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 기능인력 근무여건에 대한 실증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Construction Technician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0 no.1, 2019년, pp.14 - 21  

양진국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부설 건설기술연구소) ,  이태신 (동의대학교 대학원) ,  이종민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  이상범

초록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단계에서는 대규모의 인력, 자재 및 장비가 요구된다. 그 중 인력은 프로젝트 건설의 핵심 부분이다. 이러한 인력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 그룹이고, 두 번째는 시공 작업을 위한 현장 기능인력이다. 최근에는 기능인력 공급 부족으로 인해 건설회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기능인력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 동향을 조사하고 건설 기능인력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급여 및 보험의 만족도가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기능인력 관리자와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제 근무 조건을 분석하기 위해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건설 기능인력의 임금 수준과 보험체계가 제조업에 비해 상당히 안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건설 기능인력에 대한 인식도의 변화를 통해 우수한 기능인력의 양성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struction phas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needs a large scale of manpower, materials and equipment. Among them, manpower is a core part for project construction. These manpower a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is the management group that manages the construction, and the second is th...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앞서 건설 기능인력의 근무여건에 대한 2가지 핵심부분으로 고용안정 및 근로환경과 노후보장 및 고용여건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고용안정(급여) 및 노후보장(퇴직공제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하여 그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기능관리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와 사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 결과를 통해 도출된 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대상 프로젝트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Table 8].
  •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응답자들이 설문내용별 의견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결과 중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을 선택하여 만족하고 있지 못하는 항목으로 판단되는 급여와 보험제도(퇴직공제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급여는 만족도의 상한선을 규정할 수 없음으로 제외하고 업무특성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본 장에서는 앞서 제시된 연구 범위에 따라 실제 기능인력을 대상으로 근무여건(고용안정, 근로환경, 노후보장 및 고용여건)에 대한 실질적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건설 기능인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전환과 양질의 기능인력들의 건설산업 진출을 유도하고자 한다.
  • 하지만 실제 건설현장에서 시공을 관리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건설 기능인력의 처우(근무여건)가 이전에 비해 많이 개선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건설 기능인력의 실제적인 근무여건을 설문조사, 심층인터뷰, 진행 중인 다수의 현장 사례를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결과는 이전에 비하여 개선된 임금 및 근로환경과 다양한 보험제도를 통해 실질적으로 향상된 근무여건을 보여줄 것이다.
  • 건설분야의 기능 업무는 기술관리 업무에 비하여 다른 업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에 참여한 기능관리자들에게 근무여건적 측면에서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사전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형틀목공 기능업무의 특성은 소규모의 현장인 경우 2개월에서 3개월 정도로 단기간에 공사가 마무리되고, 타 현장과 중복으로 진행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적자원은 무엇인가? 현재의 건설산업은 물적자원인 재료 및 장비의 성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측면에서 시공주체인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인적자원은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며, 크게 설계, 건설사업관리를 포함한 엔지니어링 영역과 시공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건설 기능인력은 시공단계에서 철근배근, 마감공사 등 전문시공 분야에 대하여 직접적인 시공을 실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건설공사의 자원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건설공사는 자원이 투입되어야만 진행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자원에는 물적자원과 인적자원이 있다. 현재의 건설산업은 물적자원인 재료 및 장비의 성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측면에서 시공주체인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프로젝트 건설의 핵심 부분인 대규모의 인력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이러한 인력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 그룹이고, 두 번째는 시공 작업을 위한 현장 기능인력이다. 최근에는 기능인력 공급 부족으로 인해 건설회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기능인력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K. J. (2008). "A Study on the Schemes and Analysis of Supply and Demand of Construction Technician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 Cho, H. K. (2011). "A Study on Current Supply and Demand Status Problems for Skilled Workers on Construction Sites." Master thesis, NAMSEOUL UNIVERSITY. 

  3. CERIK (2012). "Systematic upbringing and stabilization scheme of income of construction technician." Construction Economy Reserch Institute of Korea, CERIK. 

  4. Ha, G. J., Choi, M. K., and Ha, M. S. (2011).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inforcing bar placer of Frame work in Apartment Hous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Proceeding, AIKRA, pp. 5-6. 

  5. Ha, G. J., Choi, M. K., Ha., M. S., and Ha, J. H. (2012). "Comparative Analysis on the Labor Cost of Workers Frame work in Apartment Hous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Proceeding, AIKRA, 32(2), pp. 595-596. 

  6. Kim, D. Y. (2014). "A Basic Study on Investigation of Current Craftmen Status i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IK, 30(11), pp. 81-88. 

  7. Kim, H. C., Hwang Y. K., and Kim, K. R. (2014).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lti-skilled labors to Factory Production Process for Securing Economic Feasibility of Modular Uni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5(1), pp. 11-19. 

  8. Kim, K. W., Yu, J. H., and Lee, H. S. (2002). "A Conceptual Approach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Using Multi-Skilled Labo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IK, 18(7), pp. 163-170. 

  9. Kim, K. W., and Lee, H. S. (2003). "Skill Grouping for Utilizing Multiskilled Labor in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IK, 19(11), pp. 215-222. 

  10. Kim, K. W., and Lee, H. S. (2003). "Optimization model of skill grouping for utilizing multiskilled labor in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IK, 19(11), pp. 223-230. 

  11. Lim, N. G. (2015). "A fundamental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a Training System for the Young Construction Technician."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RA, 17(6), pp. 179-186. 

  12. Shin, Y. C. (2004). "Improvement scheme for employment environment of construction technician." Construction economy, 49, pp. 49-57. 

  13. Yang, J. K., Kim. S. B., and Lee, S. B. (2017). "An Extraction and ANP Importance Analysis for Competence Factors of Junior Grade CM Engineer."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8(1), pp. 58-64. 

  14. KPI (2018). "Total Price Information." Korea Price Information Corp., (Apr. 20,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