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산머루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성 인자인 tannin 성분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tannin이 강화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와인용 tannin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 tannin 추출 조건은 녹차를 $40^{\circ}C$에서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고품질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첨가 최적 농도는 6.5 mg/mL이며 산머루 와인 발효 전에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생각되어 산머루 와인 제조 시 발효 전 최종 tannin 농도를 6.5 mg/mL로 조절하여 발효하였다. 최적 발효 조건으로 제조된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의 pH, 산도, 알코올 함량, 총당, polyphenol, tannin 및 resveratrol 함량을 측정하고 수입 와인 3종과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은 pH $3.69{\pm}0.01$, 산도 $0.96{\pm}0.01%$, 알코올 함량 $12.20{\pm}0.01%$, 총당 $60.00{\pm}1.15\;mg/mL$, polyphenol 함량 $79.50{\pm}0.55\;mg/mL$, tannin 함량 $7.40{\pm}0.05\;mg/mL$ 및 resveratrol 함량 $5.00{\pm}0.11\;mg/mL$로 기능성 물질 함량이 매우 높아 품질이 우수하고 단맛, 떫은맛과 산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이 균형을 이룬 산머루 와인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tannin을 추출하여 산머루 와인의 tannin을 강화함으로써 기존의 산머루 와인에 비해 단맛과 떫은맛이 강화되었으며, 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과 잘 어우러 져 고급 와인의 평가 기준이 되는 단맛, 떫은맛, 신맛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 고품질의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ld grapes contain lots of organic acids, vitamins and inorganic salts compared to other fruits. Also, it has known to have excellent effects on preventing cancer and heart disease. Wild grapes are supposed to be superior material for fermentation of wine. Tannin contents of wine, which is an im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산 산머루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성 인자인 tannin 성분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tannin이 강화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와인용 tannin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 tannin 추출 조건은 녹차를 40oC에서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산머루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성 인자인 tannin 성분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국산 식물 자원인 아카시아나무와 참나무 및 떫은맛이 강한 녹차에서 tannin 을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확립함과 동시에 tannin이 강화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annin 성분의 효능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웰빙 시대에 발맞춰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양한 기능성이 알려진 와인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1). 특히 포도의 씨와 껍질에 다량 존재하는 tannin 성분이 레드 와인의 풍취와 맛을 결정하고 산화 방지 작용이 있어 혈관 관련 질병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국내․외에 보고되고 있어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5). 국내 와인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산 양조용 포도의 소비량은 점차 감소하고 있어 포도주 소비 증가가 포도 농가의 활성화로 연결되지 못하는 모순을 낳고 있다.
와인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웰빙 시대에 발맞춰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양한 기능성이 알려진 와인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1). 특히 포도의 씨와 껍질에 다량 존재하는 tannin 성분이 레드 와인의 풍취와 맛을 결정하고 산화 방지 작용이 있어 혈관 관련 질병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국내․외에 보고되고 있어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5).
머루의 살리실산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머루는 알칼리성 과실로서 포도당, 주석산과 비타민 A, B1, B2, C, D 등이 풍부하며 칼슘성분은 이뇨작용을 도와부기를 내려주고, 서양화된 식단에 따른 영양과다 등으로 인한 체내의 산성화 현상을 중화시켜 준다(6). 또한 몸속에 있는 독소들이나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찌꺼기를 녹여주는 살리실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간, 고혈압, 심장병, 관절염 및 각종 성인병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7). 그러나 항암성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머루에 관한 연구는 아주 미약한 실정이므로, 항암성이 강한 식품으로 활용하기 위한 육종 및 재배 방법과 주스 및 와인 제조를 포함한 가공법의 연구가 절실하고 기능성식품으로 가공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ng JS, Jun JH. 2005. A study on wine preference by wine consumer classification. Korean J Culinary Research 11: 1-16 

  2. Cho YJ, An BJ, Choi C. 1993. Isolation and enzyme inhibition of tannins from Korean green tea. Korean Biochem J 26: 216-223 

  3. Choi IS, Lee KH, Lee SS, Oh SH. 1997. Effects of tannin on lipid metabolism in 6 college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920-926 

  4. Kim JK, Cha WS, Park JH, Oh SL. 1997. Inhibition effect against tyrosinase of condensed tannins from Korean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73-177 

  5. Cho SM, Kim JH, Lee MW. 2001. Inhibitory effects of tannins on tyrosinase activity. Kor J Pharmacogn 32: 68-71 

  6. 김동일. 1989. 동의학사전. 동방의약사, 서울. p 319 

  7. Park YS, Heo JY, Kim IJ, Heo SJ, Kim KH, Jeong BC, Park SM. 2005.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Vitis amurensis Rupr. collected in Gangwondo.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226-233 

  8. 박홍주, 백오현, 장학길, 이동태, 이서래. 1986. 국내 식품자원의 영양가 분석. 농촌 영양개선연구조사 사업보고서. 농영연-연조-10 

  9. 농촌영양개선연구원 1986. 식품성분표. 농촌진흥청. p 43 

  10. 조용운, 김종흠, 주옥수, 김기순. 1995. 한국산 개량머루를 이용한 발효주의 개발. 농림수산부 연구사업보고서. p 13 

  11. Kim SY, Kim SK. 1997. Wine making from new wild grape. Korean J Food & Nutr 10: 254-262 

  12. Park WM, Park HG, Rhee SJ, Kang Kl, Lee CH, Lee CH, Yoon KE. 2004.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s early, fer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36: 773-778 

  13. Kim JS, Kim SH, Han JS, Yoon BT, Yook C. 1999.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31: 516-521 

  14. Kim EJ, Kim YH, Kim JW, Lee HH, Ko YJ, Park MH, Lee JO, Kim YS, Ha YH, Ryu CH. 2007.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6-370 

  15. AOAC. 1990. Official Methods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6. Beelman RB, Gallander JF. 1979. Wine deacidification. In Advances in Food Research. Academic Press, Inc., New York. Vol 25, p 1 

  17. Cho KM, Lee JB, Kahng GG,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Soc Technol 38: 785-792 

  18. Seo JH, Jeong YJ, Shin SR, Kim KS. 2000. Effects of tannins from astringent persimmons in alcohol fermentation for persimmon vineg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07-411 

  19. Kim HJ, Jun BS, Kim SK, Cha JY, Cho SY.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27-1132 

  20. Yoon KE, Kim AN. 2007. Total polypheno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horticultural crops. J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10: 74-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