2014) Synthesis of flavonoid O-pentosides by Escherichia coli through engineering of nucleotide sugar pathways and glycosyltransferase. Appl Environ Microbiol 80: 2754-2762 

  19. Zaki AA, Xu X, Wang Y, Shie PH, Qiu L (2019) A new antiinflammatory flavonoid glycoside from Tetraena aegyptia. Nat Prod Res. doi: 10.1080/14786419.2019.1650356 

  20. Yesilada E, Gurbuz I, Toker G (2014) Anti-ulcerogenic activity and isolation of the active principles from Sambucus ebulus L. leaves. J Ethnopharmacol. 153: 478-483. 

  21. Jones JA, Vernacchio VR, Lachance DM, Lebovich M1, Fu L, Shirke AN, Schultz VL, Cress B, Linhardt RJ, Koffas MA (2015) ePathOptimize: A combinatorial approach for transcriptional balancing of metabolic pathways. Sci Rep 5: 11301 

  22. Owens DK, McIntosh CA (2009) Identification, recombinant express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flavonol 3-O-glucosyltransferase clone from Citrus paradisi. Phytochemistry 70: 1382-1391 

  23. Kim BG, Sung SH, Jung NR, Chong Y, Ahn JH (2010) Biological synthesis of isorhamnetin 3-O-glucoside using engineered glucosyltransferase. J Mol Catal B Enzym 63:194-199 

  24. Kim JH, Kim BG, Park Y, Ko JH, Lim CE, Lim J, Lim Y, Ahn JH (2007) Characterization of flavonoid 7-O-glucosyltransferase from Arabidopsis thaliana. Biosci Biotechnol Biochem 70: 1471-1477 

  25. Cress BF, Leitz QD, Kim DC, Amore TD, Suzuki JY, Linhardt RJ, Koffas MAG (2017) CRISPRi-mediated metabolic engineering of E. coli for O-methylated anthocyanin production. Microb Cell Fact 16: 1-14 

  26. Hwang EI, Kaneko M, Ohnishi Y, Horinouchi S (2003) Production of plant-specific flavanones by Escherichia coli containing an artificial gene cluster. Appl Environ Microbiol 69: 2699-2706 

  27. Akdemir H, Silva A, Zha J, Zagorevski DV, Koffas MAG (2019) Production of pyranoanthocyanins using Escherichia coli co-cultures. Metab Eng 55: 290-298 

  28. Jones JA, Vernacchio VR, Sinkoe AL, Collins SM, Ibrahim MHA, Lachance DM, Hahn J, Koffas MAG (2016)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optimization of an Escherichia coli co-culture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flavonoids. Metab Eng 35: 55-6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