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관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Museum Field Trip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8 no.1, 2019년, pp.87 - 101  

문재원 (홍천 남산초등학교) ,  나지연 (춘천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museum field trips by using a questionnaire (188 teachers) and interview (6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

주제어

표/그림 (1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형식 과학교육 환경의 장점은 무엇인가? 과학교육자들도 비형식 과학교육이 과학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해왔으며(NRC, 1996), 독자적으로 연구되던 비형식과학교육은 형식 교육과 연계된 형태로 변화되었다(NRC, 2009). 비형식 과학교육 환경은 보다 유동적이고 창조적인 환경을 형성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북돋우고, 교실 수업을 보조해 주며,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이 널리 받아 들여지고 있다(Chin & Chia, 2004; Griffin &Symington, 1997; Ramey-Gassert et al., 1994), 특히 학교 수업에서 부족한 자료를 해결할 방안으로 비형식 과학교육 기관에 주목하고(김찬종 등, 2006),과학 학습에 학교 교육 경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김찬종 등, 2010).
체험학습이란 무엇인가? 체험학습은 ‘체험으로 배운다’(Learning by Doing)는 의미로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사고를 넘어서서행하면서 배우는(김영진 외, 2007) 비형식 교육의 대표적 형태이다. 학교 교육에서 실시되는 체험학습 중에는 과학관을 체험학습의 장소로 선택하여 교사와 학생이 과학관을 방문하는 ‘과학관 현장체험학습’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학관의 현재 모습과 교육적 가치를 인식할 수 있는 교사 재교육 및 예비교사 양성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요즘의 과학관은 비형식 과학교육 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과거보다 풍부해졌다. 그러나 교사들이 자신의 과거 부정적인과학관 체험학습 경험과 이미지를 바탕으로 현장체험학습 장소를 결정하면서 이러한 과학교육적가능성을 간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이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6). 국립.공립.사립 과학관 현황(2016년 기준) 사전정보공표목록. 

  2. 교육부(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9. 

  3. 김병찬(2007). 교사의 생애발달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4(1), 77-102. 

  4. 김영진, 김영환, 정지언(2007). 체험학습의 이론적 탐색에 대한 고찰. 부산대학교 사대논문집, 46(1), 1-17. 

  5. 김찬종, 신명경, 이창진, 차현정(2006).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전시 방법의 교육적 분석: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2), 130-139. 

  6.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서울: 북스힐. 

  7. 류지영, 김미진(2016). 과학관 활용 조사를 통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방안. 교육문화연구, 22(3), 73-98. 

  8. 류지영, 김미진(2018). 과학관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과 현장 적용방안. 열린교육연구, 26(2), 129-147. 

  9. 미래창조과학부(2014). 제3차 과학관육성기본계획('14-'18). 미래창조과학부 공고 제2014-203호. 

  10. 백소이, 노석구, 신명경(2011). 초등교사의 비형식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737-755. 

  11. 송진웅, 오원근, 조숙경, 구수정(2002). 청소년 학교밖 과학활동 지원 시설에 대한 실태 조사 및 DB 구축. 한국과학문화재단 제2002-30호. 

  12.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임혁, 정대홍, 정용재, 정종훈(2018).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 개발. 과학창의재단. 

  13. 이석희, 허소영(2009). 부산지역 공립 과학관에 대한 초등학생들과 초등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3(1), 81-112. 

  14.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2005).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5), 376-386. 

  15. 임미혜, 소금현, 심규철, 여성희(2010). 과학관 전시물의 전시영역 및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2), 433-451. 

  16. 전수영(2013). 한국 과학관의 역사와 과학관 진흥정책연구. 박물관학보, 24, 107-122. 

  17. 최경희, 장현숙, 이현주(2006).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5(3), 331-337. 

  18. 한문정, 양찬호, 노태희(2010). 과학관을 활용한 교수.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60-1074. 

  19. 허순영, 장덕준, 신재경(2008). 조사연구에서 순위절차를 이용한 항목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 9(2), 29-49. 

  20. Anderson, D. & Lucas, K. B. (1997). The effectiveness of orienting students to the physical features of a science museum prior to visit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4), 485-495. 

  21. Bamberger, Y. & Tal, T. (2007). Learning in a personal context: Levels of choice in a free choice learning environment in science and natural history museums. Science Education, 91(1), 75-95. 

  22. Bell, P., Lewenstein, B., Shouse, A. W. & Feder, M. A. (Eds.).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People, places, and pursuits. National Academies Press. 

  23. Bradley, A. (1999). Zeroing in on teachers: Quality counts '99. Education Week, 18(17), 46-52. 

  24. Chin, C. & Chia, L. G. (2004). Problem-based learning: Using students' questions to drive knowledge construction. Science Education, 88(5), 707-727. 

  25. Falk, J. H. & Balling, J. D. (1982). The field trip milieu: Learning and behavior as a function of contextual ev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6(1), 22-28. 

  26. Griffin, J. & Symington, D. (1997). Moving from task-oriented to learning-oriented strategies on school excursions to museums. Science Education, 81(6), 763-779. 

  27. Hein, G. E. & Alexander, M. (1998). Museums: Places of learning.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s, Education Committee. 

  28. Melber, L. M. & Abraham, L. M. (2002). Science education in US natural history museums: A historical perspective. Science & Education, 11(1), 45-54.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es Press. 

  30.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People, places, and pursuits. National Academies Press. 

  31. Orion, N. &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0), 1097-1119. 

  32.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33. Prather, J. P. (1989). Review of the value of field trips in science instruction.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1), 10-17. 

  34. Ramey-Gassert, L., Walberg, H. J., III. & Walberg, H. J. (1994). Museums as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Reexamining connections. Science Education, 78(4), 345-363. 

  35. Wellington, J. (1990).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science: The role of the interactive science centres. Physics Education, 25(5), 247. 

  36.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ETS Policy Information Report).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