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매실 와인의 제조공정에 따른 아미그달린(amygdalin) 함량의 변화와 품질 특성
Change in amygdalin contents of maesil (Prunus mume) wine according to preparation steps and its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1, 2019년, pp.42 - 47  

조정원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김병용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최수진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응용시스템학부 식품공학전공) ,  정진부 (국립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김현석 (경기대학교 융합과학대학 바이오융합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실청을 제조한 후 매실을 제거하지 않은 매실청(MW1)과 매실을 제거한 매실청(MW2)을 발효하여 매실 와인을 제조하였다. 매실청은 당침 기간이 증가하면서 아미그달린 함량은 증가하였다. 매실 와인 제조과정별 아미그달린 함량을 비교하면, MW1이 MW2보다 모든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아미그달린을 함유하고 있었다. 매실청의 희석부터 효모의 첨가까지는 아미그달린 함량의 변화는 유의적이나 공정별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MW1의 경우 1차 발효 후 아미그달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후 2차 발효와 병입까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MW2는 효모 첨가 후 1차와 2차 발효를 거쳐 병입될 때까지 미미하지만 유의적으로 아미그달린 함량이 감소하였다. 완성된 매실 와인의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아미그달린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MW1이 MW2보다 아미그달린 함량에 있어 빠른 감소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매실 와인들의 알코올 함량은 숙성 초기에 10.11-10.94%이었으며, 3개월 숙성 후 9.87-10.30%를 나타내었고, 처리군들 사이에서 또는 숙성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pH와 적정산도는 숙성기간이 연장되면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거나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W2에 비해 MW1의 pH는 낮고, 적정산도는 높았다. 색 특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하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지만, MW1이 MW2보다 밝은 색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낮은 도수의 술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최근 술 소비 패턴과 최소한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고려할 때, 전통적으로 높은 알코올 농도의 담금주에 매실을 재어 침출하는 침출주 형태보다는 효모에 의해 매실청을 발효시켜 제조하는 매실 발효주(와인)이 매실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mygdalin content, alcohol content, pH, titratable acidity, and color of maesil wine prepared with two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Maesil wine was made from maesil chung, and maesil was preserved (MW1) or removed (MW2) before fermentation. During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미생물 발효를 통해 아미그달린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에 근거한 본 연구의 목표는 매실청을 포도주 제조과정에 따라 발효하여 숙성하는 동안 제조공정과 숙성기간에 따른 아미그달린 함량의 변화를 추적하였고, 매실 발효주의 품질인자를 조사하여 기존의 매실 침출주와는 다른 아미그달린 함량이 저감된 매실 와인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가설 설정

  • 2)L, a, and b correspond to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출주 형태보다 매실 와인으로 제조하는 것이 매실주로 적합한 이유는? 색 특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하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지만, MW1이 MW2보다 밝은 색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낮은 도수의 술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최근 술 소비 패턴과 최소한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고려할 때, 전통적으로 높은 알코올 농도의 담금주에 매실을 재어 침출하는 침출주 형태보다는 효모에 의해 매실청을 발효시켜 제조하는 매실 발효주(와인)이 매실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매실이란 무엇인가? 매실(Prunus mume)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교목인 매화나무의 핵과이다(Shim 등, 1989). 청매실은 껍 질이 단단하며 푸른색을 낼때, 수확한 매실로 5월 말에서 6월 초중순에 수확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남쪽 지방인 하동, 광양, 순천 등(국내 매실 생산량의 60% 이상 차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Kang 등, 1999).
청매실의 수확시기와 재배지는? 매실(Prunus mume)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교목인 매화나무의 핵과이다(Shim 등, 1989). 청매실은 껍 질이 단단하며 푸른색을 낼때, 수확한 매실로 5월 말에서 6월 초중순에 수확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남쪽 지방인 하동, 광양, 순천 등(국내 매실 생산량의 60% 이상 차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Kang 등, 1999). 매실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유기산, 당분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이나 노화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항산화, 항암, 항혈전, 항균, 간기능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 등, 1999; Kang 등, 1999; Shim 등,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ban S, Brimer L, Abdelgadir WS, Jakobsen M, Thorsen L. Screening for Bacillus subtilis group isolates that degrade cyanogens at pH 4.5-5.0. Int. J. Food Microbiol. 161: 31-35 (2013) 

  2. Bae SJ, Choi HW, Kim SY, Kim BY, Kim HS. Amygdalin contents of maesil and maesil-based products (abstract no. P-65). In: Abstracts: 2017 Fall Conference and Symposium of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November 2, Lakai Sandfine Resort Convention Center, Gangneung, Korea.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nseong, Korea (2017) 

  3. Cha HS, Hwang JB, Park JS, Park YK, Jo JS.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81-487 (1999) 

  4. Chae MH, Park LY, Lee SH. Effect of temperature on changes of maesil (Prunus mume)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5: 311-316 (2008) 

  5. Chang J, Zhang Y. Catalytic degradation of amygdalin by extracellular enzymes from Aspergillus niger. Process Biochem. 47: 195-200 (2012) 

  6. Cho JW, Kim SY, Baik MY, Kim HS, Kim BY. Changes in amygdalin contents of maesil wine and liqueur during the storage period (abstract no. P-16). In: Abstracts: 2018 Spring Conference and Symposium of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pril 27, Seoul Women's University International Conference Room, Seoul, Korea.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nseong, Korea (2018) 

  7. Choi HS, Kim MK, Park HS, Kim YS, Shin DH. Alcoholic fermentation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3-547 (2006) 

  8. Do B, Kwon H, Lee DH, Nah AH, Choi YJ, Lee SY. Removal of cyanogenic compounds in apricot kernel during heating process. J. Fd. Hyg. Safety 22: 395-400 (2007) 

  9. Francisco IA, Pinotti MHP. Cyanogenic glycosides in plants. Braz. Arch. Biol. Techn. 43: 487-492 (2000) 

  10. Hwang LH, Kim AK, Park KA, Kim JY, Hwang IS, Chae YZ. The effect of raw material, alcohol content, and trans-resveratrol on the formation of ethyl carbamate in plum wine. J. Fd. Hyg. Safety 24: 194-199 (2009) 

  11. Jung GT, Ju IO, Ryu J, Choi JS, Choi YG. Studies on manufacture of wine using apricot. Korean J. Food Preserv. 10: 493-497 (2003) 

  12. Kang MY, Jeong YH, Eun JB.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34-1439 (1999) 

  13. Kim NY, Eom MN, Do YS, Kim JB, Kang SH, Yoon MH, Lee JB.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maesil wine by alcohol content and ratio of maesil (Prunus mume) during ripening period. Korean J. Food Preserv. 20: 429-434 (2013) 

  14. Kim YS, Jeong DY, Shin DH.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2008) 

  15. Kim YD, Koo SK, Hyun KH. Contents of cyanogenic glucosides in processed foods and during ripening of ume according to varieties and picking date. Korean J. Food Preserv. 9: 42-45 (2002) 

  16. Kim EJ, Lee HJ, Jang JW, Kim IY, Kim DH, Kim HA, Lee SM, Jang HW, Kim SY, Jang YM, Im DK, Lee SH. Analytical determination of cyanide in maesil (Prunus mum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30-135 (2010a) 

  17. Kim JY, Yi YH.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2010b) 

  18. Lee SH, Park LY, Chae MH. Effects of alcohol concentration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Prunus mume)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4: 552-556 (2007) 

  19. Lee JE, Won YD, Kim SS, Koh KH.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with different grap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51-156 (2002) 

  20. Lim JW, Jeong JT, Lim YT. Preparing method of stone fruits wine having reduced cyanide. Korean Patent 10-2011-0004601 (2011) 

  21. Menon R, Munjal N, Sturino JM. Characterization of amygdalindegrading Lacotobacillus species. J. Appl. Microbiol. 118: 443-463 (2014) 

  22. Park LY, Chae MH, Lee SH. Effect of ratio of maesil (Prunus mume) and alcohol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4: 645-649 (2007) 

  23. Shim KH, Sung NK, Choi JS, Kang KS. Changes in major components of Japanese apricot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18: 101-108 (1989) 

  24. Silem A, Gnter HO, Einfeldt J, Boualia A. The occurrence of mass transport processes during the leaching of amygdalin from bitter apricot kernels: detoxification and flavour improvement. Int. J. Food Sci. Tech. 41: 201-213 (2006) 

  25. Son SJ, Jeong YJ, Kim SY, Choi JH, Kim NY, Lee HS, Bae JM, Kim SI, Lee HS, Shin JS, Han JS. Analysis of amygdalin of content Prunus mume by variety, harvest time, and fermentation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 721-729 (2017) 

  26. Tunel G, Nout MJR, Brimer L. The effects of grinding, soaking and cooking on the degradation of amygdalin of bitter apricot seeds. Food Chem. 53: 447-451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