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비수준별 소나무 용기묘의 생장 특성 및 가시적 피해
Growth Characteristics and Visible Injury of Container Seedling of Pinus densiflora by Fertilization Level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8 no.1, 2019년, pp.66 - 77  

차영근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최규성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식물양묘실) ,  송기선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식물양묘실) ,  구다은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종묘관리과) ,  이하나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성환인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산림조경학과) ,  김종진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인 소나무를 대상으로 조림지 식재 후 활착률을 높이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생육이 좋은 용기묘(1-0)로 생산하고자 할 때, 기본적인 생육환경 요인들 중 시비처리 수준에 따른 생장 반응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 시비 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04구 용기에서 생육된 소나무 용기묘는 파종 후 약 8주 후부터, 4주 간격으로 간장 및 근원경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 1-0 용기묘의 시비처리는 변형증가농도처리군의 $500{\rightarrow}1000{\rightarrow}1000{\rightarrow}1000mg{\cdot}L^{-1}$에서 간장, 근원경 생장이 좋았으며, 전체적으로 고정농도처리군보다 증가농도처리군과 변형증가농도처리군이 더 좋은 생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건물생산량은 변형증가농도처리군의 $500{\rightarrow}1000{\rightarrow}1000{\rightarrow}1000mg{\cdot}L^{-1}$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시비처리 후 9주째부터 고정농도처리구 $3000mg{\cdot}L^{-1}$ 시비처리에서 소나무잎의 끝부분이 노랗게 변하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증상은 증가농도처리구의 $2000mg{\cdot}L^{-1}$까지 농도를 증가시킨 처리구와 변형증가농도처리군의 $2000mg{\cdot}L^{-1}$까지 농도를 증가 시킨 처리구에서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나무 1-0 용기묘 생산을 위한 시비처리는 시비는 유묘형성기에 Multifeed 19로 $500mg{\cdot}L^{-1}$, 빠른생장기에 Multifeed 19로 $1000mg{\cdot}L^{-1}$, 경화기에 Multifeed 32로 $1000mg{\cdot}L^{-1}$를 일주일에 한번씩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우량한 용기묘를 생산하는데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pine trees, which forms a major plantation species in Korea,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the survival rate of pine trees after planting. Growth responses and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by controlling the level of fertilizer application, which is a basic contr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소나무 1-0 용기묘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생육환경요인들 중 시비처리에 따른 생육 반응 특성을 조사하여 적정 시비 수준을 구명하고 이를 통하여 대표적인 시설양묘 수종인 소나무 용기묘의 생육상태를 우량하게 하여 식재 후 생장 및 활착률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 산림에 많은 소나무 용기묘가 식재되고 있지만 아직도 생산현장에서는 적정한 시비체계가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본 실험을 통해 나타난 결과들을 소나무 용기묘 생산시업체계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실험에서는 시비처리 수준이 소나무 1년생 용기묘의 부위별 및 묘목 전체 내 질소와 탄소 함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식물이 생장하는데 있어서 많은 종류의 양분이 필요한데 특히 N, P, K등은 식물체의 구성 성분과 대사작용에 사용되어 많은 양이 필요하지만 토양으로부터 자연적으로 공급되는 양이 부족하여 결핍증상이 흔히 나타나고 비료로 보충되는 경우가 많다(Hwang 등, 2005; Ingestad, 1979).
  • 따라서 본 연구는 소나무 1-0 용기묘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생육환경요인들 중 시비처리에 따른 생육 반응 특성을 조사하여 적정 시비 수준을 구명하고 이를 통하여 대표적인 시설양묘 수종인 소나무 용기묘의 생육상태를 우량하게 하여 식재 후 생장 및 활착률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 산림에 많은 소나무 용기묘가 식재되고 있지만 아직도 생산현장에서는 적정한 시비체계가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본 실험을 통해 나타난 결과들을 소나무 용기묘 생산시업체계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란 무엇인가? 한국을 대표하는 자생 수종인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으로 그 동안 주로 노지묘 형태로 생산되어 식재 되었으나, 최근에 와서는 시설양묘에 의한 용기묘로 생산되어 식재되고 있다. 소나무 용기묘의 도입계기는 1996년에 발생한 강원도 고성 산불피해지 복구를 위하여 소나무 1-0 용기묘를 대량생산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소나무 용기묘의 도입계기는 무엇인가? )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으로 그 동안 주로 노지묘 형태로 생산되어 식재 되었으나, 최근에 와서는 시설양묘에 의한 용기묘로 생산되어 식재되고 있다. 소나무 용기묘의 도입계기는 1996년에 발생한 강원도 고성 산불피해지 복구를 위하여 소나무 1-0 용기묘를 대량생산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이 때 우리나라 최초로 시설양묘 대량생산체계가 들어섰다(Cha 등, 2017; Kim, 2003).
용기묘의 생육단계는 3단계로 구분하여 생육단계별로 시비처리를 어떻게 다르게 하는가? 일반적으로 시설양묘에서 용기묘의 생육단계는 3단계로 구분되며, 생육단계별로 시비처리를 다르게 조절하여 인위적으로 묘목의 생장을 조절하여야 한다(Landis 등, 1989). 종자파종에서 시작하여 발아 및 출현단계를 거쳐 유묘의 본엽이 발달될 때까지의 유묘형성기(establishment phase), 수고, 근원경 및 뿌리가 상대적으로 빠른 생장을 보이는 빠른 생장기(rapid growth phase), 수고생장이 멈 추면서 근원경 및 뿌리생장으로 에너지를 전환하는 경화기(hardening phase)에 따라 관수와 시비를 달리하여 묘목의 생장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소나무 시설양묘에 필 요한 묘령 및 규격에 따른 시업기술, 생육상토, 적정용기, 관수 및 시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본격적 으로 수행 또는 진행되고 있다(Byun 등, 2007; Chung, 2009; Hwang 등, 2003; Kim, 2003; Kim 등, 2002, 2003; Lim, 2006; Park 등, 2010; Yoo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drew, G. 1998. Gardening and water quality protection: understanding nitrogen fertilizers. Oregon State University. 

  2. Binkley, D. 1986. Forest nutrition Management. John Wiley & Sons. p. 304. 

  3. Bouma, T.J., K.L. Nielsen, and B. Koutstaal. 2000. Sample preparation and scanning protocol for computerised analysis of root length and diameter. Plant and Soil 218:185-196. 

  4. Byun, J.K., Y.S. Kim, M.J. Yi, Y.W. Son, C.S. Kim, J.H. Jeong, C.Y. Lee, and Y.H. Jeong. 2007. Growth response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Quercus acutissima seedlings at various levels of fertiliz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6(6):693-698 (in Korean). 

  5. Cha, Y.G., K.S. Choi, K.S. Song, H.I. Sung, and J.J. Kim. 2017. Growth characteristics of one-year-old container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by irrigation level.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6(3):167-174 (in Korean). 

  6. Cho, M.S., S.W. Lee, B.B. Park, and G.S. Park. 2011. The effects of fertilization on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riodendron tulipifera in a container nursery system.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0(2):305-313 (in Korean). 

  7. Chung, Y.S. 2009. Studies on development of connection nursery system for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container large seedlings.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p. 115 (in Korean). 

  8. Cornea, Zane J. 1982. Nutrient and mycorrhizal effects on the root-shoot ratio of containerized ponderosa pine seedlings. Tucson, AZ: University of Arizona. p. 90. PhD dissertation. 

  9. Dickson, A., A.L. Leaf, and J.F. Hosner. 1960. Quality appraisal of white spruce and white pine seedling stock in nurseries. The Forestry Chronicle 36:10-13. 

  10. Edwards, I.K. and R.F. Huber. 1982. Contrasting approaches to containerized seedling production. In: J.B. Scarratt, C. Glerum, and C.A. Plexman (eds.). Proceedings of the Canadian Containerized Tree Seedling Symposium. Canadian Forestry Service, Great Lakes Forest Research Centre, Ontario, Canda. p. 123-127 (in Korean). 

  11. Hathaway, R.D. and C.E. Whitcomb. 1984. Nutrition and performance of container-grown Japanese black pine seedlings. Journal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2(1):9-12. 

  12. Hwang, J.O., Y. Son, M.J. Yi, J.K. Byoun, J.H. Jung, and C.Y. Lee. 2003.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and type of fertilizer and seedling I. Influence on biomass, specific leaf area and chlorophyll content. Journal of Korean Forest Energy 22(2):44-53 (in Korean). 

  13. Hwang, J.O., Y. Son, M.J. Yi, J.K. Byoun, J.H. Jung, and C.Y. Lee. 2005.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and type of fertilizer and seedling growth II. nutrient concentration of seedling components. Journal of Korean Forest Energy 24(1):13-27 (in Korean). 

  14. Ingestad, T. 1979. Mineral nutrient requirement of Pinus silvestris and Picea abies seedlings. Physiologia Plantarum 45:373-380. 

  15. Johnson, F., J. Paterson, G. Leeder, C. Mansfield, F. Pinto, and S. Watson. 1996. Artificial regeneration of Ontario's forest: species and stock selection manual. Forest Research Information Paper No. 131. Ontario, Oregon, USA. p. 51. 

  16. Jones, J.B. 1983. A guide for the hydroponic and soilless culture grower.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USA. p. 124. 

  17. Kim, J.J. 2003. Species and technology of container nursery. Journal of the Forest Nurseryman Association of Korea 31:39-47 (in Korean). 

  18. Kim, J.J. and T.S. Yoon. 2006. Survival and growth conditions of container seedling. Journal of the Forest Nurseryman Association of Korea 34:83-93 (in Korean). 

  19. Kim, J.J., K.J. Lee, K.S. Song, Y.G. Cha, Y.S. Chung, J.H. Lee, and T.S. Yoon. 2010. Exploration of optimum container for production of Larix leptolepsis container seedling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638-644 (in Korean). 

  20. Kim, J.J., S.G. Hong, and T.S. Yoon. 2003. Growth response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to high temperature in container culture.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2:217-220 (in Korean). 

  21. Kim, J.J., S.G. Hong, J.K. Yoon, and T.S. Yoon. 2002. Effect of minimum night temperature on growth of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and Betula platyphylla in container culture during winter season.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1:163-167 (in Korean). 

  22. Kwon, K.W. and J.H. Lee. 1994.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Quercus spp. and Fraxinus rhynchophylla subjected to different soil moisture regimes and nutrition level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3(2):164-174 (in Korean). 

  23. Kwon, K.W., M.S. Cho, G.N. Kim, S.W. Lee, and K.H. Jang. 2009.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s of containerized seedling and bare root seedling of Quercus acutissima growing at different fertilizing scheme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78(3):331-338 (in Korean). 

  24. Landis, T.D., R.W. Tinus, S.E. McDonald, and J.P. Barnett. 1989. The container tree nursery manual. Vol. 4. Seedling nutrition and irrigation. Agriculture Handbook 674. USDA Forest Service, Washington DC, USA. p. 119. 

  25. Landis, T.D., R.W. Tinus, S.E. McDonald, and J.P. Barnett. 1992. The container tree nursery manual. Vol. 3. Atmospheric environment. Agriculture Handbook 674. USDA Forest Service, Washington DC, USA. p. 145. 

  26. Landis, T.D., R.W. Tinus, S.E. McDonald, and J.P. Barnett. 1995. The container tree nursery manual. Vol. 1. Nursery planning, development and management. Agriculture Handbook 674. USDA Forest Service, Washington DC, USA. p. 188. 

  27. Lee, K.J. 1993. Forest ecophys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 200 (in Korean). 

  28. Lim, J.Y. 2006. A study on growth of Pinus densiflora S. et Z. seedling in container.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and Animal Science Konkuk University. p. 44 (in Korean). 

  29. Oh, S.S., Y.S. Kim, M.S. Park, H.C. Kim, and J.M. Choi. 2018. Changes in crop growth and nutrient concentrations of tissue and soil solution in raising of hot pepper plug seedlings as influenced by various pre-planting nitrogen levels incorporated into a inert medium.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7(2):173-179 (in Korean). 

  30. Park, B.B., J.K. Byun, W.S. Kim, and J.H. Sung. 2010. Growth and tissue nutrient responses of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fertilized with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at a nursery cultur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1):85-95 (in Korean). 

  31. Proe, M.F. and P. Millard. 1994.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supply, nitrgen partitioning and growth in young Sitka spruce (Picea sitchesis). Tree Physiology 14:75-88. 

  32. Scarratt, J.B. 1986. An evaluation of some commercial soluble fertilizers for culture of jack pine container stock. Inf. Rep. O-X-377. Canadian Forestry Service, Great Lakes Forestry Centre. p. 21. 

  33. Seith, B., E. George, H. Marschner, T. Wallenda, C. Schaeffer, W. Einig, A. Wingler, and R. Hampp. 1996. Effects of varied soil nitrogen on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 Shoot and root growth and nutrient uptake. Plant Soil 184:291-298. 

  34. Shin, J.A., Y. Son, S.G. Hong, and Y.K. Kim. 1999. Effect of N and P fertilization on nutrient use efficiency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eedling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8(4):304-309 (in Korean). 

  35. Sung, H.I. 2011. Effects of shading and fertilizing treatment on qualities of 1-year-old container seedlings of Quercus myrsinaefolia.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p. 113 (in Korean). 

  36. Timmer, V.R. and G. Armstrong. 1987. Growth and nutrition of containerized Pinus resinosa at exponentilly increasing nutrient addition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7(7):644-647. 

  37. Won, H.K., Y.Y. Lee, J.H. Jeong, K.S. Koo, C.H. Lee, S.W. Lee, Y.H. Jeong, C.S. Kim, and H.H. Kim. 2006. Fertilization effects on soil properties, understory vegetation structure and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planted after forest fire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5(3):334-341 (in Korean). 

  38. Yoon, T.S. 2002. Studies on production of high-quality containerized seedlings by applying air-root pruning.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p. 8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