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능동적 머리목관절 가동범위 측정에 관한 측정자간 신뢰도 연구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Active Craniocervical Range of Motion With Smartphone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6 no.1, 2019년, pp.8 - 18  

박일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박규남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충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문일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Numerous studies have used smartphone applications to measure the range of motion in different joints. In addition, studies measuring the active range of motion (AROM) of the craniocervical joint have revealed high reliability. However, the subjects in these studies were all healthy sub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스마트폰을 이용한 머리목관절 가동범위 측정에 관한 신뢰도 선행 연구가 있지만(Pourahmadi 등, 2018), 연구 결과를 뇌졸중 환자에게 일반화시킬 수 없는 이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능동적 머리목관절 가동범위 측정 시 측정자간 신뢰도를 측각기(goniometer)와 비교하여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능동적 머리목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했을 때, 측각기로 측정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측정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머리목관절에서 일어나는 여섯 가지 움직임을 비교한 결과 스마트폰으로 측정하였을 때 네 가지 움직임에서 측각기와 같은 높음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고, 머리 굽힘 시 매우 높음 수준을, 비마비 측으로 돌림 시 보통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능동적 머리목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하였을 때 측정자간 신뢰도를 관절 가동범위 측정시 전통적으로 이용하는 측각기와 비교해 알아보고자하였다. 머리목관절에서 발생하는 여섯 가지 움직임을 스마트폰으로 측정했을 때 측정자간 신뢰도는 비마비 측으로 돌림 시 보통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으나, 머리목관절 폄, 좌우 가쪽 굽힘에서 높음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고 특히 굽힘에서는 매우 높음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머리목관절이란? 정상인은 일반적으로 머리목관절 가동범위의 30∼50%까지를 일상생활에서 움직인다(Bennett 등, 2002). 머리목관절은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을 담당하는 주된 영역 중 하나로써, 병리학적 이상이 생기면 자세와 균형에 전반적인 문제가 발생한다(Page, 2006). 관절 가동범위의 제한이 생긴 뇌졸중 환자의 머리목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하는 것은 기능 수준을 평가하고 치료 계획을 설정하며, 치료적 중재법의 효율성을 확인하고 환자의 경과를 관찰할 때 매우 유용하다(Lan 등, 2014).
뇌졸중 환자에게 정상적인 신체 능력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소 중 하나로서 몸 전체에 비대칭적 자세를 만드는것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들은 근육 긴장항진(hypertonus), 근육 동시수축(co-activation), 구축(contracture), 뻣뻣함(stiffness), 관절 가동범위(rangeof motion) 제한 등의 신경학적 및 생체 역학적 변화를겪게 된다(Oh 등, 2013). 근육 약화(weakness) 또한 정상적인 신체 능력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소 중 하나로서(Cramp 등, 2006), 머리와 목의 정렬 상태에도 영향을 주어 결국 몸 전체에 비대칭적 자세가 나타난다(Oh 등,2013). 이러한 변화는 움직임 양식(pattern)과 자세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데(Bracco 등, 2004), 목과 윗몸(upperbody)의 굽힘 근육(flexors) 긴장도 증가는 굽힘 근육의 짧아짐을 초래하여 신체 정렬 및 움직임 범위가 변하는  기계적 손상을 야기한다(Oh 등, 2013).
뇌졸중 환자들이 겪는 변화는 무엇인가? 뇌졸중(stroke)은 전 세계 사망 원인 중 세 번째로 높고, 생존하여도 장애를 갖고 남은 생을 살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Arya 등, 2011). 뇌졸중 환자들은 근육 긴장항진(hypertonus), 근육 동시수축(co-activation), 구축(contracture), 뻣뻣함(stiffness), 관절 가동범위(rangeof motion) 제한 등의 신경학적 및 생체 역학적 변화를겪게 된다(Oh 등, 2013). 근육 약화(weakness) 또한 정상적인 신체 능력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소 중 하나로서(Cramp 등, 2006), 머리와 목의 정렬 상태에도 영향을 주어 결국 몸 전체에 비대칭적 자세가 나타난다(Oh 등,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rya KN, Pandian S, Verma R, et al. Movement therapy induced neural reorganization and motor recovery in stroke: A review. J Bodyw Mov Ther. 2011;15(4):528-537. http://doi.org/10.1016/j.jbmt.2011.01.023 

  2. Atkinson G, Nevill AM.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measurement error (reliability) in variables relevant to Sports Medicine. Sports Med. 1998;26(4):217-238. http://doi.org/10.2165/00007256-199826040-00002 

  3. Behnoush B, Tavakoli N, Bazmi E, et al. Smartphone and universal goniometer for measurement of elbow joint motions: A comparative study. Asian J Sports Med. 2016;7(2):e30668. http://doi.org/10.5812/asjsm.30668 

  4. Bennett SE, Schenk RJ, Simmons ED. Active range of motion utilized in the cervical spine to perform daily functional tasks. J Spinal Disord Tech. 2002;15(4):307-311. 

  5. Bracco P, Deregibus A, Piscetta R. Effects of different jaw relations on postural stability in human subjects. Neurosci Lett. 2004;356(3):228-230. http://doi.org/10.1016/j.neulet.2003.11.055 

  6. Chen K, Marsh EB. Chronic post-stroke fatigue: It may no longer be about the stroke itself. Clin Neurol Neurosurg. 2018;17(174):192-197. http://doi.org/10.1016/j.clineuro.2018.09.027 

  7. Cramp MC, Greenwood RJ, Gill M, et al. Low intensity strength training for ambulatory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2006;28(13-14):883-889. http://doi.org/10.1080/09638280500535157 

  8. Gajdosik RL, Bohannon RW. Clinical measurement of range of motion. Review of goniometry emphasizing reliability and validity. Phys Ther. 1987;67(12):1867-1872. 

  9. Gao J, He W, Du LJ, et al. Quantitative ultrasound imaging to assess the biceps brachii muscle in chronic post-stroke spasticity: Preliminary observation. Ultrasound Med Biol. 2018;44(9):1931-1940. http://doi.org/10.1016/j.ultrasmedbio.2017.12.012 

  10. Guzman J, Hurwitz EL, Carroll LJ, et al. A new conceptual model of neck pain: Linking onset, course, and care: The bone and joint decade 2000-2010 task force on neck pain and its associated disorder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9;32(2 Suppl):S17-S28. http://doi.org/10.1016/j.jmpt.2008.11.007 

  11. Kottner J, Audige L, Brorson S, et al. Guidelines for reporting reliability and agreement studies (GRRAS) were proposed. Int J Nurs Stud. 2011;48(6):661-671. http://doi.org/10.1016/j.ijnurstu.2011.01.016 

  12. Lan HC, Chen HY, Kuo LC, et al. The shift of segmental contribution ratio in patients with herniated disc during cervical lateral bending. BMC Musculoskelet Disord. 2014;15:273. http://doi.org/10.1186/1471-2474-15-273 

  13. Oh DW, Kang TW, Kim SJ. Effect of stomatognathic alignment exercise on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 and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limited mouth opening. J Phys Ther Sci. 2013;25(10):1325-1329. http://doi.org/10.1589/jpts.25.1325 

  14. O'Sullivan SB, Schmitz TJ, Fulk GD. Physical Rehabilitation. 6th ed. MA, USA, F. A. Davis Company, 2013:138. 

  15. Otter SJ, Agalliu B, Baer N, et al. The reliability of a smartphone goniometer application compared with a traditional goniometer for measuring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dorsiflexion. J Foot Ankle Res. 2015;8:30. http://doi.org/10.1186/s13047-015-0088-3 

  16. Page P. Sensorimotor training: A "global" approach for balance training. J Bodyw Mov Ther. 2006;10(1):77-84. 

  17. Page P, Frank CC, Lardner 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IL, USA, Human Kinetics, 2010:175. 

  18. Park JH, Kwon YC.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9;28(3):508-513. 

  19. Portney LG, Watkins MP. Foundations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Inc., 2009:594-595. 

  20. Pourahmadi MR, Bagheri R, Taghipour M, et al. A new iPhone application for measuring active craniocervical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neck pain: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Spine J. 2018;18(3):447-457. http://doi.org/10.1016/j.spinee.2017.08.229 

  21. Pourahmadi MR, Ebrahimi Takamjani I, Sarrafzadeh J, et al.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a new $iPhone^{(R)}$ goniometric application for measuring active wrist range of motion: A cross-sectional study in asymptomatic subjects. J Anat. 2017;230(3):484-495. http://doi.org/10.1111/joa.12568 

  22. Schlager A, Ahlqvist K, Rasmussen-Barr E, et al. In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for measurement of range of motion in joints included in three hypermobility assessment methods. BMC Musculoskelet Disord. 2018;19(1):376. http://doi.org/10.1186/s12891-018-2290-5 

  23. Schmid AA, Miller KK, Van Puymbroeck M, et al. Yoga leads to multiple physical improvements after stroke, a pilot study. Complement Ther Med. 2014;22(6):994-1000. http://doi.org/10.1016/j.ctim.2014.09.005 

  24. Shin SH, Ro du H, Lee OS, et al. Within-day reliability of shoulder range of motion measurement with a smartphone. Man Ther. 2012;17(4):298-304. http://doi.org/10.1016/j.math.2012.02.010 

  25. Stenneberg MS, Busstra H, Eskes M, et al.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new smartphone application to assess 3D active cervical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neck pain. Musculoskelet Sci Pract. 2018;34:59-65. http://doi.org/10.1016/j.msksp.2017.12.006 

  26. Stenneberg MS, Rood M, de Bie R, et al. To what degree does active cervical range of motion differ between patients with neck pain, patients with whiplash, and those without neck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ch Phys Med Rehabil. 2017;98(7):1407-1434. http://doi.org/10.1016/j.apmr.2016.10.003 

  27. Streiner DL, Norman GR, Cairney J.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5th ed.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71. 

  28. Theobald PS, Jones MD, Williams JM. Do inertial sensors represent a viable method to reliably measure cervical spine range of motion? Man Ther. 2012;17(1):92-96. http://doi.org/10.1016/j.math.2011.06.007 

  29. Thibaut A, Chatelle C, Ziegler E, et al. Spasticity after stroke: Physiology, assessment and treatment. Brain Inj. 2013;27(10):1093-1105. http://doi.org/10.3109/02699052.2013.804202 

  30. Tousignant-Laflamme Y, Boutin N, Dion AM, et al. Reliability and criterion validity of two applications of the iPhoneTM to measure cervical range of motion in healthy participants. J Neuroeng Rehabil. 2013;10(1):69. http://doi.org/10.1186/1743-0003-10-69 

  31. Tousignant M, Smeesters C, Breton AM, et al. Criterion validity study of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CROM) device for rotational range of motion on healthy adult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6;36(4):242-248. 

  32. de Vet HC, Terwee CB, Mokkink LB, et al. Measurement in Medicine: A practical guid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124. 

  33. Wallwork TL, Hides JA, Stanton WR.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ssessment of lumbar multifidus muscle thickness using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10):608-612. http://doi.org/10.2519/jospt.2007.2418 

  34. Williams MA, McCarthy CJ, Chorti A,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of methods for measuring active and passive cervical range of motion.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10;33(2):138-155. http://doi.org/10.1016/j.jmpt.2009.1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