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와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성별에 따른 다집단 경로분석
The Relations of Child's and Parent's Self-Esteem and Child's Career Maturity: Focused on Multi-Group Path Analysis by Gend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 2019년, pp.236 - 247  

연은모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자녀의 자아존중감, 어머니와 아버지 각자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자녀의 성별에 따라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크기가 다른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0차(2015년) 자료의 30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분석과 다집단 경로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진로성숙도(${\beta}=.519$,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은 자녀의 진로성숙도(${\beta}=.247$, p<.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자녀와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이 통제되었을 때 자녀의 진로성숙도(${\beta}=-.086$, p>.05)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집단 경로분석 결과, 자녀의 성별에 따라 자녀의 자아존중감,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효과크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의 자아존중감뿐 아니라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및 상담 지원 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ren's and parent's self-esteem relates to children's career maturity.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how their influences would differ depending on gender. Data from 30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 5, and 6 who participated in the 10th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자녀의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 2) 자녀의 성별에 따라 자녀의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분석과 다집단 경로분석 방법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자녀의 성별에 따라 영향 관계에 차별적인 특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 또한, 자녀의 성별에 따라 자녀의 자아존중감,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경로계수의 크기는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자신과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학문적,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 및 제한점에 기초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자녀의 자아존중감, 어머니와 아버지 각자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자녀의 성별에 따라 자신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크기가 다른지 다집단 경로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기초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성숙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별적 수준을 보이는 진로성숙도에 부모와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의 크기에서도 차별성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셋째, 초등학교 시기의 진로성숙도 또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연구들이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와 아버지 각자의 자아 존중감이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은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진로성숙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성숙이란? 진로성숙(career maturity)은 발달 단계별로 요구되는 진로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1, 2 재인용]. 진로성숙 수준이 높다는 것은 발달 단계별 진로 및 직업과 관련된 과제들에 대처하는 태도와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3].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한 선행연구들이 가지는 세 가지 측면의 한계점은? 하지만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한 선행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한계점이 있다. 첫째, 개인의 발달 과정에서 부모 변인이 많은 영향[15-16]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둘째, 부모의 특성이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연구들 또한 대다수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자녀의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거나, 어머니와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을 구분하지 않은 채 부모라는 통합 변인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녀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과 자녀의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지 못했다. 셋째, 초등학교 시기의 진로성숙도 또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연구들이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와 아버지 각자의 자아 존중감이 자녀의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진로성숙 수준이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진로성숙(career maturity)은 발달 단계별로 요구되는 진로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1, 2 재인용]. 진로성숙 수준이 높다는 것은 발달 단계별 진로 및 직업과 관련된 과제들에 대처하는 태도와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3]. 진로와 관련된 긍정적인 태도를 계발시키는 학습자는 진로 관련 정보를 모으는 능력과 합리적인 진로 관련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9)

  1. D. E. Super, "Vocational maturity in mid-careers", The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Vol.6, pp.294-302, 1977. DOI: https://doi.org/10.1002/j.2164-585X.1977.tb01242.x 

  2. S. Coertse, J. M. Scheepers, "Some personality and cognitive correlates of career maturity",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30, No.2, pp.56-73, 2004. DOI: https://dx.doi.org/10.4102/sajip.v30i2.150 

  3. E. M. Lim, "The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tudents' career maturation",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5, No.3, pp.667-680, 2004. 

  4. S. G. Niles, J. Harris-Bowlsbey, "Career development interventions in the 21st century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2009. 

  5. P. A. Creed, W. Patton, "Predicting two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in school based adolesc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29, No.4, pp.277-290, 2003. DOI: https://dx.doi.org/10.1177/089484530302900405 

  6. S. H. Yoom,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for and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Vol.8, pp.97-124, 2011. 

  7. H. J. Kim, H. Y. Jo,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s on learning motiv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7, No.5, pp.201-221, 2017. DOI: http://doi.org/10.22251/jlcci.2017.17.5.201 

  8. J. H. Park, "The effect of elementary students' career maturity on class engagement: The mediating role of self-control",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2, No.6, pp.187-203, 2015. 

  9. S. M. Kim, C. H. Par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maturity,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ultigroup structual equation modeling and latent mean analyses of gender",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30, No.2, pp.291-316, 2017. 

  10. J. M. Yoo, B. W. Lee, "The effect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the impact on school mal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ol.41, No.2, pp.1-23, 2016. 

  11. W. S. Lim, Y. C. Kim,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arental support on the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mediated by career matur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33, No.4, pp.31-51, 2015. 

  12. S. J. Song, J. M. Kim, "The influence of youth activity on career maturit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No.4, pp.169-184, 2018. DOI: https://dx.doi.org/10.22251/jlcci.2018.18.4.169 

  13. K. H. Lee, M. H. Yoon, "The effect of parent factor,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mature career choice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6, No.1, pp.175-199, 2011. 

  14. H. M. Lee, J. Y. Chung,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4, No.2, pp.117-139, 2017. DOI: https://dx.doi.org/10.21509/KJYS.2017.02.24.2.117 

  15. H. Goelman, B. Zdaniuk, W. T. Boyce, J. M. Armstrong, M. J. Essex, "Maternal mental health, child care quality, and children's behavio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 No,4, pp.347-356, 2014. DOI: https://dx.doi.org/10.1016/j.appdev.2014.05.003 

  16. S. J. Lee, G. T. Pace, J. Y. Lee, H. Knauer, "The association of fathers' parental warmth and parenting stress to child behavior problem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91, pp.1-10, 2018. DOI: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8.05.020 

  17.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8. B. Bajaj, R. Gupta, N. Pande,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94, pp.96-100, 2016. DOI: https://doi.org/10.1016/j.paid.2016.01.020 

  19. H. Cheng, A. Furnham, "Early indicators of self-esteem in teenagers: Finding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16, pp.139-143, 2017. DOI: https://dx.doi.org/10.1016/j.paid.2017.04.037 

  20. G. MacDonald, M. R. Leary,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esteem", In M. R. Leary, J. P. Tangney (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pp. 354-377), New York, NY, US: Guilford Press, 2013. 

  21. F. Kong, J. Zhao, X. You, "Self-esteem as mediator and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112, No.1, pp.151-161, 2013. DOI: https://dx.doi.org/10.1007/s11205-012-0044-6 

  22. C. Proctor, P. Linley, J. Maltby, "Youth life satisfa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0, No.5, pp.583-630, 2009. DOI: https://doi.org/10.1007/s10902-008-9110-9 

  23. B. Blaine, J. Crocker, "Self-esteem and self-serving biases in reactions to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In R. F. Baumeister (Ed.), Se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pp. 55-85), New York: Plenum, 1993. 

  24. K. L. Sommer, R. F. Baumeister, "Self-evaluation, persistence, and performance following implicit rejection: The role of trait self-estee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8 No.7, pp.926-938, 2002. DOI: https://dx.doi.org/10.1177/01467202028007006 

  25. J. D. Brown, K. A. Dutton, "The thrill of victory, the complexity of defeat: Self-esteem and people's emotional reactions to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8, No.4, pp.712-722, 1995. DOI: https://dx.doi.org/10.1037/0022-3514.68.4.712 

  26. J. D. Brown, R. L. Collins, G. W. Schmidt, "Self-esteem and direct versus indirect forms of self-enhanc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5, No.3, pp.445-453, 1988. DOI: https://dx.doi.org/10.1037/0022-3514.55.3.445. 

  27. U. Orth, R. W. Robins, K. H. Trzesniewski, J. Maes, M. Schmitt, "Low self-esteem is a risk factor for depressive symptoms from young adulthood to old ag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18, No.3, pp.472-478. 2009. DOI: https://dx.doi.org/10.1037/a0015922 

  28. W. B. Swann, C. Chang-Schneider, K. L. McClarty, "Do our self-views matter? Self-concept and self-esteem in everyday life", American Psychologist, Vol.62, No.2, pp.84-94, 2007. DOI: https://dx.doi.org/10.1037/0003-066X.62.2.84 

  29. H. J. Jeon, M. S. Yoo, "The path analysis of self-esteem, career maturity and microsystem affecting adolescents' subjective happines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2, No.6, pp.75-104, 2015. 

  30. J. Y. Song, Y. M. Cheong, "The influence of abuse experience from parents on career maturity of the high school student: Focused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GRI Review, Vol.17, No.1, pp.107-131, 2015. 

  31. J. W. Jung,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26, No.1, pp.101-118, 2014. 

  32. J. W. Cha, H. S. Le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family environment, peer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26, No.3, pp.53-67, 2014. 

  33. M. N. Jung, J. E. Roh,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adolescents' career maturity", Studies on Korean Youth, Vol.27. No.3. pp.133-162, 2016. DOI: https://dx.doi.org/10.14816/sky.2016.27.3.133 

  34. S. B. You, "A study on effects of contextual suppor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Vol.16, No.1, pp.195-214, 2012. 

  35. P. A. Creed, W. Patton, D. Bartrum, "Internal and external barriers, cognitive style, and the career development variables of focus and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30, No.4, pp.277-294, 2004. DOI: https://dx.doi.org/10.1023/B:JOCD.0000025116.17855.ea 

  36. R. H. Crook, C. C. Healy, D. W. O'Shea, "The linkage of work achievement to self-esteem, career maturity, and college achieve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5, No.1, pp.70-79, 1984. DOI: https://dx.doi.org/10.1016/0001-8791(84)90037-X 

  37. L. Di Giunta, G. Alessandri, M. Gerbino, P. Luengo Kanacri, A. Zuffiano, G. V. Caprara, "The determinants of scholastic achievement: The contribution of personality traits,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27, pp.102-108, 2013. DOI: https://doi.org/10.1016/j.lindif.2013.07.006 

  38. P. Erturgut, R. Erturgut, "Stress and academic self-esteem in primary school children who applied to the hospital: A research in pediatric hospitals in Turkey",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2, No.2, pp.1200-1204, 2010. DOI: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3.172 

  39. L. Fang, "Educational aspirations of Chinese migrant children: The role of self-esteem contextual and individual influence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0, pp.195-202, 2106. DOI: https://dx.doi.org/10.1016/j.lindif.2016.08.009 

  40. C. K. Cheung, H. Y. Cheung, J. Wu, "Career unreadiness in relations to anxiety and authoritarian parenting among undergradu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ce and Youth, Vol.19, No.3. pp.336-349, 2014. DOI: https://doi.org/10.1080/02673843.2014.928784 

  41. L. Halim, N. Abd Rahman, R. Zamri, L. Mohtar, "The roles of parents in cultivating children's interest towards science learning and careers", Kasetsart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39, No.190-196, 2018. DOI: https://doi.org/10.1016/j.kjss.2017.05.001 

  42. S. C. Whiston, B. K. Keller, "The influences of the family of origin on career development: A review and analysi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32, No.4, pp.493-568, 2004. DOI: https://dx.doi.org/10.1177/0011000004265660 

  43. T. J. Tracey, R. W. Lent, S. D. Brown, S. Soresi, L. Nota, "Adherence to RIASEC structure in relation to career exploration and parenting style: Longitudinal and idiothetic considera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9, pp.248-261, 2006. DOI: https://dx.doi.org/10.1016/j.jvb.2006.02.001 

  44. N. El Ghaziri, J. Darwiche, "Adult self-esteem and family relationships: A literature review", Swiss Journal of Psychology, Vol.77, No.3, pp.99-115, 2018. DOI: https://dx.doi.org/10.1024/1421-0185/a000212 

  45. E. M. Yeon, H. S. Choi, "Relations among work-parenting gains and strains, self-esteem, and parent-child interaction of married couple: An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No.7, pp.497-523, 2018. DOI: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7.497 

  46. L. Herz, E. Gullo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style: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australian and vietnamese australian adolesc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30, pp.742-761, 1999. DOI: https://dx.doi.org/10.1177/0022022199030006005 

  47. S. J. Kwon, J. Y. Le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family interaction,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by mother",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9, No.4, pp.121-142, 2017. 

  48. J. S. Kim, "The influences of paternal depressio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on child's self-control: With mediation of warm parent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11, No.1, pp.29-49, 2017. 

  49. E. Flouri, 2010. "Fathers' behaviors and children's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30, No.3, pp.363-369, 2010. DOI: https://dx.doi.org/10.1016/j.cpr.2010.01.004 

  50. E. Goncey, M. H. M. van Dulmen, "Fathers do make a difference: Parental involvement and adolescent alcohol use", Fathering, Vol.8, No.1, pp.93-108, 2010. DOI: https://dx.doi.org/10.3149/fth.0801.93 

  51. B. S. Allport, S. Johnson, A. Aqil, A. B. Labrique, T. Nelson, A. Kc, Y. Carabas, A. V. Marcell, "Promoting father involvement for child and family health", Promoting Father Involvement for Child and Family Health, Vol.18, No.7, pp.746-753, 2018. DOI: https://dx.doi.org/10.1016/j.acap.2018.03.011 

  52. D. Luzzo,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perceived barriers in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ling & Development, Vol.73, pp.319-325, 1995. DOI: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5.tb01756.x 

  53. J. W. Rojewski, R. C. Wicklein, J. W. Schell, "Effects of gender and academic risk behaviour on the career maturity of rural youth", Journal of Research in Rural Education, Vol.11, pp.92-104, 1995. 

  5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2015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descriptive report-", 2015. 

  55. https://www.koweps.re.kr:442/data/guide/list.do 

  56. M. W. Browne, R. Cudeck, "Single sample cross-validation indices for covariance structur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24, No.4, pp.445-455, 1989. DOI: https://dx.doi.org/10.1207/s15327906mbr2404_4 

  57. L. Hu, P.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No.1, pp.1-55, 1999. DOI: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58. D. Russell, J. Kahn, R. Spoth, E. Altmaier,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No.1, pp.18-29, 1998. DOI: https://dx.doi.org/10.1037/0022-0167.45.1.18 

  59. F. F. Chen,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14, No.3, pp.464-504, 2007. DOI: https://dx.doi.org/10.1080/10705510701301834 

  60. G. W. Cheung, R. B. Rensvold,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9, No.2, pp.233-255, 2002. DOI: https://dx.doi.org/10.1207/S15328007SEM0902_5 

  61.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2011. 

  62. R. P. Bagozzi,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1, pp.74-94, 1988. DOI: https://dx.doi.org/10.1007/BF02723327 

  63. C. Fornell, D.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DOI: https://dx.doi.org/10.2307/3151312 

  64. J. Hair, W. Black, B. Babin, R. Anderson, R. Tatham, "Multivariant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Prentice Hall, 2006. 

  65. K. R. Park, H. S. Choi, E. M, Yeon,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ol.37, No.4, pp.669-677, 2017. DOI: https://dx.doi.org/10.14697/jkase.2017.37.4.669 

  66. Y. K. Ay, J. Y. Bo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awarenes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Vol.15, No.1, pp.25-51, 2009. 

  67. I. J. Chung, J. Y. Im, M. H. Hwang, "Development of career maturity scale for elementary schooler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24, No.3, pp.169-194, 2011. 

  68. S. R. Park, B. R. No, H. J. Park, S. H. Yi,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ffective parenting, and family flexibility on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 An analysis of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using actor-partner independence model (APIM)",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11 No.1, pp.51-79, 2017. DOI: https://doi.org/10.5718/kcep.2017.11.1.51 

  69. J. A. Lee, J. E. Park, H. M. Chung, S. H. Yi, "The structural analysis of parents' emotional value of children,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and scholastic competence: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7, No.4, pp.453-477, 2017. DOI: https://dx.doi.org/10.18023/kjece.2017.37.4.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