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과천과학관의 지역순회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how to activate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s regional tour progra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443 - 450  

유경숙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을 주제로 한 공공서비스 기관들 중, 상대적으로 가장 넓은 지역을 관할하고 있는 국립과천과학관의 지역순회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상설전시 프로그램 이외에도 지리적, 환경적 이유로 과학관을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소외지역 주민들을 위해 2018년부터 경기, 강원도 지역에서 순회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나 문화, 노인복지, 교육 등 타 분야에 비해 인지도와 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며 관련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최근 3년 이내에 1회 이상 국립과천과학관의 지역순회프로그램 현장을 직접 방문한 경험이 있는 문화기획자 및 스텝, 과학&문화콘텐츠 전문가, 관련학과 교수 등 총 12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매우 특별한 체험의 기회 둘째 소수의 기쁨 셋째는 재미는 없지만 학습형 공연 등 총 3가지 상위 의미 단위와 5가지 하위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다. 이는 과학에 대한 흥미성 제고, 직접 체험의 기회 확대 등 긍정적 효과는 돋보이나 체계적 홍보계획 필요, 전문예술인을 통한 콘텐츠의 질적 수준 보완 등 개선이 시급한 요소들이 도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started to find a way to activate the regional tour program of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which covers a relatively wide area among public service organizations with the theme of science. In addition to the permanent exhibition program,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문화계에서 오랫동안 시행되어왔던 ‘찾아가는 문화체험’, ‘찾아가는 예술정거장’, ‘예술체험 방방곡곡’과 같이 우리나라의 국립과학관들이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중 소외지역 시민들을 위한 과학순회 프로그램들의 실상을 살펴보고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발전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못 적을 둔다.
  • 본 연구는 과학을 주제로 한 공공서비스 기관들 중 상대적으로 가장 넓은 지역을 관할하고 있는 국립과천과학관의 지역순회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 본 연구는 국립과천과학관이 과학을 주제로 한 상설전시 교육프로그램에만 국한되지 않고 공공서비스 기관으로서 지리·환경적 측면에서 과학관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의 어린이와 시민들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국립과천 과학관의 지역 순회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 이를 토대로 전국의 과학을 주제로 한 지역 순회프로그램들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과학순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전국의 주요 도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국립과학관 중 서울, 경기, 강원권까지 관할하고 있는 국립과천과학관의 경우 찾아가는 과학체험 사업의 실제 규모와 내용이 비교적 내실 있게 잘 운영되는 데에 비해 대외적으로 많이 알려지지 않아 국립과천과학관의 지역순회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의 과학기관에서 지역민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사업은? 특정 콘텐츠를 중심으로 도서지역을 포함한 문화소외 지역을 직첩 찾아가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사업들은 우리 사회 곳곳에서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8].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으로는 문화와 복지, 교육부분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최근 들어 지역의 과학기관들의 순회프로그램 사업들이 지역민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국립과학관에서 중요해지는 것은? 이와 관련하여 시간이 흐를수록 사회적 역할과 기능, 확장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 전국 곳곳에 흩어져 있는 국립과학관들이다. 과학을 주제로 한 국공립 기관들은 과학의 원리와 역사, 과학과 기술이 주는 실생활의 변화, 자연과학에 대한 이해와 소양을 넓혀주는 통로,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과학기술의 이해와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질수록 국립과학관 들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2].
국립과천과학관 지역순회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의견은? 그 결과 전문교수그룹과 현장경험이 많은 기획 및 스텝들의 의견이 약간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전문교수그룹은 초반부터 전문예술인의 참여를 확대하여 전반적인 콘텐츠의 질적 수준을 높일 것으로 우선적으로 제시하였고 더불어 지역순회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시급히 보완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반면 현장경험이 많은 스텝들의 경우 시민들의 반응이 좋은 체험프로그램을 더욱 확충하고 상징성 있는 대표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강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A Science Curriculum. 

  2. E. K. Henriksen & M. Froyland. (2000). The contribution of museum to scientific literacy : views from audience and museum professional.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9(4), 393-415. 

  3. H. J. Lee. (1973).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Student Science Museum. Seoul Metropolitan Institute of Education (regular work No. 524), metropolitan education. 15, 137-147. 

  4. J. W. Choi. (2018). Multidimensional analysis on efficiency of public exhibition services : an empirical study on operation of National Science Museums. a graduate school of state affairs, Sungkyunkwan University. 

  5. J. E. Yim. (2015). Analysis of the exhibits and students' behavior patterns in science museum : at the basic science hall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6. J. W. Choi. (2018). An integ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evaluation indicators of national science Museums. Korea science&art forum,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Convergence, 34, 339-353 

  7. Lisa Havilah. (2018). Museum of applied arts and sciences(Annual Report 2018) : tours and education at sydney observatory. 

  8. J. S. Gi. (2004). Study on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n island regions. Mokpo University Graduate School. 

  9. M. W. Kim. (2016). The Meaning of the visiting art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artists in 'the Art Bus Project, Oh! Jame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Korean Society for Cultural Education, 11(6), 51-78 

  10. J. H. Kim. (2017). An Analysis of Cultural Arts Outreach Programs for Correctional Facilities. Correctional discourse. Asian Correction Forum, 11(1), 211-236. 

  11. C. H. Park. (2018). A Study on the Ways to Activate the Cultural Sharing Programs for the Alienated Class. Hans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General Studies. 

  12. H. I. Lee. (2018).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Itinerant Teacher System in Korean : Focusing on the Preparatory School. Modern Social and Multiculturalism, 8(1), 72-87. 

  13. E. M. Kang. (2019). Effect of senior citizens center program satisfaction on leisure.welfar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Intermediation of Service. Dongbang Graduate School of Culture. 

  14. I. K. Jung. (2005). Eunsa Memorial Science Museum and colonial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5(2), 69-95. 

  15. H. Y. Song. (2016). 50th anniversary of science, but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science museum is not increasing. electronic newspaper, https://www.etnews.com/20160704000390 

  16. G. H. Jung. (2019). Science Experience Content Book,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17. D. W. Im & 7 others. Major achievements of science and culture business in Korea. Department of Science and Cultur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